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23 (토)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전북

제7회 섬진강 사생공모전 대상에 ‘채계산 가는 길’

실력있는 화가부터 학생들이 대거 참여해 공모전의 수상작 수준도 점차 높아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정은서 기자 | 순창군은 지난 1일 제7회 섬진강.강천산 전국 사생공모전 일반부 대상에 김정숙(전북 남원)씨의 ‘채계산 가는 길’이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어 박성진(전북 전주)씨의 ‘아름다운 시절’이 최우수상의 영광을 안았고, 학생부는 박소영 학생(대구함지고 2학년)의 ‘임순여객’이 대상을, 김민서 학생의 ‘출렁다리와 나’와 신소율 학생의 ‘아름다운 강천산’, 최모경 학생의 ‘나의 여름 이야기’등이 금상을 수상했다.

 

섬진강.강천산 전국사생공모전은 순창군이 천혜의 비경을 간직한 섬진강을 비롯해 강천산, 채계산 등 대표 관광지의 아름다운 모습을 한 폭의 그림에 담고자 지난 2015년부터 개최됐다. 올해로 7회째를 맞이하며 전국의 실력있는 화가부터 학생들이 대거 참여해 공모전의 수상작 수준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지난 10월 한달 간 작품접수를 통해 전국에서 일반부 90명, 학생부 378명 등 총 468명이 참가했으며, 이는 지난해 대비 101명이 증가한 수치다. 전북 지역외에도 서울, 인천, 경기 등 수도권에서 100명이 넘는 인원이 참가하며 전국 단위 공모전으로서의 높은 인기를 실감케했다.

 

군은 공정한 심사를 위해 미술학회 관계자와 교수 등으로 심사위원단을 꾸려 심사위원간의 심도있게 의견을 교환해 참가자들의 노력을 헛되지 않게 하기 위해 심혈을 기울였다.

 

심사를 맡은 박동열 심사위원장도 “이번에 출품된 작품 모두 높은 수준을 지니고 있어서 심사에 어려움이 많았다”면서 “심사위원 모두 공정한 심사를 위해 장장 6시간에 걸쳐 진지하게 심사에 임하면서 많은 의견교환을 통해 작가들의 열정과 노력을 헛되게 하지 않으려 했다”고 심사평을 남겼다.

 

이번 공모전 입상작은 일반부 32점, 학생부 69점 등 총 101점이며, 일반부 대상 수상자에게는 상금 500만원과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이, 학생부 대상에게는 상금 50만원과 교육부장관상이 수여된다.

 

군은 이번 공모전 입상한 작품에 대해서는 순창읍 옥천골미술관에 내년 1월에 전시회를 가질 예정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금리 인상 속도 조절 가능성에 따른 증시 반응 분석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최근 미국 연준의 금리 인상 속도 조절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국내 증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미국 경제 지표의 둔화와 인플레이션 압력 완화 조짐이 금리 인상 중단 또는 속도 조절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만약 연준이 금리 인상 속도를 조절하거나 동결을 결정한다면, 달러화 강세 압력이 완화될 가능성이 높다. 이는 국내 증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달러화 가치 하락은 수출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외국인 투자 유입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금리 인상 중단이 경제 성장 둔화를 야기할 것이라는 우려도 존재한다. 금리 인상은 통상적으로 경제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며,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질 경우, 투자 심리가 위축될 수 있다. 따라서, 증시의 반응은 연준의 정책 결정뿐만 아니라, 경제 지표의 흐름과 시장 심리에 따라 복합적으로 결정될 것이다. 전문가들은 현재 상황을 신중하게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한다. 미국 경제의 불확실성이 여전히 존재하며, 국내 경제 상황 또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