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Union (Monthly, Korea News Newspaper) Ryu seungwoo Journalist | The recent Osong disaster is raising serious questions about Kumho E&C ESG management. Kumho E&C CEO Cho Wan-seok is embroiled in a whirlwind of legal responsibility as he is named the final payer for the temporary embankment project. In the disaster caused by the collapse of a temporary embankment at the site of the expansion of the Mihocheon Bridge in Osong, the head of the site and the head of the supervision were sentenced to the highest court sentence, CEO Cho Wan-seok's theory of responsibility is being highlighted again. On the 31st of last month, the Cheongju District Court sentenced the field director A and the supervisor director B to 7 years and 6 months in prison, respectively. This made it clear that the insolvent levee was directly related to the disaster. /seoul = Ryu seungwoo Journalist. invguest@itimesm.com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주언 기자 | 최근 발생한 오송참사는 금호건설의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경영에 심각한 의문을 던지고 있다. 금호건설 조완석 대표는 임시 제방 공사의 최종 결재자로 지목되면서 법적 책임의 소용돌이 속에 휩싸였다. 지난 1월 취임한 조완석 대표는 금호건설의 플랜트 사업뿐 아니라 주택, 건축, 토목 분야에서도 양호한 실적을 기대한다고 밝혔으며, 공공 수주에서 지속적인 성과를 예고했다. 그러나 오송참사로 인해 그의 리더십과 경영 철학이 큰 도전에 직면했다. 오송 미호천교 확장공사 현장의 임시 제방 붕괴로 발생한 참사에서 현장소장과 감리단장이 법정 최고형을 선고받으면서, 조완석 대표의 책임론이 다시금 부각되고 있다. 청주지법 형사5단독 정우혁 부장판사는 지난달 31일 현장소장 A씨와 감리단장 B씨에게 각각 징역 7년 6개월과 6년을 선고했다. 이로 인해 부실 제방이 참사와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다는 점이 명확히 드러났다. 시민사회는 금호건설 최고책임자에 대한 처벌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충북시민사회단체연대 관계자는 “최고책임자에 대한 책임을 묻는 것이 앞으로 더 중요하다”며 “기업이 꼬리자르기로 끝나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조완석 대표가 주창한 ESG 경영이 단순한 구호에 그치지 않고, 실질적인 안전 관리와 근로자 교육으로 이어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기업의 윤리적 경영과 책임 있는 행동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점이다. 한편, 금호건설의 시장 신뢰도는 주가에도 반영되고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금호건설 주가는 최근 3950원으로 거래되고 있으며, 교보증권은 금호건설 목표주가를 종전 6500원에서 6000원으로 하향 조정했다. 이는 1분기 실적 부진과 연간 실적 추정치 하향에 따른 것이다. 한국기업평가 역시 금호건설의 기업신용등급(ICR)을 'BBB-(안정적)'에서 'BBB-(부정적)'으로 변경했다. 이는 수익성 저하와 운전자본투자 등에 따른 현금흐름 약화로 재무 부담이 확대되었기 때문이다. 오송참사는 금호건설이 ESG 경영을 실천하는 데 있어 중대한 시험대가 되고 있다. 조완석 대표는 이번 사건을 계기로 더욱 철저한 안전 관리와 근로자 교육을 통해 신뢰를 회복해야 할 것이다. 시민들과 업계의 이목이 집중된 가운데, 금호건설이 앞으로 어떻게 변화할지 주목된다.
Daily Union (Monthly, Korea News Newspaper) Ryu seungwoo Journalist | Coupang's responsible management, announced in May last year, is facing a crisis as Coupang Logistics Services is under fire for manipulating the district bidding system, receiving sexual hospitality and bribery. On January 10, the Korean Confederation of Trade Unions' courier union held a press conference in front of Coupang's headquarters on manipulating the Coupang bidding system, He condemned Coupang's cheating and called for a thorough investigation, cleansing, and the abolition of the open bidding system. The courier union claims that it has detected the situation that the delivery area was unfairly allocated by providing bribes and sexual hospitality to Coupang CLS managers to win a bid for the area at the Coupang CLS Gyeonggi-do's detailed agency. According to a Coupang official, "Coupang CLS quickly investigated related employees on the report and took strict measures," adding, "We will also take appropriate measures depending on the results." Issue Dig Up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곽중희 기자 | 쿠팡로지스틱스서비스(이하 '쿠팡 CLS', 공동대표 이선승, 강용오 홍용준)가 구역 입찰 시스템 조작, 성접대 및 뇌물 수수 등 구설수에 오르면서, 지난해 5월 발표한 쿠팡의 책임 경영이 위기 국면을 맞이한 것으로 보인다. ▲계속되는 쿠팡CLS-일부 대리점 간 성접대-뇌물 의혹 지난 1월 10일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전국택배노동조합(이하 택배노조)은 쿠팡 본사 앞에서 쿠팡 입찰 시스템 조작 관련 기자회견을 열고, 쿠팡의 부정행위를 규탄한다며 철저한 전수조사와 클렌징 및 공개입찰제의 폐지를 촉구했다. 택배노조는 쿠팡CLS 경기 세부 대리점에서 구역을 낙찰받기 위해 쿠팡CLS 관리자들에게 뇌물·성접대 등을 제공, 배송구역을 부당하게 배정받은 정황을 포착했다고 주장했다. 택배노조 측에 따르면, 쿠팡의 행태가 택배노동자들의 생존권을 위협하고 있으며, 특히 배송구역 배정 문제는 택배노동자들의 수익과 생계에 직결되는 민감한 문제로 그동안 쿠팡CLS는 평소 클렌징과 공개입찰제를 통해 계약기간이 남아있음에도 배송구역을 수시로 회수하고 배정해 상시적 고용불안을 낳고 있다. 진경호 택배노조 위원장은 "모든 택배노동자가 자신의 구역에서 나오는 물량을 배송하는 것은 계약서에 명시된 기본 사항"이라며 "쿠팡CLS는 계약서상의 한 문장을 악용해 구역을 강제로 회수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뇌물과 성접대를 통해 구역을 양도하는 불법 행위가 벌어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철저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렇게 빼앗은 구역을 뇌물·성접대 등을 통해 다른 대리점에게 양도하는 불법적이고 비열한 방식이 벌어지고 있다는 것이 폭로됐다"며 "이를 제공한 자와 제공받은 자에 대해 엄중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석운 택배노동자 과로사대책위원회 상임대표는 "쿠팡CLS의 제반 시스템이 뇌물·성접대의 구조적 원인을 제공한 것이 아닌지와 이런 부정행위를 방지하기 위해 생활물류서비스산업발전법상 표준계약서 사회적 합의를 이행할 용의가 없는지 방침을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 당시 기자회견에 대해 쿠팡 측은 "쿠팡CLS는 제보 사안에 대해 관련 직원을 대상으로 신속하게 조사해 엄정하게 조치했다"며 "현재 조사하고 있는 사안 역시 결과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제보팀장 제보로 재조명, 쿠팡 측 "허위 사실로 법적 대응할 것" 경고 최근 쿠팡CLS의 성접대와 뇌물 의혹은 언론사 통합 제보 플랫폼인 제보팀장 보도를 통해 한 번 더 재조명됐다. 제보팀장에 따르면, 한 제보자가 쿠팡CLS의 임직원들이 위탁업체(대리점)으로부터 성접대 및 뇌물수수를 받았다며 녹취록과 자료 등을 제공하며 제보를 해왔다. 제보팀장이 공개한 녹취록, 사실관계확인서 등 자료에는 쿠팡CLS의 위탁업체 임직원이 쿠팡CLS의 임직원을 대상으로 성접대를 하고 뇌물을 수수한 것으로 보이는 내용들이 포함돼 있다. 녹취록과 제보자 증언에 따르면, 쿠팡 CLS 임직원들은 위탁업체 관계자들에게 성접대를 받고 현금 뇌물을 수수한 후 중요한 물류 권역을 직접 배정받는 등 부당한 혜택을 주었다. 제보자는 "위탁업체 대표가 직접 뇌물을 제공했다"며 이번이 단순한 일회성 사건이 아님을 주장했다. 제보자에 따르면, 위탁업체가 쿠팡 CLS 임직원들에게 성접대와 뇌물 수수를 하는 데 결정적인 이유가 있다. 쿠팡 CLS는 쿠팡의 물류를 담당하는 회사로 물류 권역을 위탁업체들에게 입찰식으로 배당하는데, 쿠팡 CLS 임직원에게 뇌물수수와 성접대를 하면 중요한 물류 권역을 입찰 방식이 아닌 직접 배당식으로 선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경쟁하는 타 위탁업체들 보다 편의와 이익을 극대화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제보자는 쿠팡CLS의 위탁업체가 이번 사안에 대한 쿠팡 본사의 조사 결과를 회사(위탁업체) 내부에 공지했다고 밝혔다. 제보팀장이 입수한 공지문에는 내부 신고자들의 이름과 함께 "신고자들의 일탈과 잘못된 행위로 페널티를 받게 됐으며, 앞으로 이와 같은 신고가 발생하면 위탁업체 자신들의 생계에 위협이 될 수 있다"는 권고의 내용이 담겨 있다. 제보팀장에 따르면, 제보 당시 제보팀장 측이 제보에 대한 입장을 듣기 위해 쿠팡 측에 접촉했지만 쿠팡 측에서는 아무런 대응도 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아이타임즈M 이슈보도탐사팀 취재 결과, 쿠팡 측은 성접대, 뇌물 수수 등 이번 사안에 대해 "모두 허위 사실"이라며 강경한 법적 대응을 예고했다. 쿠팡 관계자는 "제보자가 악의를 가지고 제보팀장에 거짓 제보를 한 것 같다. 사실 확인이 되지 않은 내용을 배포-보도한 것으로, 법무팀에서 법적 대응을 진행 중이다"고 일축했다. 한편 제보팀장에 따르면, 이번 사건은 현재 반부패 수사대의 수사망에도 오른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인천-전남 등 각 지역 경찰청 반부패 수사대가 제보팀장에 가입해 인지 수사를 위해 자료를 요청했고, 5월 27일 경찰청 반부패 수사대와 제보자의 만남이 약속된 것으로 전해졌다. 아이타임즈M 이슈보도탐사팀 이 추후 경과를 확인하기 위해 제보자와 접촉했지만 연락이 되지 않았고 수사와 관련해 확인된 내용은 아직 없는 상황이다. ▲ 쿠팡CLS, ESG 경영 돌입 1년만에 '도마' 오르나? 쿠팡에 대한 성접대 및 뇌물수수 의혹이 거듭 거론되면서, 쿠팡의 책임 경영은 선포 1년만에 도마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쿠팡CLS는 지난해 3인 각자 대표이사로 전환하면서 책임경영 강화를 통한 고객경험 혁신을 발표했다. 당시 쿠팡CLS는 강현오 운영부문 대표이사, 이선승 신사업부문 대표이사, 홍용준 경영지원부문 대표이사를 선임하고 3인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시너지를 낼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사회, 지배구조 등 윤리 경영을 포함하는 ESG 부분을 맡은 홍용준 대표이사는 CLS의 기업법무 전반을 담당하며 컴플라이언스, 안전보건, 인사 등 ESG 경영 강화를 위한 업무에 집중한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연이은 성접대-뇌물 수수 의혹이 쿠팡CLS의 책임 경영 발표가 허물뿐인 가짜 개혁에 불과하며, 쿠팡의 책임경영의 부실성을 보여주는 사례라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책임경영 발표 당시 홍용준 대표이사는 “CLS는 차별화된 운영 정책과 지속적인 대규모 투자를 통해 기존 물류업계의 고질적인 문제들을 개선해 오는 등 업계를 선도하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하지만 불거진 의혹이 업계에서 이뤄져 온 관행과 크게 다르지 않음을 보여준다는 시각이다. 공격적인 마케팅과 시장 선점으로 국내 no.1 이커머스로 성장한 쿠팡. 이번 사태에 대한 대응을 통해 쿠팡과 자회사인 CLS가 책임경영을 통해 구설수를 잠재우고 나아갈 수 있을지, 아니면 계속해서 의혹을 떠안고 갈지 세간의 시선이 주목된다.
Daily Union (Monthly, Korea News Newspaper) Ryu seungwoo Journalist | Suspicions have been raised that a group of MG's branches, which caused great controversy due to the bank run scandal last year, tried to defraud the property worth 110 billion won through internal collusion, which is expected to have a ripple effect. According to a report obtained by iTimesM, a large group of 21 Saemaul Geumgo branches in Busan, including Daeyeon 6-dong Saemaul Geumgo, refused to cancel the sale of the stock because of the loss of the due profit, and plotted an internal collusion to hand over the property by designating a buyer in advance. The informant said, "At the meeting of the main delegation, an official of MG in Choeup-dong said, "The buyer is ready and has already received a letter of intent to bid." The bank presidents and executives of the MG Central Association could not have known about the matter, he said. "We need to quickly clarify whether the executives of the Central Association will intervene and their position.“ Issue Dig Up In particular, the internal unity of the chairman and executives of Daeyeon 6-dong and Choeup-dong MG, which are at the center of collusion, should also be thoroughly investigated. In a situation where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are working together to overcome the real estate PF crisis, if there was an illegal act in MG, it is expected to have a big impact on the financial industry as there is a problem with MG's internal soundness and management ethics. /seoul = Ryu seungwoo Journalist / invguest@itimesm.com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곽중희 기자 | '메가MGC커피(윤영사 앤하우스, 대표 김대영)'의 큐브라떼 음료에서 바퀴벌레가 나왔다는 제보가 들어와 논란이 일고 있다. 언론제보플랫폼 제보팀장에 따르면, 지난 24일 한 제보자는 메가커피 부산 광복 2호점에서 큐브라떼를 테이크아웃해 집에서 두고 냉장고에 보관했다가 다시 마시던 중 음료 속에서 바퀴벌레를 발견했다. 충격을 받은 제보자는 어머니와 함께 해당 매장을 찾아 항의했으나, 담당자는 바퀴벌레가 제조 과정에서 들어갈 리가 없다며 보상을 거부했다. 제보자는 담당자에게 연락처를 남기고 매니저의 연락을 기다렸으나, 이틀이 지나서야 환불 처리만 가능하다는 답변을 받았다. 제보자는 "이번 사건으로 매우 당황스럽고 화가 났다"고 심정을 전했다. 아이타임즈M 이슈보도탐사팀이 메가커피 관계자를 취재한 결과, 메가커피 관계자는 "해당 매장은 세스코의 정기적 검사로 해당 바퀴벌레가 매장에서 서식할 가능성은 희박하다. 게다가 해당 매장은 주기적으로 세스코를 통해 위생 관리를 하고 있는 곳이다"고 설명했다. 이어 "바로 사과를 하지 않았다는 내용도 허위다. 매장 관계자는 본사 컴플레인 매뉴얼을 따라 바로 제보자에게 사과했다. 메가커피는 세스코와 협약을 맺고 위생에 철저를 기하고 있다. 이런 점을 꼭 알아주셨으 면 한다"고 해명했다. 메가커피는 국내 저가형 커피 브랜드로 3000호점을 돌파하며 글로벌 시장 진출을 눈앞에 두고 있다. 한편, 지난해 메가MGC커피는 사용하는 원두의 통관하는 과정에서 곰팡이 독소 성분인 오크라톡신A가 검출됐다는 논란으로 곤욕을 치르기도 했다. 당시 메가커피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해당 제품에 대한 인수를 거절하고 반송조치해 시중에 유통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메가MGC커피의 규모가 점점 커지는 상황에서, 운영사인 앤하우스 김대영 대표의 책임경영에 대한 기대는 앞으로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 관심과 사랑으로 성장한 만큼 진정성을 인정받기 위해 특히 각 매장의 위생 관리와 고객 응대 방식에도 더욱 심혈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Daily Union (Monthly, Korea News Newspaper) Ryu seungwoo Journalist | The SDIJ academy, which was fined hundreds of millions of won by the Fair Trade Commission in 2023 for false advertisements that half of the medical school's regular admissions were from SDIJ, has been at the center of controversy this time due to excessive demand for textbooks. Textbooks per subject cost 130,000 won to 280,000 won per month. The problem is that textbooks are being sold in a hard-sale method, not in a hard-sale method. The academy should allow students to select and purchase only the textbooks they need, but individual choices are currently not possible. Students have to cry and buy a set of lectures and textbooks, In this case, if you refund unnecessary textbooks, you will not be able to take lectures. Students and parents are complaining about this. /seoul = Ryu seungwoo Journalist. invguest@itimesm.com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곽중희 기자 | 지난해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의대 정시 합격자 중 절반이 시대인재 출신이라는 허위 광고로 수억원의 과징금을 부과받은 바 있는 시대인재(하이컨시, 대표 박근수)학원이 이번에는 과도한 교재비 요구로 논란의 중심에 섰다. 최근 시대인재 학원은 수강생들에게 교재를 강매 아닌 강매 방식으로 판매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학원 측은 수강생들이 필요한 교재만 선택해 구입할 수 있도록 해야 하지만 현재는 개별 선택이 불가능하다. 수강생들은 울며 겨자먹기로 강의와 교재를 세트로 구입해야 하며, 이 경우 필요 없는 교재를 환불할 시 강의를 들을 수 없게 된다. 이에 수강생들에게 교묘하게 강매를 하는 것이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시대인재의 한 과목당 교재비는 한 달에 약 13-28만원이다. 문제는 수업 시간에 다루지도 않는 교재까지 강제로 구입하게 한다는 점이다. 이에 학부모들은 불만을 호소하고 있다. 강남, 서초, 송파 등 일대의 학부모들이 애용하는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다 풀 수도 없는 교재를 무조건 사야한다니 이건 강매다", "필요 없는 교재까지 사야하고 환불하면 강의를 들을 수도 없다", "교재가 너무 많고 지나치게 비싸다", "환불 정책도 제각각이다"는 등 불만의 목소리가 올라왔다. 대다수 시대인재에서 판매하는 교제가 필요가 없는데 사야하는 교재가 많고 사지 않으면 강의를 수강을 할 수 없는 등 강매에 해당한다는 내용이다. 한 학부모는 “수능 다섯 과목을 수강할 때 한 달 교재비가 약 80-100만원(수강료 150만원)에 달하지만, 해당 수강생이 다 풀 수 있는 분량이 아니어서 몇 권만 사고 몇 권은 구매하지 않겠다고 하니, 시대인재 학원 측에서는 모든 교재를 구매해야만 수업 참여가 가능하다고 강요했다”고 토로했다. 또 따른 학부모는 "교육청에 민원을 접수했으나 학원 교재비는 갯수와 금액 제한이 없어 법적 제재는 어렵다는 답변을 받았다며 교육청의 미온적인 태도에 이해가 되지 않고 이러한 행태가 편법을 악용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아이타임즈M 이슈탐사팀이 시대인재 학원측에 인터뷰한 결과, 학원 관계자는 "교재를 강매한 적은 없다. 교재비를 환불해 달라고 하면 해줬으며, 다만 교재를 구매하지 않을 시 해당 과목에 대한 원활한 수강이 어려울 수 있다는 점은 설명드리고 있다. 다만 환불 요청을 한 분들이 100명 아래로 소수이며 오히려 더 다양한 교재(콘텐츠)를 만들어 달라는 반대 의견도 많아 곤란한 입장이다"고 해명했다. 강남교육청 관계자는 "학원에서 직접 교재를 판매하는 건 불법이나, 별도로 출판사 사업자를 내서 교재를 판매하는 건 법적으로 문제가 없다. 따로 교재비와 관련해서 어떻게 할 수 있는 부분은 없다"고 설명했다. 한편, 3월 27일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이하 개인정보위)가 발표에 따르면, 지난 3월 시대인재 학원 운영사인 하이컨시의 온라인 강의 사이트에서 회원 1만 5,143명의 이름 등 개인정보가 대거 유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개인정보위는 시대인재 학원을 운영하는 하이컨시에 대해 과징금 2억 8,000만 원과 과태료 1,020만 원을 부과했다. 개인정보위 조사에 따르면, 하이컨시에서는 해커의 웹 취약점 및 무차별 대입(Bruteforce) 공격으로 회원 15,143명의 성명, 휴대전화번호 등 개인정보가 유출됐다. 해킹 공격을 당한 누리집에 침입탐지시스템 등을 운영하지 않은 것은 물론, 관리자 페이지에 접속 시 안전한 인증 수단을 적용하지 않았다. 또한, 유출인지 후 24시간을 경과하여 유출신고·통지를 완료하는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29조의 안전조치 의무 및 제39조의4제1항의 유출신고·통지 의무를 제대로 지키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아울러 하이컨시는 지난해 12월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부당 광고 행위로 제재를 받기도 했다. 공정위에 따르면, 하이컨시는 근거 없이 '수강생 수 1위'라고 광고하거나, 의대 합격 수강생 수를 부풀린 것으로 파악돼 3억 천 800만 원의 과징금을 부여받았다. 하이컨시는 시대인재 학원 운영사로 사교육 1번지인 대치동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학원으로, 오우석씨가 2013년 10월 '시대인재 학원'으로 처음 창업했다. 시대인재는 2016년 11월 하이컨시 이름의 법인으로 전환했다. 시대인재는 서울 대치동의 중소형 학원을 타깃으로 연쇄적인 인수합병(M&A)를 추진해왔으며 2017년에는 재수종합반을 개강하고 2020년 10월에는 알짜배기 소형학원 S1학원까지 흡수 합병했다. 이어 2021년 1월과 같은 해 3월에는 대치동 알짜배기 중형 학원인 대찬학원과 새움학원을 흡수 합병했으며 지난해 3월에는 대치동 초·중·고 상위권 학생 위주의 대형 종합학원인 다원교육을 흡수 합병했다. 하이컨시의 2024학년도 매출액은 3300억 원으로 이는 전년보다 26.3% 증가했다. 대입시장 돌풍이 지속되면서 매년 신기록을 갱신하고 있다. 최근 하이컨시는 과도한 사교육 열풍을 부축이는 고가의 학원비와 부당 광고 등으로 이슈가 되고 있다. 4월 28일 스카이데일리 보도에 따르면, 하이컨시가 운영하는 시대인재 재수종합반의 기본 교습비는 2018년도 월 137만 원에서 2023년 170만 원까지 올랐으며, 올해 교습비는 187만 원으로 책정돼 5년 사이에 약 40%가 상승했다. 기타 필요한 학원비를 모두 포함하면 최대 학원비가 월 500만 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알려진다.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주언 기자 | 최근 배달 음식에서 충격적인 이물질이 발견되어 논란이 되고 있다. 26일 온라인 커뮤니티 보배드림에 '배달 음식에서 커터 칼이 나왔습니다. 어떻게 해야 하죠'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글쓴이 A씨는 동네 김밥집에서 주문한 김밥에서 녹슨 커터 칼 조각이 나왔다고 주장하며 관련 사진을 공개했다. 사진 속 김밥 용기 안에는 날카롭게 부러진 커터 칼 조각이 담겨 있었고, 이는 썰어진 김밥 옆에 놓여 녹이 슬어 있는 상태였다. A씨는 "씹던 도중 딱딱한 것이 나와 뱉어보니 커터 칼 조각이었다"며 당시 상황을 전했다. 문제는 이후 김밥집의 대처 방식이었다. A씨가 매장에 전화를 걸어 항의했으나, 업주는 “우리 쪽에서 나올 수 없는 물건인데 어떻게 해줄까요?”라며 사과 대신 책임을 회피하는 태도를 보였다. A씨는 “굉장히 신경질적으로 우리를 진상 취급했다”며 황당함을 감추지 못했다. 이에 대해 배달 플랫폼 측에서도 “주문 취소는 불가하다”는 답변과 함께 5000원 쿠폰을 제공하는 데 그쳐 소비자의 불만을 잠재우기에는 역부족이었다. A씨는 국민신문고와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신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사건은 단순한 음식물 이물질 사고가 아니라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경영 마인드의 부재를 드러낸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배달 음식의 안전성은 소비자의 생명과 직결되는 문제이며, 이에 대한 기업의 철저한 관리와 대응이 필요하다.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경영은 이러한 상황에서 더욱 강조된다. 첫째, 환경적 측면에서 음식물의 안전성과 위생 관리는 기본 중의 기본이다. 녹슨 커터 칼이 김밥에 들어간 것은 음식물 제조 과정에서의 심각한 위생 관리 부재를 보여준다. 둘째, 사회적 측면에서 기업은 소비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해야 한다. A씨의 경우처럼 소비자가 직접 매장에 연락했을 때 신속하고 진심 어린 사과와 문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조치를 제공했어야 했다. 소비자를 진상으로 취급하며 책임을 회피하는 태도는 기업의 신뢰도를 떨어뜨릴 뿐이다. 셋째, 지배구조 측면에서 이러한 사고가 발생했을 때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대기업 배달 플랫폼에서도 이번 사건에 대한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한 점은 큰 아쉬움으로 남는다. ESG 경영은 단순한 구호가 아니라, 실제 경영 현장에서 실천될 때 기업의 지속 가능성을 담보할 수 있다. 고객의 신뢰를 바탕으로 성장하는 기업이 되기 위해서는 사소한 문제라도 소비자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배달 음식에서 커터 칼이 발견되는 충격적인 사건을 통해 기업 오너들은 ESG 경영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인식하고, 소비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경영 마인드를 가져야 할 것이다. 이는 단순한 이미지 제고를 넘어, 진정한 기업의 가치를 높이는 길임을 명심해야 한다.
Daily Union (Monthly, Korea News Newspaper) Ryu seungwoo Journalist | Consumers are criticizing Kyochon Chicken for its hygiene management problems at a franchise store in Kyochon Chicken. According to the report, chicken was being prepared to be sold at a store in Kyochon Chicken in Seoul with sprawling on the floor. The incident was reported through a consumer's online cafe report. Kyochon Chicken's headquarters explained that it was insufficient for employee hygiene training at affiliated stores and explained that it delivered a certain amount of money to the informant as an apology. However, some are criticizing Kyochon Chicken for taking the hygiene issue lightly and trying to shift the responsibility to only franchises. Food hygiene experts point out that there is a need for a thorough response at the headquarters level and measures to prevent recurrence. /seoul = Ryu seungwoo Journalist. invguest@itimesm.com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주언 기자 | 올해 1월부터 상시근로자 5인 이상 50인 미만 사업장에도 중대재해처벌법이 적용된 가운데, 이들 기업의 10곳 중 8곳 가까이는 여전히 관련 법 대응 준비를 마치지 못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측면에서 오너의 경영 마인드 개선이 시급함을 시사한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가 상시근로자 50인 미만 466개 기업을 대상으로 중대재해처벌법 준수 현황을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의 77%가 '아직도 법 의무 준수를 완료하지 못했다'고 답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12월 조사 당시의 94%보다 다소 낮아진 수치이나, 여전히 다수의 기업이 법 의무 준수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대재해처벌법 의무 준수가 어려운 이유로는 '전문인력이 없어 사업주 혼자 안전 업무를 수행해서'라는 응답이 47%로 가장 많았다. 이어 '의무 사항이 너무 많고 복잡해서'(36%), '의무 내용이 구체적이지 않아서'(12%), '법을 준수할 준비 기간이 부족해서'(5%)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이러한 결과는 중소기업 오너들이 ESG 경영 마인드를 개선하여, 직원 안전을 경영의 핵심 가치로 삼아야 함을 강력히 제기하고 있다. ESG 경영은 단순한 법 준수가 아니라, 기업의 지속 가능성을 위한 필수 요소다. 오너들은 안전불감증을 해소하고 사고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기업의 전반적인 안전 문화를 조성하는 데 앞장서야 한다. 또한, 중대재해처벌법 재유예가 필요하다고 답한 기업 비율은 86%에 달했으며, 법 개정 시 우선 추진 사항으로 응답 기업의 51%가 '소규모 기업에 대한 의무 사항 축소'를 꼽았다. 그다음으로 '의무내용 명확화'(25%), '중대재해처벌법 폐지'(12%), '처벌수준 완화'(12%) 순으로 응답률을 보였다. 경총은 "준비가 부족한 상태에서 50인 미만까지 중대재해처벌법이 전면 적용됨에 따라 법 준수 이행과 처벌에 부담을 느낀 기업들의 실태가 조사로 나타난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소규모 기업의 법 준수를 돕기 위해 필요한 사항으로 '업종 특성에 적합한 매뉴얼·가이드 보급'이라는 응답이 35%로 가장 많았다. 이어 '안전설비 비용 지원 확대'(23%), '전문인력 지원 확대'(2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정부로부터 컨설팅과 같은 산재 예방 지원을 받은 적이 있다고 답한 기업은 29%에 불과했다. 이는 작년 말 조사 때의 18%보다 높아진 수치이나, 여전히 낮은 비율을 보였다. 임우택 경총 본부장은 "헌법재판소의 위헌 여부 판단이 나오기까지 오랜 기간이 걸리기 때문에 중소·영세기업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서라도 정부와 국회가 하루빨리 중대재해처벌법 재유예 등 법률 개정을 추진하고 산재 예방 지원도 적극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된 지 몇 개월이 지났으나, 여전히 많은 중소기업이 법 준수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현실을 고려하여, 정부와 국회의 신속한 대응이 요구된다. 오너들은 ESG 경영 마인드를 강화하여, 직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삼고, 안전불감증을 해소해 사고 재발을 방지해야 한다. 이는 기업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길임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곽중희 기자 | 지난해 뱅크런(대규모 예금인출) 사태로 큰 논란을 빚었던 MG새마을금고(중앙회회장 김인, 이하 '새마을금고')의 일부 지점의 대수단이 1100억 원 상당의 물건지를 내부 담합을 통해 공매로 편취하려 했다는 의혹이 제기돼 그 파장이 예상된다. 데일리연합이 입수한 제보에 따르면, 부산에 위치한 대연6동새마을금고 등 21개 새마을금고 지점의 대주단이 1100억 원 상당 물건의 공매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기한이익상실을 이유로 물건주의 공매 취소 요청을 거부하고, 매수자를 미리 지정해 물건지를 넘기려는 내부 담합을 모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제보자는 "대주단 회의에서 초읍동새마을금고 관계자가 매수자가 준비됐고 이미 입찰 의향서까지 받아 놓았다. 새마을금고 중앙회의 은행장과 임원진이 해당 건을 몰랐을 리 없다"며 "중앙회 임원들의 개입 여부와 입장을 신속히 밝혀야 한다. 특히 담합의 중심에 선 대연6동, 초읍동새마을금고의 이사장 및 임원진의 내부 단합 여부 또한 철저히 조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데일리연합이 공매가 진행중인 물건의 대표 기업주를 인터뷰한 결과, 기업주는 "1100억 물건지에 대해 3월 30일까지 이자 3억 5000만원을 새마을금고 측에서 요구해 4월 3일에 준비해서 연락했으나 3일이 늦었다고 4억 5000만 원을 요구했다. 4월 25일에 다시 4억 5000만 원을 준비해 찾아갔으나 정상 이자 5억 5000만 원을 준비하라고 했다. 이후 새마을금고에서 계좌를 개설해줘서 6억 원의 이자를 입금했다. 이후 대주단과의 논의에서 삼성증권과 농협의 대환대출을 통해 이자지연 연체료까지 모두 정산하겠다고 했다. 하지만 대주단 회의에서 새마을금고 측은 '1달 이내 대환대출이 되지 않으면 다시 공매 처리를 해야 한다'고 했고, 결국 이자지연연체료를 11억 원까지 상향하며 끝내 공매 취소 요구를 거부했다"고 경위를 설명했다. 이어 "만약, 매수자를 구해놓고 공매 취소 요청을 거부했다면 그건 위법이다. 이번 일로 스트레스를 받아 건강이 악화되고 있으며 회사를 일으켜 세우려던 희망까지 산산조각났다. 왜 이런 일이 벌어졌는지 이해할 수 없다. 조사가 필요하다"고 답답함을 토로했다. 공매를 주관하고 있는 대연6동새마을금고 관계자는 "매수자가 정해져 있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며 그런 논의는 없었다. 그리고 대주단에서 기업주에게 공매를 취소 요청을 받아주겠다고 약속한 적도 없다. 공매 취소 요청을 받아주지 않은 것은 기업주가 이자 납부와 기한이익 상실 등에 따른 연체이자료 납부 계약 사항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았고, 이에 대주단은 안전하게 채권을 확보하기가 어려울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갚겠다고는 했지만 명확히 어떻게 갚겠다는 것이 없었다."고 해명했다. 초읍동새마을금고 관계자는 "공매 취소 요청을 받아들이지 않은 것은 계약상의 합당한 이유가 있었을 것"이라며 매수자 사정에 대해서는 따로 언급하지 않았다. 하지만 데일리연합이 입수한 녹음 파일에 따르면, 대주단 회의 과정에서 매수의향서 얘기를 거론하며 공매 취소 요청을 수락할 수 없는 이유를 적나라하게 말하는 내용이 나온다. 대주단은 기업주 관계자들이 회의를 마친 후 1층으로 내려간 것을 확인한 후 대주단 내부 관계자끼리 대화를 나눴다. 녹음 파일에는 초읍동새마을금고 관계자가 “매수자가 준비됐다. 매수 의향서까지 받았다”고 말하는 내용이 들어있다. 새마을금고중앙회 관계자는 "해당 사건은 현재 중앙회 측면에서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공매 진행에는 아무 문제가 없으나, 대주단 관계자 간에 공매를 위한 담합이 있었는지 등 사실 관계는 아직 파악된 것이 없어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 만약 대주단 측에서 기업주에게 불리한 담합을 하거나 관련 논의가 있었다면 중앙회 측에서도 개입해 사안을 점검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 법률 전문가는 "제보대로 새마을금고 대주단 회의에서 내부 담합을 통한 공매 편취 시도가 있었다면, 이는 '자본시장법 444조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을 위반한 것으로 명백한 금융 범죄에 해당된다. 금융사가 담합해 타인의 재산을 고의로 편취하려 한 것으로 해당 금융사는 더 이상 고객들의 신뢰를 통한 영업을 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새마을금고가 위기를 맞은 상황에서 새마을금고 중앙회까지 연루가 돼 있는지도 세심히 살펴봐야 할 대목이다. 또한 다른 비슷한 피해자가 없는지도 조사가 필요해 보인다"고 덧붙였다. 금융위원회와 행정안전부는 20일 열린 제1차 '상호금융 정책협의회'에서 새마을금고 부동산 PF(Project Financing) 부실로 인한 상호금융업권의 건전성 악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부실채권 매각 확대와 경공매 활성화를 추진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처럼 부동산 PF 위기 극복을 위해 민관이 협력하고 있는 상황에서, 새마을금고에서 위법 행위가 있었다면 이는 새마을금고의 내부 건전성과 경영 윤리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금융업계에 큰 파장을 불러올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공매 전단계에서 매수의향서를 구해놓고 공매 매각시키려는 행위가 이번 우연히 대주단 자체회의서 우연히 드러나게 된 것인지 금융계에서 관례처럼 만연이 된 도덕적해이로 인한 지배 구조의 문제인 것인지 철저히 규명해야 국민적 눈높이에서 이해될 해당 사건의혹을 새마을금고는 피해갈수 있을것이다.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곽중희 기자 | 최근 교촌치킨 의 한 가맹점에서 발생한 위생 관리 문제가 인터넷 카페와 온라인 뉴스 제보 플랫폼 제보팀장을통해 알려진 후 교촌에프앤비(339770) 에 대한 소비자들의 비난이 점점 거세지고 있다. 제보팀장에 따르면, 지난 3월 서울에 위치한 교촌치킨의 한 점포에 방문해 치킨을 사려던 제보자 A씨는 닭들이 매장 바닥 위 비닐봉지 위에 널브러져 있었고 직원들이 그 닭들을 양념하고 튀기는 현장을 목격했다. 충격을 받은 제보자는 이 사실을 알리고자 한 인터넷 카페에 올렸고 이후 교촌치킨 담당자가 찾아와 글을 내려달라며 봉투에 교촌치킨 쿠폰 10장과 현금을 줬고 결국 카페에 올린 글은 내려가게 됐다. 데일리연합 취재 결과, 이번 사건에 대해 교촌치킨 관계자는 "먼저 (제보팀장이 배포한 내용에서) 사실이 아닌 부분을 짚고 넘어가야 한다"며 "카페에 올라간 글을 삭제해달라는 요청은 하지 않았으며, 쿠폰과 소액의 현금은 단지 충격을 받았을 제보자분께 죄송한 마음에 소액의 성의를 표현해 드린 것뿐"이라고 해명했다. 이어 "제보자의 요구대로 해당 가맹점에 대한 제재로 영업정지(3일)과 특별교육 입소(2일) 등 강력한 조치를 취했다. 안타까운 점은 점주분의 아르바이트 직원 교육이 미흡한 점이 있었지만 닭을 옮기는 중간 과정에서 벌어진 일이고, 사건이 일파만파 동네에 알려지다 보니 해당 점주님이 얼굴을 들고 다닐 수 없는 지경에 이르러 가게를 내놓게 됐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교촌치킨 교촌에프앤비(339770)가 이번 사태를 단순히 한 가맹점의 종업원 교육 미흡 문제로 치부하고 책임을 회피하려고 한다는 비판도 나온다. 윤기선 경희대 식품영양학과 교수는 "식품 위생 관점에서 바닥과 비닐위에 닭을 올려놓았는데 일단 바닥에 바로 놓치 않았다 해도 냉장고에 보관해야 될 식품을 실온에다 그것도 바닥 과 비닐 위에 올려놓았다는 것은 식품 위생면에서는 매우 부적절한 행동이다. 얼마나 오래 두었는지 알 수 없으나 절차상 있었던 행위라 해도 위험성이 높다. 특히 닭은 살모넬라, 캠필로박터 균과 같은 병원성 식중독균이 많이 오염될 가능성이 높은 식품이라 더욱이 유통 환경에서도 낮은 냉장온도에 보관하고 있다. 살모넬라와 같은 균은 상온에서 매우 빠르게 성장하는 균이라 만약 오래 방치했다면 오염량이 높아졌을 것이다. 튀김이라 74도 이상의 조리온도에서 다 사멸하기는 하나 높은 오염량을 가지고 있는 경우 다른 식품, 또는 사용하는 조리도구 등을 교차오염시킬 가능성이 높아 철저한 위생 관리가 더욱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창언 경주대 ESG경영학과 교수는 "ESG에서 "S"는 일반적으로 사회 전체가 해결해야 하는 문제를 의미한다"며 "UN책임 투자 원칙(PRI)에는 건강 및 안전, 직원 관계 및 다양성, 지역 사회와 관련된 문제가 포함된다. 특히 식품 기업에게 S는 안전하고 고품질의 제품 및 서비스 제공을 의미한다. 제품의 제조, 유통, 판매 전 과정에서 본사 직원, 가맹주의 고객 서비스를 모두 포함한다"고 제언했다. 이어 "기업이 ESG 경영에 참여한다는 것은 본사는 물론 가맹주, 직원의 활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부정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업의 노력을 검토하는 것을 의미한다"며 "기업은 더욱 엄격한 제품 안전, 본사와 가맹주, 직원의 고객 서비스 제고를 위한 관리와 감독을 철저히 수행할 의무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사태에 대한 교촌치킨 교촌에프앤비의 대응은 아무래도 실망스러운 면이 있다. 소비자들은 교촌치킨이 본사의 관리 미흡 문제를 인정하고 진정성 있는 사과와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교촌치킨은 이번 사태를 통해 다시 한 번 위생 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소비자들의 신뢰를 회복할 수 있도록 적절한 대응을 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경인매일 보도에 따르면, 지난 4월 한 직장인 커뮤니티에는 "교촌치킨에서 날파리 알이 나왔다"는 게시글이 올라와 충격을 준 사건도 있었다. 당시 게시글을 쓴 제보자는 "교촌치킨 매장에 전화를 했더니 점주가 환불 해주겠다는 말을 들었지만, 다시 고객센터에 전화를 했더니 빠른 시일내에 연락을 준다 해놓고 아무런 전화도 받지 못했다”고 불만을 표한 것으로 알려졌다.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주언 기자 | 세계적인 스포츠 미디어그룹 Sporting News Holdings(TSN 회장 존글리셔)는 글로벌 스포츠 뉴스 콘텐츠 공급사 스포팅뉴스(The Sporting News)의 한국 공식 사업을 TSN KOREA(회장 김용두)를 통하여 오는 7월부터 웹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TSN은 세계 탑 스포츠전문 뉴스언론인 '스포팅뉴스 The Sporting News’를 소유한 글로벌 미디어 그룹이다. 스포팅뉴스(The Sporting News)는 미국에서 1886년 스포츠 전문 매거진으로 시작하여 스포츠 일간지로 발행되었다가 현재는 스포츠 온라인뉴스 서비스와 스포츠 데이터 정보를 서비스하고 있다. 세계 10개국에 공식 서비스, 전세계 월 5천만명 이상이 이용하고 있는 글로벌 스포츠전문 뉴스매체이다. TSN은 NBA(프로농구리그), NFL(미식축구리그), MLB(야구리그), NCAA(미국대학스포츠협회), F1(레이싱스포츠), MMA(격투기스포츠), UFC(격투기스포츠), FIFA(축구리그)등 굵직한 글로벌 스포츠 이벤트와 인기 스포츠인 축구, 야구, 농구, 골프, 복싱, 테니스 등 다양한 스포츠 데이터를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일본 등 약 10개국에서 각 나라 에디션을 통해 신속하게 서비스하고 있다. 이번 한국의 합류는 다양한 해외 스포츠 콘텐츠를 한국에 공급하는 동시에 K스포츠 콘텐츠의 글로벌 공급을 하게 되는 성과를 이루었다. 이로 인하여 잘 알려지지 않아 평가절하되었던 K스포츠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고, 아울러 전세계에 한국의 스포츠 네트워크가 폭넓게 형성되어 새로운 가치들을 창출할 수 있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TSN KOREA는 국내 스포츠 팬들에게 단순히 뉴스나 영상을 공급하는 서비스를 넘어, TSN의 다양한 해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글로벌 스포츠 이벤트를 유치, 개최하고 글로벌 시즌입장권 판매, 굿즈 사업 등 다양한 사업화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또한, TSN 주주이며 세계적인 스포츠 스트리밍 서비스 ‘DAZN’, 다양한 스포츠 경기 데이터 분석을 제공하는 ‘Perform Group’과의 협력을 통해 국내 스포츠계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형성할 것으로 기대된다. TSN KOREA 김용두 회장은 TSN 그룹 존글리셔 회장과 함께 스포츠 미디어산업의 발전을 도모하고, 올바른 스포츠 정신이 사회, 정치, 경제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는 사회적 가치 실현도 함께 협력하자는 데 뜻을 두고 이번 계약이 이루어졌다고 배경을 전했다. TSN KOREA 국제협력담당 이광수(Vito Lee)대표는 “앞으로 TSN KOREA의 성장과 글로벌 뉴스 콘텐츠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입장을 밝혔다. /서울=주언 기자 invguest@itimesm.com
Daily Union (Monthly, Korea News Newspaper) Ryu seungwoo Journalist | On the 8th, a serious disaster occurred at around 11 am. at the construction site of the airport in Ulleung-gun, Gyeongsangbuk-do, in which a subcontract worker died. He lost his life after being buried in the soil that had been pushed down from an excavator digging the ground. After the enforcement of the Serious Disaster Punishment Act, nine people were killed in eight serious disasters at DL E&C. It is the largest single company with the largest number of major disasters since the enforcement of the Serious Disaster Act DL E&C, chairman of DL Group Lee Hae-wook, who was criticized in politics and civil society due to a series of serious disasters, tried to avoid responsibility even after the incident. Seo Young-jae, the new representative who took office on the 10th, has the biggest task as the new representative on how to catch the two rabbits of the owner's responsible management amid management stabilization and continuous major disasters. /seoul = Ryu seungwoo Journalist. invguest@itimes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