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25 (토)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대구

대구 남구, 127기 미군부대 현장수업 '글로벌 앞산캠프'개강 “Hello, U.S.Army! 남명초, 미군부대 첫 입성”

낯설지만 설레는 미군부대 첫 체험! 미군, 카투사들과 함께 영어·미국 문화 배워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장우혁 기자 | 대구 남구는 6월 한 달간 총 4에 걸쳐 127기 미군 부대 현장 수업인 남구 '글로벌 앞산캠프'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캠프에서는 남명초등학교 학생 25명이 총 4회의 일정으로 캠프워커와 캠프헨리를 체험하게 된다.

 

글로벌 앞산캠프는 미군 부대 3곳이 주둔하고 있는 남구의 특수 여건을 활용해 남구청과 주한미군 대구기지가 지역 초·중학생들에게 미국 문화를 경험하고 생활 영어 교육을 받을 기회를 제공하고자 추진되는 사업이다.

 

지난 2007년 처음 시작된 캠프는 현재까지 126기를 운영하여 학생 3,068명이 참여했다.

 

글로벌 앞산캠프에 참여한 학생들은 캠프 워커, 캠프 헨리 등 지역 미군 부대의 사령관실·병영·식당 등을 체험하게 된다.

 

미군·카투사들과 함께 미군기지 내에서만 맛볼 수 있는 피자와 치킨을 먹으며 볼링 게임을 즐기는 시간도 갖는다.

 

미군들과 영어로 토론하고, 부대 내 소방, 경찰 시설 등을 둘러보며 각종 직업 체험도 할 수 있다.

 

관내 학생들의 만족도와 참여도도 매우 높다. 작년 4개교 117명 참여에 이어 올해는 6개교 150명의 학생들이 참여를 신청했으며, 설문조사 결과 강사(미군·카투사)의 자질, 교육 기간 및 시설, 프로그램에 대한 흥미, 재참여 의사 등의 항목에서 전체적으로 높은 만족도(9.86)를 보였다.

 

캠프에 참여한 학생들은 “미군 부대에 대한 이미지는 무섭고 위험한 곳이었지만 미군과 카투사들이 친절해서 긴장이 눈 녹듯 사라졌다.”, “마치 미국 땅에 온 것 같다. 영어를 써보는 게 이렇게 재미있을 줄 몰랐다.”라며 소감을 밝혀, 이번 캠프가 단순 체험을 넘어 학생들을 위한 생생한 문화 교류의 장이 되고 있음을 보여줬다.

 

조재구 남구청장은 "남구는 그동안 장기 주둔 중인 미군 부대로 인한 개발 제한 등으로 인해 주거·교육환경의 제약이 많았다. 이런 상황에서 학생들의 영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과 다양한 문화 체험을 위해 주한미군 대구기지를 지역 교육자원으로 적극 활용하고 있다.”라고 밝히며, "글로벌 앞산 캠프를 통해 학생들이 영어 학습 동기를 얻어 글로벌 인재로 거듭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美 연준, 추가 금리 인상 시사…글로벌 금융시장 불안 가중, 한국 경제 영향 촉각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최근 발표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을 통해 추가적인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강력히 시사하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다시 한번 증폭되고 있다. 시장 전문가들은 연준의 매파적 스탠스 유지 배경과 더불어, 이로 인해 한국 경제가 직면할 수 있는 파장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하고 있다. 이번 의사록 공개는 고물가 압력이 여전히 높고 노동시장의 견조세가 지속되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연준 위원들은 인플레이션 목표치인 2% 달성을 위해 당분간 긴축적인 통화정책 기조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는 시장의 조기 금리 인하 기대감을 꺾고 고금리 시대가 장기화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미국 금리 인상 기조의 강화는 곧바로 한국 금융시장에 상당한 압박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이미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원/달러 환율의 추가 급등을 부추기고, 외국인 투자 자금의 유출 가능성을 높여 금융 불안정을 심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한국은행이 물가와 경기 상황을 고려해 금리 인상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