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7.07 (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박무인천 26.9℃
  • 구름조금수원 28.8℃
  • 맑음청주 29.3℃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맑음전주 32.5℃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많음여수 27.5℃
  • 맑음제주 29.6℃
  • 구름조금천안 27.7℃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국제

국 젊은이들 ‘비결혼 독거 조류’일으켜, 중결혼이 좋은 점 없다

 결혼증 新华社发

전통적인 가정 관념이 여전히 깊이 뿌리 박은 중국 사회에서도 최근연간 결혼하지 않고 독거하는 세계 조류가 출현하고 있다.

12월 12일 싱가포르 연합조보 보도에 따르면 2,30년전 거의 모든 사람들이 결혼하는 사회 분위기가운데서 결혼하지 않고 독거하는 행위가 실패한 인생으로 취급됐으며 동정과 가련을 초래하며 심지어 사회적으로 멸시하는 대상으로 됐다.

그러나 경제 환경과 가정 관념 전환에 따라 결혼하지 않고 독거하는 생활이 대도시들에서 이제 더는 보기 드물지 않게 되고 ‘비정상’도 아니다.

“아무리 바빠도 매일 일정한 시간을 짜내 칠현금과 마주 하는데 칠현금은 자기를 즐겁게 하는 것이지 타인을 즐겁게 하는 악기가 아니다. 매번 악기 현을 만지며 음악을 할때면 자기 내심을 진정하고 옛사람의 당년 경지를 감수하게 된다.”

베이징의 한 외자 기업 재무 주관 뤄나(罗娜, 31세)는 자기의 독거 생활 감수를 서술했다. 10년전 출국 학습할때부터 그녀는 독립적 생활 습관을 양성했다. 귀국후 노임이 괜찮은 직업을 얻고 더구나 부모의 시원시원한 지지로 주택, 차도 있게 되어 한 개인의 생활이 더욱 재미있게 됐다.

칠현금을 배우고 요가를 훈련하며 거리를 거닐고 각종 흥취소조에 참가하면서 수시로 간다고 하면 곧바로 여행을 떠난다.

뤄나는 성격이 활발하고 외향적이어서 추구자들이 적지 않다. 그녀는 또 자기가 입장이 확고한 불혼주의자라고도 하지 않는다. 그녀는 구속없이 자유로운 생활때문에 잠시 결혼에 대해 마음이 움직이지 않게 됐다.

1987년에 출생한 왕루이(王瑞)는 베이징의 한 텔레비전 방송국의 편집인데 남자 친구와 3년 연애를 한후 역시 결혼과 시집을 말하기 싫어 한다.

“지금의 생황상태가 바로 내가 소원하는 것이다.”성격이 통쾌한 그녀는 “결혼은 위험성이 있다. 한장의 결혼증이 충성과 영원함을 보증하지 못한다. 아무튼 약속이다. 속박이 없어야 낭만적이 될 수있어 각별히 소중하게 여긴다. 하물며 결혼은 여러 가지 불확실성이 있다. 방화와 도적 방지를 명심해야 하며 그들 집의 고모, 이모들을 돌보아야 하며 이혼을 하면 또 상처를 입는데 기어코 결혼을 해야 할 필요가 있는가?”

이러한 경제+정신 독립적인 중국 젊은 세대들이 보건대 혼인은 별로 좋은 점이 없다. 이러한 관념에 따라 만혼, 불혼(不婚), 독거가 시장이 있게 됐다.

2015년 중국에서 비혼(非婚)인구가 2억에 독거 인구가 1990년의 6%로부터 2013년의 14.6%로 상승하여 독거 호적인수가 이미 5800만 명에 달했다. 그중 20세부터 39세 젊은 독거 호적인수가 근 2천만에 달하고 있다.

독거 인수 급증에 대해 중국 매체들은 제4차 독신 조류 습격을 대량 보도하고 있다. 그리고 또 이번 주로 미혼 청년을 위주로한 독신 조류가 초래하는 영향이 세계 대전과 같다고 지적하고 있다.

그리고 독거를 즐기는 젊은이들로 보면 사실은 여론이 과장하는 엄중성과 전혀 다르다. 한 개인의 생활이 더욱더 독립적이며 유행적이고 자유롭다는 것이다.


传统家庭观念仍然根深蒂固的中国社会,近年也开始出现了不婚、独居的世界潮流。

新加坡《联合早报》网站12月12日报道,二三十年前,在几乎人人结婚的社会氛围下,不婚独居被认为是失败的人生,是值得同情怜悯甚至被社会歧视的对象。但随着经济环境与家庭观念转变,不婚、独居的生活,在大城市里也不再那么罕见或“不正常”了。

“无论多忙,每天都要腾出一段时间与古琴相处,古琴是愉悦自己而非取悦他人的乐器。每每抚弦起乐,就能让自己的内心静下来,感受时间的流动,感受古人当年的意境。”

北京一家外企的财务主管罗娜(31岁)描述了她一个人的生活感受。自10年前出国念书起,罗娜就养成了独立生活的习惯。归国后一份薪水不错的工作,再加上父母慷慨支持她拥有房、车,一个人的生活过得更有滋有味:学古琴、练瑜伽、会友逛街、参加各种兴趣小组,也可随时来一场说走就走的旅行。

罗娜性格活泼外向不乏追求者,她也不认为自己是个立场坚定的不婚主义者,只是逍遥自在的独居生活让她暂时无法对婚姻有所动心,“或是没有遇到对的人吧”她笑道。

1987年出生的王瑞(北京一家电视台编辑)与男友相恋三年,也不愿谈婚论嫁。

“现在的生活状态就是我自己想要的”,性格爽朗的她戏谑:“结婚有‘风险’!一纸婚书并不能保证忠诚、永久,反而是个约束,没有束缚才觉着浪漫,也会格外珍惜。况且结婚有种种不确定性,防火防盗防小三,还要照顾到他们家的七大姑八大姨,离婚又会伤筋动骨,所以何必非要结婚呢?”

在这些经济+精神独立的中国年轻一代看来,婚姻似乎不会带来什么好处。在这种观念引领下,迟婚、不婚、独居变得越来越有市场。

2015年,中国非婚人口达到2亿,独居人口从1990年的6%上升到2013年的14.6%,独居户已超5800万人,其中20岁到39岁的年轻独居户接近2000万户。

独居人数激增,中国媒体惊呼第四次单身潮来袭,还有报道耸人听闻地把这次主要以未婚青年为主的单身潮将造成的影响与世界大战相提并论。而对于乐得独居的年轻人来说,事实与舆论渲染的严重性完全是两码事。一个人的生活更多意味着独立、时尚与自由。

在知识群体聚集的网络问答平台知乎上,“一个人的生活”是热点话题,获得近百万网友的关注,发言的热情远超对恋爱,婚姻,烹饪的讨论。

志同道合的独居者们分享各种的生活经验,从长途旅行,房屋装修,到买菜煲汤,甚至到备齐厕所纸等都给予事无巨细的热心指导,帮助同族群的菜鸟们适应一个人生活的不便与孤独。

学者:独居不婚 今后还将“越演越烈”

中国社科院社会学所研究员李银河受访时表示,中国已开始走向独居不婚的进程,今后还将“会越演越烈”。

她解释说,婚姻制度与喜新厌旧的人性相矛盾,而现代社会人均寿命的延长,导致现代人对传统婚姻不再钟情。

她认为:“现代社会,婚姻家庭的形成不像过去基于传宗接代或者经济互助,婚姻越来越以感情、追求浪漫爱情为基础,婚姻于是就成了一种约束, 其他什么都不是了。”

同时,人均预期寿命,在农业社会,包括西方工业化之前的传统社会只有三四十岁,“很容易从一而终,夫妇感情在没有发生变化之前,就谢世了”,而当代社会,人均预期寿命七八十岁,“固定的婚姻关系让终身只有两人,不许有别人,就出现了大量的厌倦、摩擦和痛苦。很多人不愿作茧自缚,放弃婚姻。”

此外,女性经济独立也是中国不婚独居人数走高的重要原因。

李银河说:“过去男主外、女主内,男的在外挣钱,女的在家相夫教子,女人不结婚就没有生活来源,现在女性都有经济收入来源,有选择独身的可能性了,过去没有这样可能性。”

女性情感专家苏芩受访时也表达了相似的观点, 她说:“现在女性是除了不能自己生孩子,其他事都能做,她们自身经济独立,对于婚姻,已由对物质的看重转变为对情感的更多需求。很多人不再会为没有感情的婚姻去凑合”。

2016年腾讯关于中国人婚恋调查报告显示,36.8%的单身女性认为不结婚也很幸福。

中国人不婚独居的趋势,是全世界单身浪潮下的一个反映。学者分析,单身浪潮的来临,是人类社会已经延续几百年的家庭解体过程的一个结果。人类从原始社会,到男耕女织的农业社会,再到人人离家投入工业生产,食物、衣服外包的工业社会,家庭的多项传统功能被商业所提供的便利取代,婚姻在单身者的观念中不是必需,而仅是一种选择。

不过,尽管不婚迟婚的队伍越来越大,年轻一代也学习在独处中自我提升,受访学者仍提出,在传统家庭观念仍根深蒂固的中国社会,“结婚仍有特别重要的价值”。

李银河说,“不孝有三,无后为大”的传统婚姻家庭观念几千年来已内化到民族的心理。

虽然80年代以婚姻状况衡量人生成败的观念现在已有巨大改变,但对于很多中国人来说,家庭仍在世俗宗教中占有重要角色,“中国没有神的崇拜,但有祖先崇拜,大家觉得永生不朽的渠道是由下一辈继承自己的血脉。”

她指出,在中国,即便是同性恋者,也有人与异性结婚,其中七成同婚者的目的是为了传宗接代。

她说,在同性恋的调查中,好多男同性恋是家中唯一的男孩,他们选择异性结婚的理由是“如果不结婚,不生孩子,那就对不起父母。”

此外,中国家庭有催婚、逼婚的普遍现象,“剩女”一词自2007年面世后就长期停留在话题榜等都是这一传统观念的延续。

面对这个现象,有人提出,传统家庭里的责任感、忠诚、承担、为下一代牺牲的精神,都是值得推崇的价值观与美德,社会应竭力呼吁维护以家庭为单位的社会结构,但也有人提出,现代人的生活方式和观念变得多种多样,不婚独居的比率增高已是不能扭转的趋势,一个包容进步的社会应给予更多的宽容与理解,单身者在面对衰老和死亡时,也可能需要社会资源的支持。

/ 中国日报网




위기사에 대한 법적 문제는 길림신문 취재팀에게 있습니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경북교육청, 초등학교 교육과정 지원단 역량 강화 연수 개최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김준 기자 | 경북교육청은 지난 5일 구미시에 있는 호텔금오산에서 초등학교 교육과정 지원단 140여 명을 대상으로 역량 강화 연수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수는 초등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전문성을 높이고, 학생 맞춤형 교육과정을 통한 삶과 성장 중심 교육 실현을 뒷받침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주말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교원이 자발적으로 참여해, 현장의 열의와 교육 변화에 대한 의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연수는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 대응하는 개념 기반 탐구학습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학교자율시간 운영 방안 △깊이 있는 학습을 위한 교육의 방향성 탐색 등으로, 교육과정 지원단의 현장 적용 역량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두고 진행됐다. 또한, 학생의 전인적 성장을 실현하기 위해 경북교육청이 새롭게 도입하는 ‘경북학생성장지원평가’에 관한 실질적인 안내도 함께 이루어져 참여자들로부터 높은 관심과 호응을 얻었다. 경북교육청은 앞으로도 ‘학생 중심’과 ‘미래 지향성’이라는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 가치를 학교 현장에 안정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해, 체계적인 교육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