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5.13 (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인천 16.9℃
  • 맑음수원 17.4℃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전주 19.1℃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여수 16.8℃
  • 맑음제주 21.3℃
  • 구름조금천안 17.8℃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생활/건강

”알레르기” 혈액으로 찾는다

간질간질 콜록콜록 까칠까칠

최근 들어 알레르기 질환이 급증하고 있다.
현재 국내 알레르기 환자 수는 우리나라 인구의 15~20%에 달하는 6백만명 이상으로 이 중 성인이 약 10%, 어린이는 20%가량이 질환을 앓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알레르기 환자의 지속된 증가 원인으로는 서구화된 생활환경과 공해, 각종 화학물질의 이용 등이 문제점으로 꼽히고 있다.

   천식·비염·두드러기 ‘알레르기’

알레르기는 보통 대부분의 사람에게서는 아무런 문제도 일으키지 않는 물질이 특정 사람에게서만 두드러기, 비염, 천식 등의 이상과민반응을 일으키는 것이다.
흔히 나타나는 알레르기 비염은 콧물, 재채기, 코막힘, 가려움증이 주된 증상인 코 안의 염증질환이다.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원인 물질이 코 안에 닿으면 코 점막 아래 혈관이나 분비샘을 자극해 콧물이 많이 나오게 되고, 신경반사로 코가 가렵거나 재채기가 나올 뿐 아니라 코 점막이 부어 코가 막히기도 한다.
기온이 갑자기 바뀌거나 먼지 등을 들이마신 후 재채기, 콧물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항상 감기에 걸려있는 것으로 생각하기 쉽다.

반면 천식은 폐에 발생하는 알레르기 질환이다.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기침과 거친 숨소리, 호흡곤란을 주요 증상으로 하는 만성 기관지 염증질환이다. 천식이 있으면 보통 감기를 달고 산다거나 감기가 한 번 걸리면 오래가는 경향이 있다.
어린이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 알레르기 질환인 아토피피부염은 피부가 건조하고 거칠어지며 가려움을 동반한다.
심할 경우 피부가 비늘처럼 갈라져 보이는 비늘증이 나타나기도 하고 손발에 주름이 많으며, 손바닥이 반짝반짝 윤이 나는 경우도 있다. 또 입술이 건조해 잘 갈라지고 젖꼭지 주변에도 습진이 심할 수 있다. 

 
   특정물질에 대한 과잉반응이 문제

알레르기 질환의 원인은 다양하다. 이 질병의 유발물질(알레르겐, 항원)은 공중항원, 음식항원, 주사물, 접촉물로 나눌 수 있다.
공중항원에는 꽃가루, 곰팡이, 집먼지 진드기, 바퀴벌레 방사물, 향수, 애완동물의 비듬과 털, 소변 등이 해당되며, 이는 알레르기성 비염이나 결막염, 천식, 아토피피부염 등을 유발한다.

특정 음식을 통해 알레르기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바닷가재, 우유, 달걀흰자, 옥수수, 복숭아, 초콜릿, 땅콩, 식품첨가물, 방부제, 식용색소, 페니실린 제제, 설파제, 아스피린 등은 음식항원으로 구분되는데 이를 잘못 섭취했을 경우 아토피피부염과 천식, 두드러기 등이 생길 수 있다.

각종 주사제와 혈관 조영제 등도 알레르기를 유발한다.
특히 니켈, 크롬, 고무, 가죽, 화장품, 세제, 액세서리 등은 접촉성 피부염의 가장 흔한 원인물질로 꼽힌다. 
 

   미량의 혈액으로 검사도 한번에

한국건강관리협회는 알레르기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보통 알레르기 검사는 개별항원을 피부에 직접 반응시키는 피부단자검사와 혈액검사가 있는데, 피부단자검사는 해당 부위의 부은 정도로 음·양성을 판정해 검사시간이 길고 통증이 있어 소아의 경우 검사가 어렵다.

그러나 협회에서 실시하는 혈액검사는 미량의 혈액을 채취해 음식물 42종 외에도 호흡 42종, 아토피 21종의 검사를 한 번에 할 수 있어 편리함과 동시에 정확하다.

이대일 건강관리협회 건강증진의원 원장은 “알레르기 질환은 자신도 모르게 나타날 수 있어 증상이 의심되면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면서 “검사를 통해 원인을 찾아 유발인자를 피하고, 약물치료나 면역치료를 통해 증상을 조절 및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