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03 (월)

  • 맑음동두천 12.5℃
  • 맑음강릉 13.2℃
  • 맑음서울 13.4℃
  • 맑음인천 11.6℃
  • 맑음수원 12.8℃
  • 맑음청주 12.9℃
  • 맑음대전 14.0℃
  • 구름조금대구 15.1℃
  • 맑음전주 13.0℃
  • 구름많음울산 14.4℃
  • 맑음광주 12.9℃
  • 구름조금부산 17.3℃
  • 맑음여수 13.8℃
  • 구름많음제주 15.2℃
  • 맑음천안 12.0℃
  • 구름많음경주시 14.7℃
  • 구름많음거제 14.6℃
기상청 제공

문화/예술

공주시, 1500년 백제의 숨결, 제71회 백제문화제 성대한 막 올라

10월 3일부터 12일까지 10일간, 공주 금강신관공원 일원서 열려

 

데일리연합 (SNSJTV) 박해리 기자 | 1500년 전 백제의 역사와 문화를 한눈에 보고 즐길 수 있는 ‘제71회 백제문화제’가 백제의 왕도 충남 공주시에서 화려하게 막을 올렸다.

 

공주시는 대한민국 대표 역사문화축제인 백제문화제가 공주 금강신관공원과 공산성, 무령왕릉과 왕릉원, 왕도심 일원에서 10월 3일 개막해 12일까지 10일간의 대장정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개막식이 열린 금강신관공원 주무대는 발 디딜 틈 없이 몰려든 수만 인파로 열기로 가득 찼다. 주제공연과 축하무대가 이어지자 함성과 박수가 쏟아졌고, 1071대가 펼치는 드론쇼가 백제의 밤하늘을 수놓자 관람객들의 탄성이 터져 나오며 축제 분위기는 절정을 이뤘다.

 

올해 백제문화제는 ‘세계유산 백제, 동탁은잔에 담다’를 주제로 열리며, 백제의 문화와 정신, 백제인의 기상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시민과 관광객이 함께 즐기는 장으로 준비됐다.

 

시는 개막 당일 오전 정지산 천제단에서 백제의 영혼을 불러일으키는 혼불 채화를 시작으로 웅진백제 5대 왕 추모제를 봉행하며 제례의 격을 갖췄다.

 

특히 올해는 ▲시민이 직접 참여하는 대형 거리 퍼레이드 ‘웅진성 퍼레이드’ ▲역사문화 체험 ‘무령왕의 길’ ▲디지털 실감형 공연 ‘웅진판타지아’ ▲미디어아트와 야간 조명으로 꾸며진 ‘웅진백제별빛정원’ 등의 콘텐츠가 강화돼 낮과 밤이 전혀 다른 축제의 매력을 선보인다.

 

또한 공산성 일원은 ‘백제마을 고마촌’으로 조성돼 웅진 백제의 생활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산교육의 장으로 운영되며, 지역 농·특산물 판매, 전통놀이 체험, 공주시민 공연 등 시민 주도형 프로그램도 한층 다채로워졌다.

 

공주시는 관람객들의 교통 편의를 위해 무료 셔틀버스를 운행하고, 1,700면 이상의 주차 공간을 확보하는 등 편의성 강화에도 심혈을 기울였다.

 

아울러 축제장 입장객에게 제공되는 미르섬 입장권 쿠폰은 행사장과 지역 상권에서 사용 가능해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최원철 시장은 “제71회 백제문화제를 통해 백제의 역사와 문화를 세계와 공유하고, 시민과 관광객 모두가 함께 즐기는 축제의 장으로 만들겠다”며 “특히 추석 연휴에 많은 분들이 공주를 방문해 백제의 진수를 체험하시길 바란다. 앞으로도 백제문화제의 위상을 더욱 높여가겠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대우건설 “13년째 멈춰선 동작구 재개발, ‘더 좋은 집’ 약속 뒤 남겨진 책임 공백”

서울 동작구 본동 441번지 일대에서 시작된 지역주택조합 방식의 재개발 사업이 13년째 지지부진한 상태다. 주민들은 “노후 주택을 철거하고 대기업 브랜드 아파트에 들어가게 해주겠다”는 제안을 믿고 수억 원의 분담금을 냈지만, 지금은 집도 신용도 잃은 채 법정 앞에 섰다. 이 사업은 조합 조건의 미비, 대기업의 채무보증 구조, 행정기관의 인허가 책임 유보 등 복합적 문제를 드러내며 한국 재개발 시스템의 민낯을 보여주고 있다. 조합의 구조적 결함 2007년 설립된 ‘노량진본동지역주택조합’은 무주택자·전용면적 60㎡ 이하 주택 보유자들을 대상으로 조합원을 모집했다. 조합원들은 아파트 한 채를 기대하며 1인당 2억~3억 원대의 분담금을 냈다. 하지만 조합은 토지확보율, 조합원 동의율 등 사업 추진에 필수적인 조건을 충분히 갖추지 못했던 것으로 보고된다. 또한, 조합장은 수백억 원대 횡령 혐의로 실형을 받은 바 있다. 이러한 조합의 내부 부실이 사업의 본궤도 진입을 막았고, 결국 2012년 약 2 700억 원 규모의 대출금 만기 상환을 못해 파산 상태에 빠졌다. 대기업의 채무보증과 책임 회피 논란여전.시공사로 선정된 대우건설은 조합의 PF 대출에 연대보증 형태로 개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