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09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천안 29.4℃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뉴스

서울에서 가장 비싼 알바 '텔레마케팅'


데일리연합 이수연기자] 2014년 하반기 서울지역 아르바이트 중 '아웃바운드 텔레마케팅'의 평균시급이 9243원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지역 아르바이트 평균시급은 6042원으로, 지역별로는 서대문구가 가장 높았다.

서울시는 서울의 아르바이트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지난해 하반기 알바천국사이트에 등록된 서울지역 아르바이트 채용공고 104개 업종, 77만 6501건에 대해 분석, 그 결과를 12일 발표했다.

먼저, 전체 104개 모집 업종 중 공고수가 많았던 상위 40개 업종, 총 72만 8367건을 분석한 결과, 최다모집업종은 '음식점'으로 6개월 간 총 10만 8780건(14.9%)의 공고를 냈다.

이어 △편의점(9만 4103건, 12.9%) △패스트푸드(6만 6860건, 9.2%) △일반주점·호프(6만 1720건, 8.5%) △커피전문점(4만 9509건, 6.8%) △PC 방(4만 3428건, 6.0%) △레스토랑(3만 2477건, 4.5%) △카페(3만 2477건, 4.5%) 순으로 나타났다.

평균시급은 아웃바운드 텔레마케팅이 9243원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영업·마케팅(9150원) △고객상담(8421원) △영화, 공연, 전시(7753원) 등의 순이었다.

자치구별로는 강남구가 지난 6개월간 총 7만6188건(14.7%) 공고가 올라와 아르바이트 채용이 가장 많았다. 이어 마포구(3만 5542건, 6.9%)가 지난해 처음 3위 내에 진입했고, 서초구가 3만 3024건(6.4%), 송파구는 2만 9975건(5.8%)으로 뒤를 이었다.

서울지역 아르바이트생 평균시급은 6042원으로 지난해 상반기(5890원)보다 152원, 지난 2013년 하반기(5653원)보다는 389원 상승했다.

자치구별 시급은 서대문구가 6419원으로 가장 높았고, △영등포구 6303원 △동대문구 6268원 △구로구 6228원 △강남구 6174원 순이었다.

대학가 주변 평균시급은 6091원으로 서울평균 6042원 보다 49원 높았다. 평균시급이 가장 높은 대학가는 홍대 주변(6360원)이 차지했다.

서울시는 이번 결과를 기초로 근로환경 개선을 위한 캠페인, 청소년대상 노동법교육 등 사회 인식개선에 나설 계획이다. 

데일리연합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AI 개발 속도 조절 논의 확산: 윤리적 우려와 기술 발전의 균형 모색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최근 급속한 인공지능(AI) 기술 발전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개발 속도 조절과 윤리적 가이드라인 마련의 필요성이 국제적으로 논의되고 있다. AI의 잠재적 위험성과 사회적 영향에 대한 심각한 고민이 이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술 발전과 윤리적 책임 사이의 균형을 찾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 특히, AI가 생성하는 콘텐츠의 진위 여부 판별의 어려움, AI를 활용한 사이버 공격의 위험 증가, 그리고 AI 기술의 오용 가능성 등이 주요 우려 사항으로 제기된다. 이러한 문제들은 개인정보 유출, 사회적 혼란, 심지어는 국가 안보에도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전 세계적으로 공동 대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전문가들은 AI 개발에 대한 국제적인 협력 강화를 촉구하고 있다. 기술 개발의 속도를 늦추고, AI의 윤리적 사용을 위한 공통된 원칙과 규제를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또한, AI 기술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AI 시스템의 책임성을 명확히 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하지만, AI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