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7.07 (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박무인천 26.9℃
  • 구름조금수원 28.8℃
  • 맑음청주 29.3℃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맑음전주 32.5℃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많음여수 27.5℃
  • 맑음제주 29.6℃
  • 구름조금천안 27.7℃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문화/예술

KBS 아나운서 퇴사 바람



KBS 간판급 아나운서들의 퇴사가 잦아지고 있다. 이제는 아나운서들의 프리랜서 선언이 자연스러운 수순으로 여겨지고 있는 듯하다.

KBS의 오정연 아나운서는 지난 5일 회사에 사표를 제출, 오는 2월 초까지 재직하기로 결정했다. KBS 측은 “사표를 제출한 것이 맞다. 현재 공식적인 처리 절차가 진행 중이다.”라고 밝혔다.

2003년 청주 MBC 아나운서로 방송계에 입문한 뒤, 2006년 KBS 32기 공채 아나운서로 입사한 오 아나운서는 ‘도전 골든벨’ ‘생생 정보통’ ‘생생정보통 플러스’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간판 아나운서로 자리잡아왔다.

KBS 32기 공채 동기인 전현무와 이지애, 최송현 등이 퇴사하며 각자의 영역을 구축하고 있는 만큼 오정연 아나운서의 선택은 예견됐었다는 것이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오정연 아나운서의 퇴사로, 32기 공채 아나운서 전원이 KBS를 떠나게 됐다.

앞서 한석준 아나운서 또한 중국 진출과 함께 KBS를 퇴사한다는 소문에 휩싸였지만 회사의 만류 끝에 KBS미디어로 자리를 옮기기로 결정됐다.

한석준 아나운서는 KBS의 자회사인 KBS 미디어에서 새로운 업무를 맡을 예정이다.

아나운서들이 프리랜서를 선택의 배경에는 앞서 길을 떠난 이들의 활약이 무엇보다 크다. ‘아나테이너’ 시대에 방송인으로서의 재능과 끼를 발산할 수 있는 기회는 무한히 열려 있고 종합편성채널(이하 종편)과 케이블 방송의 예능 및 교양 프로그램이 잇따라 인기를 끌면서 선택의 폭도 넓어진 이유도 한 몫 한다.

실제로 KBS 재직 중인 한 아나운서는 최근 인터뷰에서 “너도 프리랜서 할 거지? 언제 나갈 거야?”라는 질문을 많이 받는다고 밝힌 바 있다.

박지윤의 성공은 여성 아나운서들의 상징적인 지표가 되기도 했다. 2004년 KBS 아나운서로 입사한 박지윤은 2008년 프리랜서로 전향한 후 ‘욕망 아줌마’라는 애칭까지 얻으며 숱한 프로그램에서 화려한 입담과 진행 실력을 보이고 있다.

전현무의 성공 역시 눈에 띈다. 2006년 KBS 공채 아나운서로 입사, 2012년 퇴사한 그는 프리랜서 아나운서 중 가장 독보적인 영역을 구축하고 있다. 개그맨 못지 않은 입담으로 10개에 가까운 프로그램에 출연 중이다.

다른 지상파 아나운서 출신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특히 2008년 MBC를 나온 김성주는 제2의 전성기를 맞으며 다수의 프로그램에서 맹활약 중이며, 2013년 프리랜서를 선언한 MBC 전 아나운서 오상진 역시 진행은 물론 연기자로 활약하며 새로운 도약에 나섰다.

프리랜서 아나운서들은 비록 회사를 벗어났지만, 또 다른 회사에 몸을 담는다. 과거 ‘소속이 없는 불안정한 프리랜서’라는 인식이 사라지고, 이제는 대형 엔터테인먼트에 소속돼 활동의 기회와 선택의 폭이 넓어진 것이다.

전현무는 SM C&C에서 신동엽·강호동과 한솥밥을 먹고 있으며, 문지애와 오상진은 프레인TPC에서 배우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다. 또한 이지애와 윤영미는 초록뱀주나E&M에 몸담고 있다.

최근 몇 년간 방송가는 지각변동이라 불릴 만큼 종편과 케이블이 높은 시청률을 점유하며 지상파를 위협하고 있다. 양질의 콘텐츠로 승부를 보는 시대, 이제는 지상파와 비지상파라는 영역을 구분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시청률 부담’을 안고 있는 방송사로서도 고민이 많다. 작년 KBS는 2014 브라질월드컵을 앞두고, 2012년 퇴사한 자사 출신 전현무에게 캐스터 자리를 제안해 논란을 빚었다.

퇴사한 아나운서에 대해 3년간 자사 프로그램 출연을 제한하는 내부 규정을 어기면서까지 미팅을 가진 사실이 알려지자, 내부 직원들의 반대가 빗발쳤다. KBS 아나운서들과 노동조합이 전현무의 캐스터 영입을 반대하는 시위까지 벌였고, 결국 전현무는 고사했다. 사원들은 “전문성을 무시한 비상식적인 인사”라고 비판했지만, 결국 ‘아나테이너’에 목말라하는 방송사의 니즈가 드러난 사건으로 남았다.

한 방송 관계자는 “이제는 영역이 무의미 하다. 수익은 물론, 방송의 기회가 더 넓어졌기에 방송사에 소속될 필요가 없다는 생각이 갈수록 더해지고 있다”며 “이 같은 변화는 모두가 느끼고 있다. 당분간 아나운서들의 프리랜서 선택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황서영 기자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경북교육청, 초등학교 교육과정 지원단 역량 강화 연수 개최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김준 기자 | 경북교육청은 지난 5일 구미시에 있는 호텔금오산에서 초등학교 교육과정 지원단 140여 명을 대상으로 역량 강화 연수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수는 초등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전문성을 높이고, 학생 맞춤형 교육과정을 통한 삶과 성장 중심 교육 실현을 뒷받침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주말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교원이 자발적으로 참여해, 현장의 열의와 교육 변화에 대한 의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연수는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 대응하는 개념 기반 탐구학습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학교자율시간 운영 방안 △깊이 있는 학습을 위한 교육의 방향성 탐색 등으로, 교육과정 지원단의 현장 적용 역량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두고 진행됐다. 또한, 학생의 전인적 성장을 실현하기 위해 경북교육청이 새롭게 도입하는 ‘경북학생성장지원평가’에 관한 실질적인 안내도 함께 이루어져 참여자들로부터 높은 관심과 호응을 얻었다. 경북교육청은 앞으로도 ‘학생 중심’과 ‘미래 지향성’이라는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 가치를 학교 현장에 안정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해, 체계적인 교육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