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연합 (SNSJTV. 아이타임즈M) 곽중희 기자 |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한 해킹 공격이 계속 늘어나고 있다.
국민의힘 정희용 의원(경북 고령·성주·칠곡)이 해양수산부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해양수산부 산하 9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한 해킹 시도 탐지 건수가 총 1,145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킹 탐지 건수는 2019년 49건에서 2023년 337건으로 약 7배 가까이 급증해, 공공기관의 사이버 보안 취약성이 심각한 수준임을 보여주고 있다.
이번 국정감사 대상 공공기관은 인천항만공사, 부산항만공사, 여수광양항만공사, 울산항만공사, 국립해양생물자원관, 국립해양박물관, 국립해양과학관, 한국항로표지기술원, 한국해양조사협회 등 9개 기관으로, 이들 기관이 최근 5년여 동안 탐지한 해킹 시도가 총 1,145건에 달했다. 특히, 2023년 현재까지 집계된 해킹 시도는 이미 210건으로, 올해 말까지 추가적인 공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기관별로 해킹 탐지 현황을 살펴보면 ▲인천항만공사가 416건으로 가장 많은 해킹 시도를 받았으며, ▲부산항만공사 254건 ▲국립해양박물관 166건 ▲한국해양조사협회 144건 ▲여수광양항만공사 121건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국립해양과학관과 한국항로표지기술원은 해킹 탐지 건수가 없는 것으로 보고됐다.
정희용 의원은 해킹 시도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며, 공공기관의 데이터 보호와 보안 관리 강화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해킹 시도가 매년 급증하고 있다는 것은 그만큼 공공기관의 데이터 유출 위험이 커지고 있다는 반증입니다. 데이터 관리와 보호를 위해 보다 철저한 대비책을 마련해야 할 시점입니다”라고 정 의원은 말했다.
또한, 정 의원은 해킹뿐만 아니라 재해나 재난으로 인한 데이터 손실을 대비하기 위한 재해복구(DR) 시스템의 구축 필요성도 함께 제기했다. 현재 9개 공공기관 중 재해복구 시스템을 구축한 곳은 여수광양항만공사뿐이며, 나머지 기관들은 여전히 관련 시스템을 갖추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재해복구 시스템은 천재지변, 테러, 또는 대규모 해킹과 같은 예상치 못한 사고로부터 데이터를 보존하고 빠르게 복구하는 시스템으로, 공공기관의 안정적인 데이터 관리와 운영에 필수적인 장치이다. 정 의원은 "해킹뿐 아니라 재해나 재난에 대비해 데이터를 신속히 보존·복구할 수 있는 재해복구 시스템 구축에 만전을 기해야 합니다"라며, "모든 공공기관이 시스템을 마련해 데이터 보호에 있어 빈틈이 없도록 해야 합니다"라고 강조했다.
정 의원은 해양수산부를 비롯한 정부와 공공기관들이 사이버 보안뿐만 아니라 재해복구 시스템을 포함한 전반적인 데이터 관리 체계를 강화해 국민의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