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생성형 AI 열풍으로 AI 반도체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엔비디아가 시장을 압도적으로 장악하고 있지만, AMD, 인텔 등 경쟁사들의 추격이 거세지면서 시장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엔비디아의 A100, H100 등 고성능 GPU는 현재 AI 시장을 지배하고 있다. 뛰어난 성능과 안정적인 생태계 덕분에 많은 기업들이 엔비디아의 제품을 선택하고 있다. 하지만 높은 가격과 공급 부족 문제는 경쟁사들에게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AMD는 MI200 시리즈 등 경쟁력 있는 GPU를 출시하며 엔비디아의 점유율을 잠식하고 있다. 특히 가격 경쟁력을 앞세워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와 대규모 데이터센터를 운영하는 기업들을 공략하고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및 생태계 구축에도 힘쓰며 엔비디아 의존도를 낮추려는 기업들의 요구에 부응하고 있다.
인텔도 GPU 시장 진출을 본격화하며 엔비디아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인텔은 자체 개발한 GPU 뿐만 아니라 다양한 인수합병을 통해 AI 반도체 기술 확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엔비디아를 따라잡기에는 기술력과 생태계 측면에서 많은 과제를 안고 있다.
이외에도 중국 기업들을 중심으로 AI 반도체 시장에 새로운 플레이어들이 등장하고 있다. 하지만 기술적 격차와 미국 정부의 제재 등 많은 어려움을 극복해야 하는 상황이다. 향후 AI 반도체 시장은 엔비디아의 독주 체제에서 다양한 기업들의 경쟁 구도로 재편될 가능성이 높다. 기술 개발과 생태계 구축 경쟁이 시장의 성패를 좌우할 전망이다.
결론적으로, AI 반도체 시장은 엔비디아의 독주 속에서도 AMD, 인텔 등 경쟁 기업들의 적극적인 도전으로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향후 시장의 주도권은 기술력, 가격 경쟁력, 생태계 구축 능력 등 다양한 요소의 복합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