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5.11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인천 16.9℃
  • 맑음수원 17.4℃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전주 19.1℃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여수 16.8℃
  • 맑음제주 21.3℃
  • 구름조금천안 17.8℃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국제

세계적 투자가 짐 로저스, '광명동굴 기적' 찬사





워런 버핏, 조지 소로스와 함께 세계 3대 투자가로 꼽히는 짐 로저스가 '혁신 사고'의 상징으로 광명동굴과 양기대 광명시장을 언급해 화제가 되고 있다.

짐 로저스는 미국 월스트리트에서 조지 소로스와 설립한 퀀텀펀드로 수익률 4,200%를 자랑한 전설의 투자왕이다.

7일 광명시에 따르면 KBS 대표 교양 프로그램인 '명견만리' 촬영을 위해 한국을 찾은 짐 로저스(로저스홀딩스 회장)는 지난 5일 오후 여의도 KBS 스튜디오 녹화 중 양기대 광명시장을 자신의 딸에게 "광명동굴의 기적을 일군 시장"이라고 소개하며 "광명동굴에 꼭 가봐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8월 1일 짐 로저스는 '명견만리' 촬영차 KTX광명역을 방문한 데 이어 광명동굴을 관람하고 양기대 시장과 대담을 나눴다.

이 자리에서 로저스는 자신의 투자 제1원칙이 "지금은 저평가돼 있으나 향후 긍정적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곳에 투자하는 것"이라고 언급한 뒤 "양기대 시장은 광명동굴이 이러한 투자처임을 알아보는 선견지명이 있었다"고 말했다.

또 "37세에 월가를 떠난 후 세계 일주를 두 번 하면서 각지를 둘러보았기에 요즘은 어디를 가도 별로 감탄하지 않는다"며 "하지만 광명동굴에 와보니 40년 폐광을 테마파크로 바꾼 광명동굴은 세계 어디에 내놔도 손색이 없는 혁신사고의 사례"라고 여러 차례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또 두 사람은 대담에서 ▲KTX 광명역사와 광명동굴을 돌아본 소감 ▲유라시아 대륙철도와 남북철도 연결의 효과 및 한반도 경제통일시대 준비 ▲중국이 유라시아의 육상과 해상 길을 연결해 경제대국으로 우뚝 서기 위해 추진하는 일대일로(一帶一路·One belt, One road) 정책 등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대담 동영상은 양시장의 페이스북, 유튜브, 블로그 등에 공개될 예정이다.

한편 KBS 명견만리 '투자왕, 짐 로저스의 경고' 편(연출 강윤기)은 1부 '한국은 매력적인 투자처인가?', 2부 '대한민국의 생존을 말한다' 총 2부작으로 오는 11일과 18일 밤 10시에 각각 방영된다.

짐 로저스는 '명견만리' 촬영을 위해 노량진 학원가와 DMZ, KTX광명역, 서울시 글로벌창업센터 등을 찾았다. 

/광명시청  


위기사에 대한 법적 문제는 길림신문 취재팀에게 있습니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세대의 벽을 허물고, 삶의 품격을 더하다… 삼성노블카운티, 개원 24주년 맞아 공동체 축제 열어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류승우 기자 | 2001년 문을 연 삼성노블카운티가 24주년을 맞았다. 단순한 고급 주거 공간을 넘어 지역사회와 세대가 함께 어우러진 ‘공동체적 시니어 타운’으로 성장해온 이곳은, 이번 기념행사를 통해 ‘함께 나이 든다는 것’의 의미를 다시 묻고 있었다. “노년의 삶도 존엄하게”… 클래식 무대에 담긴 위로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에 위치한 삼성노블카운티는 지난 9일, 개원 24주년을 기념해 입주자와 지역주민이 함께하는 행사를 개최했다. 이날 무대에는 성악가 백재은, 곽민섭, 김수한, 김준교, 신엽 등 국내 클래식 음악가들이 출연해 품격 있는 공연을 펼쳤다. 피아니스트 김남중과 색소폰 콰르텟 ‘에스윗’이 더한 연주는, 무대와 객석을 넘나들며 참석자들의 마음을 어루만졌다. 문화 향유의 기회가 상대적으로 적은 고령층에게 ‘공연의 감동’은 단순한 오락을 넘어 삶의 활력을 회복하는 계기로 작용했다. 아이들과 어르신이 함께 쓴 ‘공감의 시’ 이날 행사에는 단지 구성원만이 아니라 지역사회와 아이들도 함께 참여했다. ‘온세대 글쓰기·그림그리기 대회’는 입주자·지역주민·어린이들이 같은 주제로 작품을 만들어내며 세대 간의 간극을 자연스럽게 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