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7.07 (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박무인천 26.9℃
  • 구름조금수원 28.8℃
  • 맑음청주 29.3℃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맑음전주 32.5℃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많음여수 27.5℃
  • 맑음제주 29.6℃
  • 구름조금천안 27.7℃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생활/건강

금단현상 관리하여 금연에 성공하는 방법



데일리연합 황서영기자] 금연의 적은 금단현상이다. 일반적으로 금단현상은 금연 후 2주간 지속되는데 이때 금단현상을 어떻게 관리하느냐가 금연의 성패를 좌우한다.

금단현상이란 강한 중독성 약물인 니코틴이 체내에서 빠져나가면서 생기는 신체 자각 증상으로 불안감과 체중증가, 불면증 등이 대표적이다. 개인에 따라  복합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동철 내과의원 이동철 원장은 “금연 초기 2주간 적절한 금연보조제를 집중적으로 활용한다면 금단 현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 할 수 있다”며 “평소 흡연량과 흡연습관에 따라 적합한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금연보조제는 니코틴 대체제와 금연치료의약품으로 나뉜다. 니코틴 대체제는 패치와 껌, 사탕 등 약국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일반의약품이고, 금연치료의약품은 의사 처방이 필요한 전문의약품이다. 국내 출시된 금연치료의약품은 바레니클린 성분 제품인 화이자제약의 챔픽스와 부프로피온을 성분으로 한GSK의 웰부트린, 한미약품의 니코피온 등 3가지다.

다국적 제약사인 한국노바티스가 최근 일반인 504명을 상대로 한 금연 설문 조사를 보면 니코틴 대체제에 대한 선호도는 전자담배 제품류보다 높았다. 흡연자의 61%가 금연방법으로 니코틴 대체제를 선호한 반면, 전자담배 제품류를 선택한 흡연자는 11%였다. 패치와 껌, 사탕 등 니코틴 대체제는 휴대하기 쉽고, 때와 장소에 상관없이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금단현상 관리에 좋다.

금단현상을 조절하기 힘든 골초라면 의사 처방을 받아 금연치료의약품을 선택할 수 있다. 의료계에 따르면 니코틴 대체제를 사용했을 때 6개월 이상 금연성공률은 17%지만, 금연치료의약품을 복용하면 금연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바레니클린과 부프로피온은 효과만큼 약물 기전에서 차이가 있다. 바레니클린은 금연치료를 위해 개발된 유일한 약이고, 부프로피온은 원래 항우울제로 개발됐다. 부프로피온의 경우 서방정(약물이 서서히 방출되는 약)에 한해서만 금연치료를 위한 단기 보조요법으로 승인됐다.

한편 금연치료 의료기관으로 등록한 전국 1만4천여개 병의원에서 일제히 금연치료를 시작하면서 약물 오용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전문의들은 심한 금단증상을 가진 흡연자에게 니코틴 대체제와 바레니클린의 병용은 효과가 있지만, 바레니클린과 부프로피온 약물을 병합해 투여하면 우울증 등 부작용을 높일 수 있어 권고되지 않는다고 조언한다.

데일리연합 무단전재 & 재배포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경북교육청, 초등학교 교육과정 지원단 역량 강화 연수 개최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김준 기자 | 경북교육청은 지난 5일 구미시에 있는 호텔금오산에서 초등학교 교육과정 지원단 140여 명을 대상으로 역량 강화 연수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수는 초등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전문성을 높이고, 학생 맞춤형 교육과정을 통한 삶과 성장 중심 교육 실현을 뒷받침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주말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교원이 자발적으로 참여해, 현장의 열의와 교육 변화에 대한 의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연수는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 대응하는 개념 기반 탐구학습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학교자율시간 운영 방안 △깊이 있는 학습을 위한 교육의 방향성 탐색 등으로, 교육과정 지원단의 현장 적용 역량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두고 진행됐다. 또한, 학생의 전인적 성장을 실현하기 위해 경북교육청이 새롭게 도입하는 ‘경북학생성장지원평가’에 관한 실질적인 안내도 함께 이루어져 참여자들로부터 높은 관심과 호응을 얻었다. 경북교육청은 앞으로도 ‘학생 중심’과 ‘미래 지향성’이라는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 가치를 학교 현장에 안정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해, 체계적인 교육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