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김민제 기자 | 최근 극심한 폭염으로 인해 전국적으로 온열 질환자가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 대책의 미흡함이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노인, 장애인, 저소득층 등 사회적 취약계층은 폭염으로 인한 피해에 더욱 취약하며, 이들의 건강과 안전을 위한 체계적인 지원 시스템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정부는 폭염 대비 종합대책을 발표하고 폭염쉼터 운영 확대, 무더위 쉼터 지원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으나, 현장에서는 실질적인 효과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많은 폭염쉼터가 접근성이 떨어지거나 홍보가 부족하여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으며, 취약계층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한 지원은 부족하다는 비판이 거세다.
특히, 독거노인이나 거동이 불편한 노인들의 경우 폭염쉼터 이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들을 위한 찾아가는 건강 관리 서비스나 생활 지원 서비스의 확대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또한, 저소득층의 경우 냉방 시설 설치나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경제적인 지원을 통해 폭염으로부터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과 함께, 지자체와 사회복지단체,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취약계층에 대한 맞춤형 지원 서비스 개발 및 제공, 폭염쉼터 운영의 효율성 증대, 홍보 강화 등 다각적인 노력을 통해 폭염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해야 할 것이다.
더불어, 폭염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과 함께, 취약계층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중요하다. 폭염으로 인한 피해는 단순히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 전체의 문제이며, 사회 구성원 모두가 책임감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한다.
향후 정부의 정책 방향과 사회적 논의를 통해 실질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취약계층의 안전과 건강을 보장하기 위한 체계적인 시스템 구축이 사회적 과제로 남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