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연합 이주영 기자]최근 2년새 고소득층의 자가보유율과 점유율은 모두 상승한 반면, 저소득층은 모두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각종 주거안정정책을 펼치고 있지만 소득 계층간 주거양극화는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15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14년도 주거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자가보유율(주택을 보유하고 있는 가구 비중)은 58.0%로 2012년(58.4%)에 비해 0.4%포인트 하락했다. 같은 기간 자기 소유 주택에 거주하는 자가점유율 역시 53.8%에서 53.6%로 0.2%포인트 떨어졌다.
자가보유율과 점유율 모두 하락했지만 소득계층별로는 차이가 났다. 중·저소득층의 자가보유율과 점유율은 하락하거나 큰 변화가 없었지만 고소득층은 오히려 상승한 것이다. 이번 조사에서 세후 월 소득 기준 199만원 이하를 저소득층(1~4분위), 200만~400만원을 중소득층(5~8분위), 401만원이상 소득가구를 고소득층(9~10분위)로 분류했다.
저소득층의 자가보유율은 52.9%에서 50.0%로, 자가점유율은 50.5%에서 47.5%로 각각 떨어졌다. 중소득층은 자가점유율이 51.8%에서 52.2%로 상승했지만 자가보유율은 56.8%에서 56.4%로 하락했다. 이에 반해 고소득층의 자가보유율은 72.8%에서 77.7%로, 자가점유율은 64.6%에서 69.5%로 모두 상승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및 도지역 자가보유율과 점유율이 모두 하락한 반면 지방광역시는 모두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처럼 주거양극화가 심화된 원인은 소득양극화와 주거비 부담 증가 등에 따른 것이라고 분석했다. 실제 통계청, 금융감독원,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4년 가계금융·복지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의 소득 증가율은 1.4%로 소득 상위 20%인 5분위(3.9%)의 절반 수준에도 못 미쳤다. 또 전체 소득에서 5분위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46.3%에 달했던 반면 1분위 가구 비중은 3.5%에 불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