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7.07 (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박무인천 26.9℃
  • 구름조금수원 28.8℃
  • 맑음청주 29.3℃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맑음전주 32.5℃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많음여수 27.5℃
  • 맑음제주 29.6℃
  • 구름조금천안 27.7℃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교육/복지

겨울철 눈과 관련된 다양한 속담


속담은 예로부터 민간에 전해오는 쉬운 격언과 잠언을 이르는 말로, 우리 조상들의 경험과 지혜를 전하고 있다.

특히 날씨 관련 속담들은 그 원리가 과학적으로 입증될 만큼 정확한 것이 많은데, 겨울철 눈의 성질을 잘 표현한 속담들도 눈에 띈다.

‘산이 울면 눈이 내린다’는 우리나라의 기상학적 특징을 잘 반영한 속담이다.

겨울철 한반도를 통과하는 고기압은 강한 바람을 몰고 오는데, 이 바람이 높은 산맥을 넘을 때 ‘우웅~’하는 울음소리를 만들어낸다. 기상청은 이렇게 울음소리를 내는 강한 바람이 지나간 지역에는 5~6시간 안에 눈이 올 확률이 높아지는 것을 2010년 서해안 일대의 기상관찰을 통해 밝혀냈다.

‘쌓인 눈을 밟아서 뽀드득 소리가 크면 날씨가 추워진다’는 날씨가 추워지면 눈이 서로 엉겨 붙지 않아 ‘뽀드득’ 소리가 더 커지는 현상을 반영한 것이며, ‘겨울 눈발이 잘면 춥다’, ‘눈발이 크면 날씨가 따뜻해진다’는 속담은 눈의 상층대기 온도분포에 따라 눈의 성질이 달라지는 현상과 일치한다. 실제로 상층대기의 온도가 높을 때는 함박눈이 내리고, 온도가 낮을 때는 가루눈이 내린다.

‘겨울밤이 구름 한 점 없이 맑으면 곧 눈이 온다’는 속담은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고기압과 기압골의 규칙적인 반복을 핵심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겨울철 우리나라는 맑은 날씨를 만드는 이동성 고기압과 눈을 내리게 하는 기압골이 일정한 주기를 두고 번갈아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눈이 내리고 난 뒤에는 단벌의 거지조차 빨래할 정도로 날씨가 따뜻해진다는 의미의 ‘눈 온 뒷날은 거지가 빨래한다’는 속담 역시 눈이 내린 다음 날에는 일반적으로 날씨가 포근해지는 겨울의 특징을 잘 담고 있다. 

이 밖에도 ‘눈이 많이 오면 보리 풍년이 든다’, ‘쥐구멍에 눈 들어가면 보리농사 흉년 된다’는 속담은 눈이 쌓이면 가을철 심어둔 농작물이 따뜻하게 보호되고 땅에 습기가 충분히 공급돼 봄철 가뭄이 예방되는 현상을 담고 있다.

황서영 기자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경북교육청, 초등학교 교육과정 지원단 역량 강화 연수 개최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김준 기자 | 경북교육청은 지난 5일 구미시에 있는 호텔금오산에서 초등학교 교육과정 지원단 140여 명을 대상으로 역량 강화 연수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수는 초등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전문성을 높이고, 학생 맞춤형 교육과정을 통한 삶과 성장 중심 교육 실현을 뒷받침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주말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교원이 자발적으로 참여해, 현장의 열의와 교육 변화에 대한 의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연수는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 대응하는 개념 기반 탐구학습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학교자율시간 운영 방안 △깊이 있는 학습을 위한 교육의 방향성 탐색 등으로, 교육과정 지원단의 현장 적용 역량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두고 진행됐다. 또한, 학생의 전인적 성장을 실현하기 위해 경북교육청이 새롭게 도입하는 ‘경북학생성장지원평가’에 관한 실질적인 안내도 함께 이루어져 참여자들로부터 높은 관심과 호응을 얻었다. 경북교육청은 앞으로도 ‘학생 중심’과 ‘미래 지향성’이라는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 가치를 학교 현장에 안정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해, 체계적인 교육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