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15 (금)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천안 29.4℃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국제

적자 운송회사 회사임원은 연봉 5억7천만원


최근 서울 성북구의 모 마을버스 회사가 내부사정으로 문을 닫았다. 이 마을버스는 서울시로부터 운송요금을 지원받지 않는 노선이었다. 이 회사의 마을버스 한 대당 수입은 32만원으로 서울시가 버스운영 수익이 낮을 경우 지원하는 기준(표준운송원가의 80%인 26만원)에 포함되지 않았다.

하지만 이 회사가 문을 닫자 서울시는 운송원가가 대당 48만원인 천연압축가스(CNG) 지선버스 11대를 투입했다. 운송원가가 비싼 지선버스가 투입되자 이 노선에선 적자가 발생했고 서울시는 차액을 보존해 주고 있다. 표준운송원가 차이로 인해 흑자노선이 적자노선으로 탈바꿈한 셈이다.

현재 서울시는 시내버스 회사가 사용하고 있는 CNG 차량에 대해 하루 1대당 59만7557원의 표준원가를 적용하고 있다. 만일 버스 한대를 운영해 이 금액에 미달하면 서울시가 그 차액을 버스회사에 대신 지급한다.

서울시는 지난 2004년 7월 대중교통체계를 개편하는 과정에서 운송원가를 조사한 이후 지금까지 한 차례도 원가를 재조사하지 않아 문제가 제기되자 관련 용역을 진행중이다.

하지만 운송단가 뿐 아니라 버스노선이 중복되거나 수요에 비해 많은 버스가 투입된 노선을 조정해 세는 세금을 막고 적자폭을 줄여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서울시 교통위원회 공석호 의원은 "표준운송원가 재산정 작업을 통해 버스재정지원의 기준을 재검토해야 운송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며 "합리적인 표준원가 산정과 기준이 적용되면 버스요금을 올리지 않고 세금을 절약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 S 운수는 지난해 상반기에만 61억원의 손실을 냈다. 이른바 적자노선에 버스를 투입한 때문이다. 하지만 이 회사의 대표는 지난해 5억7000만원의 연봉을 받았다. 결국 서울시가 버스운영 손실 보조금을 통해 적자난 회사의 대표에게 수 억원의 연봉을 지급한 셈이다.

이 회사 뿐 아니다. 지난해 상반기 현재 서울 시내버스 66개 업체, 369노선 중 3개 업체, 15개 노선만 흑자를 내고 있다. 결국 매일 서울 시내버스에선 8억원이 넘는 적자가 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서울 시내버스회사 임원의 평균 연봉은 1억원이 넘고 있다.

이 때문에 버스요금 인상에 앞서 만성적인 적자를 내는 버스회사에 대해 퇴출의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AI 개발 가속화 위한 윤리적 문제 해결책 모색 중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최근 급속한 AI 기술 발전과 함께, AI 개발의 윤리적 문제 해결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AI 시스템의 편향성, 프라이버시 침해, 일자리 감소 등의 우려가 제기되면서, 기술 발전과 사회적 책임 사이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 특히, AI 알고리즘의 투명성 확보와 편향성 제거를 위한 노력이 중요하다. 많은 AI 시스템은 방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하는데, 이 데이터 자체에 편향성이 존재할 경우 AI는 차별적인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수집 및 처리 과정에서 편향성을 최소화하고, 알고리즘의 의사결정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는 방안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또한, AI 기술의 오용 방지를 위한 규제 마련 또한 시급한 과제이다. AI를 악용하여 개인 정보를 침해하거나, 사회적 혼란을 야기하는 사례가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국제적인 협력을 통해 AI 기술의 윤리적 사용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이를 준수하지 않는 행위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