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24 (일)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전북

순창군, 발효식품 발전에 기여... 공로상 수상

지난달 27일~30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학술대회 심포지엄에서
한국 장류의 기능성과 마이크로바이옴 연구성과 바탕으로 전문가 참여 학술 논의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정은서 기자 | 순창군이 최근 열린 한국식품 영양과학회 2021 국제학술대회에서 한국식품영양과학회로부터 한국 전통 식품발전에 기여한 공을 인정받아 ‘공로패’를 수상했다고 밝혔다.

 

순창군은 코로나 19 팬데믹 이후 국내 전통 발효식품 수출이 획기적으로 증가하는 등‘K-푸드’열풍이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시점에서 2020 농림축산식품부가 주관하는 안전성 모니터링 선행 연구사업을 시작했으며, 이어 2021년부터 2022년까지 장류 기능성 규명(안전성 모니터링) 연구사업을 통해 장류의 우수성을 과학적으로 규명하는데 본격화했고, 이를 기반으로 확보한 연구성과로 전통발효 식품에 대한 세계인들의 신뢰도를 높일 있는 계기 마련에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받았다.

 

공로패를 수상한 순창군은 지난 29 열린 한국식품 영양과학회 2021 국제학술대회에서 ‘한국 장류의 기능성과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 and Funtionality of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를 주제로 심포지엄도 개최했고, 이번 심포지엄에서 연사로 나선 호서대학교 박선민 교수는 ‘청국장 섭취가 장내 미생물-- 축을 통한 인슐린 민감성에 미치는 영향(Promotion of insulin sensitivity with chungkookjang intake through gut microbiota-liver-brain axis), 서울대학교 김영훈 교수는 ‘항생제 처리 마우스 모델에 바실러스를 이용한 프로바이오틱스 급여에 따른 장내 미생물 기능 회복 효과(Bacillus-based probiotics supplementation restores homeostasis of gut microbiome and function in antibiotics-treated mice), 전북대학교 차연수 교수는 ‘고추장의 만성질환 예방효과(Protecitive effects of gochujang on chronic disease)’에 대한 연구성과에 대한 결과를 발표했다.

 

황숙주 순창군수는 “이번 국제 학술대회 심포지엄 개최를 통해 전통장류의 안정성 우수성을 과학적으로 규명하여 우리나라 사람들뿐만 아니라 세계인들이 믿고 섭취할 있도록 연구 성과를 토대로 전통장류를 홍보하였다”면서 “이를 통해 수출 확대는 물론 전통장류의 신뢰도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폭염 속 열악한 노동 환경 문제 심각… 정부 대책 효과 미흡 논란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최근 극심한 폭염으로 인해 야외 작업장 노동자들의 건강과 안전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잇따른 온열 질환 발생과 열사병으로 인한 사망 사례가 보고되면서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정부는 폭염 대책으로 휴식 시간 확보, 작업 환경 개선 등을 권고하고 있으나, 현장에서는 이러한 대책이 제대로 이행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많다. 특히, 건설 현장이나 택배 배송 등 야외 작업 환경은 열악한 경우가 많아 노동자들의 피해가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계에서는 정부의 대책이 현실과 동떨어져 있다고 비판하며, 더 강력한 법적 규제와 처벌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폭염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 문제도 심각하게 제기되고 있다. 일부 기업에서는 폭염으로 인한 생산 차질을 이유로 인력 감축을 시도하는 사례도 보고되면서 사회적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전문가들은 폭염으로 인한 노동 환경 악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 기업, 노동자 간의 적극적인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특히, 기업의 자발적인 노력과 정부의 강력한 규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