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11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천안 29.4℃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보도자료

정부 대표포털 정책브리핑 '제9기 정책기자단' 본격 활동 - 문화체육관광부



6ㆍ25전쟁이 한창이던 1952년, 그리고 21세기를 앞둔 1999년. 태어난 연도는 다르지만, 무려 47년이라는 나이 차이를 극복하고 한자리에 모인 기자단이 있다.

국민이 직접 기자가 되어 전국의 정책현장을 누비는 정부 대표 포털 정책브리핑(www.korea.kr) 제9기 정책기자단이 바로 그 주인공이다. 제9기 정책기자단이 1월 29일(금) 발대식을 하고 본격적인 활동에 돌입한다.

문화체육관광부(장관 김종덕, 이하 문체부)는 29일(금) 오후 2시 서울 국립민속박물관 대강당에서 제9기 정책기자단 발대식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10대부터 60대까지 전 세대에 걸쳐 다양한 지역과 직업으로 구성된 정책기자단은 정책이 이뤄지는 생활현장을 찾아가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정책을 국민의 입장에서 전달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날부터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가게 되는 제9기 정책기자단은 전국 각 지역에서 공개 모집을 통해 선발됐으며, 선발된 인원은 총 200명이다. 2008년 30명으로 출발한 정책기자단은 9기째를 맞는 올해까지 총 918명의 정책기자를 배출했다.

정책기자단은 정부부처에서 활동하는 기자단 중 유일하게 나이와 직업, 지역을 초월해 활동하고 있어 더욱 주목받고 있다. 올해 새로 선발된 제9기 기자단 역시 18세 최연소 기자부터 65세 최고령 기자까지 다양한 연령대가 포진해 있다. 시조대회 대상 수상자, 스타트업 대표, 한국정책방송(KTV) 정책퀴즈왕 본선 진출자, 출판사 대표 등 기자들의 경력도 이채롭다.

새로 선발된 9기 정책기자단은 2017년 2월까지 1년간 활동하게 된다. 기자단이 작성한 기사는 정책브리핑(www.korea.kr), '다정다감(www.reporter.korea.kr)' 코너에 게재되며, 네이버ㆍ다음ㆍ네이트 등 주요 포털 사이트에서도 이 기사를 검색해 볼 수 있다. 또한 정책기자단 페이스북 페이지(facebook.com/reporterkorea)와 블로그(blog.naver.com/we-korea)에서도 기사를 만날 수 있다.

한편, 이날 발대식에서는 2015년 제8기 정책기자단으로서 적극적인 활동을 펼친 조우옥(56세), 전형(28세), 이밝음(24세) 씨가 정부와 국민 간의 소통 활성화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문체부 장관상을 수상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지방교육재정안정화, 국가가 함께 책임져야 합니다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김준 기자 |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회장 강은희 대구광역시교육감)는 8월 11일 서울 국회의원회관 제9간담회의실에서 '지방교육재정의 현재, 미래는?'이라는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국회 교육위원회 김문수 의원(전남 순천시광양시곡성군구례군 갑)과 협의회, 지방교육재정 교육감 특별위원회(위원장 임태희 경기도교육감)가 공동 주최했으며 신경호 강원도교육감, 윤건영 충청북도교육감, 김광수 제주도교육감을 비롯해 교육부 관계자, 교육재정 전문가, 시·도교육청 관계자 등 50여 명이 참석했다. 김영호 국회 교육위원장(서울 서대문을)은 서면 축사를 통해 고교 무상교육 국가 부담 연장 등 교육에 대한 국가 책임 강화를 강조하며, 안정적이고 차별 없는 교육환경 조성을 위한 의지를 밝혔다. 토론회에 참석한 김문수 국회의원, 임태희 특별위원장, 강은희 협의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지방교육재정의 안정적 확보와 교육자치 강화를 위한 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은 시·도교육청이 실제로 직면하고 있는 재정 여건과도 깊이 맞닿아 있다. 17개 시·도교육청은 지난 3년간 세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