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5.16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인천 16.9℃
  • 맑음수원 17.4℃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전주 19.1℃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여수 16.8℃
  • 맑음제주 21.3℃
  • 구름조금천안 17.8℃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美 경기둔화로 연준계획 헝클어져, 금리인상 빨라야 9월


[데일리연합 이주영 기자]미국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이후 기준금리 인상 시점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금리 인상 시점을 유추할 만한 언급이 모두 사라지면서 6월 인상은 물 건너갔고 빨라야 9월에나 기준금리가 오를 것이라는 게 중론으로 자리 잡았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는 29일(현지시간) FOMC 정례회의 결과를 발표하면서 "고용시장이 더 개선되고 물가가 목표치인 2%로 움직인다는 합리적 확신을 가진 뒤에" 기준금리를 올리겠다는 기존 입장을 반복했다.  금리 인상 시점을 암시해주던 문구들은 이번 달 연준의 성명에서 모두 빠졌다.

지난달 연준의 성명에는 '선제안내의 변화가 목표금리 인상 시점의 결정을 뜻하지 않는다' 등의 문구가 포함됐었다. 금리 인상 시점과 관련해 직접적인 언급이 없었던 만큼 연준의 성명서를 놓고 해석이 더욱 분분해진 모습이다. 인상 시점을 놓고 갑론을박이 한창이지만 일단 '6월 인상론'은 시장에서 자취를 감출 것으로 보인다.

미국 경기가 금리를 인상할 만큼 확실한 회복세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의 지난 1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연간 기준 0.2%로 잠정 집계됐다. 이는 시장 기준치(1.0%)를 밑도는 수치로 '나홀로 성장'을 이어간 미국 경기 회복에 의문을 던지기에 충분했다.

연준도 '강한 호조'를 보인다고 판단했던 노동시장을 '완만하다'로, 가계 지출을 '완만한 증가'에서 '감소'로 변경하면서 경기 둔화를 인정했다. 달러화 강세와 저유가, 항만파업, 한파 등이 종합적으로 미국 경기 둔화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JP모건의 마이클 페롤리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미국의 경제 지표가 실망스러워 사탕발림하기도 어렵다"고 말했다. 미국 경제의 회복 추세에 의문 부호가 붙으면서 기준금리 인상이 늦어질 것이라는 관측이 강해지고 있다.

지난주 블룸버그통신이 경제전문가를 상대로 한 설문조사에서는 73%가 9월이 미국의 금리 인상이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응답자 대부분이 6월이나 7월에 금리가 올라갈 것이라고 본 지난달 조사와는 확연히 달라진 결과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경기 둔화가 (금리 인상과 관련한) 연준의 계획을 헝클어놓았다"며 금리 인상 시점의 불확실성이 커졌다고 평가했다. 다만 미국 연준이 경기 둔화를 일시적인 현상으로 판단하고 미국 경기가 전통적으로 1분기에 약했다는 점 등을 근거로 금리 인상이 올해를 넘기지는 않을 것으로 시장은 예상했다.  블룸버그는 "연준이 1분기 경기 둔화를 과소평가하면서 올해 하반기 내에 금리를 올릴 가능성을 열어뒀다"고 말했다. 

이은택 SK증권 연구원도 "2010년 이래로 미국의 1분기 실적은 항상 '쇼크'였고 2분기는 2011년을 빼면 '서프라이즈'였다"며 "6월보다는 2분기 성장률의 발표 후인 9월에 금리가 올라갈 가능성이 더 크다"고 설명했다.

반면 미국 경기가 빠르게 회복되지 않으면 올해 아예 금리 인상이 없을 수도 있다는 의견도 있다.

한편 미국의 1분기 경제성장률이 예상에 크게 못 미치는 것으로 나오자 월가는 2분기 성장 전망치를 속속 하향 조정해 미국 경기에 대한 불안감은 더욱 커지는 상황이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