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24 (일)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생활/건강

대학생이 뽑은 2015년 희망 뉴스, ‘취업률 상승’

 
대학생들이 2015년 한 해 동안 가장 듣고 싶어하는 희망뉴스는 ‘취업률 상승’인 것으로 나타났다.

잡코리아가 운영하는 아르바이트 구인구직 포탈 알바몬(대표 김화수)은 최근 대학생 1,186명을 대상으로 새해 계획, 한 해 동안 가장 갖고 싶은 것과 버리고 싶은 것 등 새해를 맞는 대학생들의 소감을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알바몬은 먼저 새해를 맞아 한 해를 알차게 보내기 위한 계획을 세웠는지를 물었다.

알바몬 설문조사에 응답한 총 1,186명 중 약 77%의 대학생이 ‘세웠다’고 답한 반면 약 23%는 ‘아직 세우지 않았다’고 답했다.

대학생들의 새해계획을 살펴본 결과 ‘다이어트 및 외모관리’가 34.6%(응답률)로 1위를 차지한 가운데 ‘국내외 여행(32.2%)’, ‘체력관리 및 운동(31.4%)’, ‘저축 및 씀씀이 관리(31.3%)’, ‘외국어 공부(30.4%)’, ‘독서 등 자기계발(30.3%)’ 등이 30% 이상의 응답률을 얻으며 대학생들이 가장 많이 세우는 새해 계획으로 꼽혔다.

성별 새해계획을 살펴보면 남학생의 경우 ‘체력관리 및 운동’이 35.5%로 1위를 차지했으며 ‘독서 등 자기계발(30.4%)’이 2위를 차지했다. 반면 여학생은 ‘다이어트 및 외모 관리’가 무려 40.5%로 압도적인 1위에 오른 가운데 ‘국내외 여행(34.3%)’이 그 뒤를 이었다.

본인이 세운 새해계획을 지키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으로는 남녀 대학생 모두 ‘계획을 지키려는 의지(51.0%)’를 압도적인 1위에 꼽았다. 2위는 ‘비용, 돈(19.7%)’이, 3위는 ‘구체적인 실행계획(12.1%)’이 각각 차지했다.

2015년 한해 가장 갖고 싶은 것을 꼽으라는 질문에는 ‘입사 통보서(25.0%)를 근소한 차지로 제치고‘빵빵한 통장잔고(27.8%)’가 꼽혔다. 이 외에도 ‘건강, 체력(7.8%)’, ‘연인(7.7%)’, ‘괜찮은 알바 일자리(7.5%)’, ‘바람직한 신체 사이즈(7.1%)’ 등이 새해 갖고 싶은 것들로 꼽혔다.

반면 가장 버리고 싶은 것에는 ‘턱살과 뱃살 등 살’이 31.7%의 응답을 얻으며 1위에 꼽혔다. 2위는 ‘귀차니즘, 게으름(28.6%)’이 차지했으며, ‘저질 체력(11.8%)’과 ‘솔로 딱지(11.1%)’가 근소한 차이로 3, 4위를 다퉜다. 5위엔 ‘각종 취업준비 서적(7.4%)’이 꼽혀 눈길을 끌었다.

한편 대학생들이 새해 가장 듣고 싶은 희망뉴스에는 ‘취업률 상승, 실업률 뚝!(32.0%)’이 꼽혔다. ‘경기회복(27.3%)’과 ‘사라진 갑을 논란, 공생하는 대한민국(13.5%)’이 각각 듣고 싶은 희망뉴스 2, 3위에 꼽혔다. 그밖에 ‘확고해진 치안, 사건사고 발생빈도 급감(8.3%)’, ‘등록금 인하(5.7%)’, ‘사회갈등 급감, 사회 대통합(4.3%)’ 등도 듣고 싶은 뉴스로 꼽혔다.

황서영 기자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폭염 속 열악한 노동 환경 문제 심각… 정부 대책 효과 미흡 논란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최근 극심한 폭염으로 인해 야외 작업장 노동자들의 건강과 안전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잇따른 온열 질환 발생과 열사병으로 인한 사망 사례가 보고되면서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정부는 폭염 대책으로 휴식 시간 확보, 작업 환경 개선 등을 권고하고 있으나, 현장에서는 이러한 대책이 제대로 이행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많다. 특히, 건설 현장이나 택배 배송 등 야외 작업 환경은 열악한 경우가 많아 노동자들의 피해가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계에서는 정부의 대책이 현실과 동떨어져 있다고 비판하며, 더 강력한 법적 규제와 처벌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폭염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 문제도 심각하게 제기되고 있다. 일부 기업에서는 폭염으로 인한 생산 차질을 이유로 인력 감축을 시도하는 사례도 보고되면서 사회적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전문가들은 폭염으로 인한 노동 환경 악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 기업, 노동자 간의 적극적인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특히, 기업의 자발적인 노력과 정부의 강력한 규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