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28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문화/예술

KBS 아나운서 퇴사 바람



KBS 간판급 아나운서들의 퇴사가 잦아지고 있다. 이제는 아나운서들의 프리랜서 선언이 자연스러운 수순으로 여겨지고 있는 듯하다.

KBS의 오정연 아나운서는 지난 5일 회사에 사표를 제출, 오는 2월 초까지 재직하기로 결정했다. KBS 측은 “사표를 제출한 것이 맞다. 현재 공식적인 처리 절차가 진행 중이다.”라고 밝혔다.

2003년 청주 MBC 아나운서로 방송계에 입문한 뒤, 2006년 KBS 32기 공채 아나운서로 입사한 오 아나운서는 ‘도전 골든벨’ ‘생생 정보통’ ‘생생정보통 플러스’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간판 아나운서로 자리잡아왔다.

KBS 32기 공채 동기인 전현무와 이지애, 최송현 등이 퇴사하며 각자의 영역을 구축하고 있는 만큼 오정연 아나운서의 선택은 예견됐었다는 것이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오정연 아나운서의 퇴사로, 32기 공채 아나운서 전원이 KBS를 떠나게 됐다.

앞서 한석준 아나운서 또한 중국 진출과 함께 KBS를 퇴사한다는 소문에 휩싸였지만 회사의 만류 끝에 KBS미디어로 자리를 옮기기로 결정됐다.

한석준 아나운서는 KBS의 자회사인 KBS 미디어에서 새로운 업무를 맡을 예정이다.

아나운서들이 프리랜서를 선택의 배경에는 앞서 길을 떠난 이들의 활약이 무엇보다 크다. ‘아나테이너’ 시대에 방송인으로서의 재능과 끼를 발산할 수 있는 기회는 무한히 열려 있고 종합편성채널(이하 종편)과 케이블 방송의 예능 및 교양 프로그램이 잇따라 인기를 끌면서 선택의 폭도 넓어진 이유도 한 몫 한다.

실제로 KBS 재직 중인 한 아나운서는 최근 인터뷰에서 “너도 프리랜서 할 거지? 언제 나갈 거야?”라는 질문을 많이 받는다고 밝힌 바 있다.

박지윤의 성공은 여성 아나운서들의 상징적인 지표가 되기도 했다. 2004년 KBS 아나운서로 입사한 박지윤은 2008년 프리랜서로 전향한 후 ‘욕망 아줌마’라는 애칭까지 얻으며 숱한 프로그램에서 화려한 입담과 진행 실력을 보이고 있다.

전현무의 성공 역시 눈에 띈다. 2006년 KBS 공채 아나운서로 입사, 2012년 퇴사한 그는 프리랜서 아나운서 중 가장 독보적인 영역을 구축하고 있다. 개그맨 못지 않은 입담으로 10개에 가까운 프로그램에 출연 중이다.

다른 지상파 아나운서 출신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특히 2008년 MBC를 나온 김성주는 제2의 전성기를 맞으며 다수의 프로그램에서 맹활약 중이며, 2013년 프리랜서를 선언한 MBC 전 아나운서 오상진 역시 진행은 물론 연기자로 활약하며 새로운 도약에 나섰다.

프리랜서 아나운서들은 비록 회사를 벗어났지만, 또 다른 회사에 몸을 담는다. 과거 ‘소속이 없는 불안정한 프리랜서’라는 인식이 사라지고, 이제는 대형 엔터테인먼트에 소속돼 활동의 기회와 선택의 폭이 넓어진 것이다.

전현무는 SM C&C에서 신동엽·강호동과 한솥밥을 먹고 있으며, 문지애와 오상진은 프레인TPC에서 배우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다. 또한 이지애와 윤영미는 초록뱀주나E&M에 몸담고 있다.

최근 몇 년간 방송가는 지각변동이라 불릴 만큼 종편과 케이블이 높은 시청률을 점유하며 지상파를 위협하고 있다. 양질의 콘텐츠로 승부를 보는 시대, 이제는 지상파와 비지상파라는 영역을 구분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시청률 부담’을 안고 있는 방송사로서도 고민이 많다. 작년 KBS는 2014 브라질월드컵을 앞두고, 2012년 퇴사한 자사 출신 전현무에게 캐스터 자리를 제안해 논란을 빚었다.

퇴사한 아나운서에 대해 3년간 자사 프로그램 출연을 제한하는 내부 규정을 어기면서까지 미팅을 가진 사실이 알려지자, 내부 직원들의 반대가 빗발쳤다. KBS 아나운서들과 노동조합이 전현무의 캐스터 영입을 반대하는 시위까지 벌였고, 결국 전현무는 고사했다. 사원들은 “전문성을 무시한 비상식적인 인사”라고 비판했지만, 결국 ‘아나테이너’에 목말라하는 방송사의 니즈가 드러난 사건으로 남았다.

한 방송 관계자는 “이제는 영역이 무의미 하다. 수익은 물론, 방송의 기회가 더 넓어졌기에 방송사에 소속될 필요가 없다는 생각이 갈수록 더해지고 있다”며 “이 같은 변화는 모두가 느끼고 있다. 당분간 아나운서들의 프리랜서 선택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황서영 기자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서초구,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생활지원사 간담회 열어

데일리연합 (SNSJTV) 송은하 기자 | 서울 서초구는 27일 구청 2층 대강당에서 노인맞춤돌봄서비스를 수행 중인 생활지원사와 전담 사회복지사 등 약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생활지원사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올해 처음으로 열린 이번 간담회는 복지 현장에서 어르신 돌봄을 책임지는 생활지원사의 노고에 감사의 뜻을 전하고 주요 정책을 공유하는 동시에 현장의 건의사항과 의견을 듣기 위해 마련됐다. 간담회는 식전 재즈 공연을 시작으로 수행기관인 서초어르신행복e음센터와 방배노인종합복지관의 우수사례 발표로 이어졌다. 어르신의 건강과 안전을 세심하게 챙긴 현장 사례들이 소개되어 돌봄의 가치를 다시금 되새기는 시간이 됐다. 이어진 질의응답에서 생활지원사들은 주말근무의 고충을 이야기하고, 어르신 IoT 기기 전면 보급을 요청했다. 이에 전성수 구청장은 현장에서 직접 “실제 수고하시는 부분이 반영될 수 있도록 처우개선에 힘쓰고, IoT 기기는 고위험군 어르신을 중심으로 요청가구에 우선 보급하겠다”고 답하는 등 상호공감과 소통이 오가는 뜻깊은 자리로 마무리됐다. 또 서초구치매안심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