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연합 류아연기자] 미국이 이란 핵합의 탈퇴 관련 후속조치로 이란산 원유 수입금지 같은 경제제재 카드를 본격적으로 뽑아들었다.
이란 핵합의 탈퇴에 이어 제재 복원을 선언한 미국이 동맹국들에게도 '이란산 원유 수입을 전면 중단해달라'고 요구했다.
기한은 일단 11월까지다.
동맹국까지 끌어들여, 이란으로의 자금유입을 차단하겠다는 뜻이다.
미국 국무부 고위 관리도 "예외국 지위를 부여하지 않겠다"고 말해, 이를 동맹국 모두에게 예외 없이 적용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만약 이를 어기는 나라는 금융 제재 같은 2차 제재를 각오해야 한다는 의미다.
당장 일본부터 이런 요구를 받았고 일본 정부는 대책 마련에 나섰다.
미국이 동맹국들까지 끌어들여 원유 수출에 제동을 걸자, 서부 텍사스산 원유가 배럴당 70달러를 돌파하는 등 국제유가는 곧바로 반응했다.
실제로 세계 3대 원유 수출국인 이란의 생산량이 감소할 경우, 국제 원유 수급은 더 불안정해질 가능성이 높다.
물론 미국 주도의 이번 제재 조치에 중국과 유럽 등이 반대하고 있어서, 그 파급력은 크지 않을 것이란 낙관론도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이란산 원유 수입 비중이 13%로 사우디 아라비아, 쿠웨이트에 이은 3번째인 만큼 최악의 상황까지 감안하지 않을 수 없다.
정부는 이란산 원유 수입량을 줄여 제재를 피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지만, 이번에는 11월까지 이란산 원유 수입을 완전히 중단하라는 요구여서 대응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