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24 (일)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전북

순창군, 한국을 대표하는 관광도시로의 도약을 준비

섬진강 카누 이어 동력 패러글라이딩 등 액티비티 활동 늘어나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정은서 기자 | 한국을 대표하는 관광도시로의 도약을 준비하는 순창군이 섬진강 카누에 이어 대표 항공레저스포츠인 동력 패러글라이딩까지 액티비티를 다양화하며 섬진강을 십분 활용하고 있다.

 

순창군은 천혜의 자연환경이 뛰어난 섬진강을 활용해 카누와 채계산 출렁다리, 용궐산 하늘길에 이어 대표 항공레포츠인 동력 패러글라이딩 운영을 준비하고 있다. 이와 관련 지난 6 ㈜무빙트립(대표 신현오) 업무협약을 맺고 관련 행정절차를 마쳤으며, 유명 유튜브 채널에도 홍보에 나서는 막바지 준비가 한창이다.

 

이달 운영을 목표로 만반의 준비를 마쳤으나 전국적으로 델타 바이러스 확산세가 거세져 다음 달부터 운영을 본격화 계획이다.

 

동력 패러글라이딩은 기존 패러글라이딩에 동력장치를 결합한 것으로 항공기에 부착된 모터에서 동력을 얻어 일반 비행기처럼 지상에서 바로 떠오르며 상공에서 15~30분가량 비행한다. 특히 발로 동력을 얻어 하늘로 날아오르는 기존 패러글라이딩과 다르게 지상에서 모터의 동력으로 출발하다보니 장애인과 일반인 모두가 제한없이 즐길 있고, 전문 조종사가 동반 탑승해 운행되기 때문에 안전하게 스릴을 만끽할 있다.

 

섬진강 유등 체육공원에서 시작해 순창 전역을 하늘에서 바라볼 있고, 섬진강의 아름다운 비경도 감상할 있어 순창을 대표하는 관광 콘텐츠 하나로 자리매김할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해당 운영업체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장애인이 탑승가능토록 동력 패러글라이딩을 특수 제작하는 장애인들도 제한 없이 즐길 있어 벌써부터 전국에서 문의가 이어지고 있어 운영에 대한 기대감이 높다.

 

황숙주 순창군수는 “천혜의 자연환경을 활용하고자 섬진강을 따라 관광콘텐츠 개발에 노력하고 있다”면서 “카누와 항공레저스포츠 다양한 액티비티 활동을 순창에서 경험할 있도록 관련 콘텐츠 개발에 적극 나서겠다”고 밝혔다.

 

한편 군은 섬진강을 따라 채계산 출렁다리와 전동바이크 체험, 용궐산 하늘길, 섬진강 미술관, 섬진강 카누 섬진강을 따라 이어진 관광로드에 관광콘텐츠를 하나씩 늘려가면서 섬진강의 아름다운 자연과 최대한 어우러지도록 관광에 대한 신산업과의 접목을 시도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폭염 속 열악한 노동 환경 문제 심각… 정부 대책 효과 미흡 논란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최근 극심한 폭염으로 인해 야외 작업장 노동자들의 건강과 안전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잇따른 온열 질환 발생과 열사병으로 인한 사망 사례가 보고되면서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정부는 폭염 대책으로 휴식 시간 확보, 작업 환경 개선 등을 권고하고 있으나, 현장에서는 이러한 대책이 제대로 이행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많다. 특히, 건설 현장이나 택배 배송 등 야외 작업 환경은 열악한 경우가 많아 노동자들의 피해가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계에서는 정부의 대책이 현실과 동떨어져 있다고 비판하며, 더 강력한 법적 규제와 처벌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폭염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 문제도 심각하게 제기되고 있다. 일부 기업에서는 폭염으로 인한 생산 차질을 이유로 인력 감축을 시도하는 사례도 보고되면서 사회적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전문가들은 폭염으로 인한 노동 환경 악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 기업, 노동자 간의 적극적인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특히, 기업의 자발적인 노력과 정부의 강력한 규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