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25 (토)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문화/예술

먹는 콜라겐, 과연 효과 있을까?

섭취콜라겐 vs 바르는 콜라겐

강한 자외선으로 인해 피부탄력이 더욱 떨어질 수 있는 계절이 되면서 또다시 먹거나 바르는 콜라겐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콜라겐을 먹거나 바르면 피부가 탱탱해진다는 속설은 전문가에 의하면 낭설이면서도 또한 완전히 틀린 말도 아니라는 것이다.

테마포커스의 뷰티사업부 담당자는 피부 내 콜라겐도 단백질이기 때문에, 섭취한 콜라겐이 피부 콜라겐 합성에 일부 도움은 줄 수 있지만 모두 피부 내 콜라겐이 되는 것은 아니기에 무조건적인 믿음은 피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콜라겐은 사람의 피부와 뼈, 머리카락, 근육 등에 분포되어 있는 단백질의 일종으로 섭취하면 체내에서 단백질의 구성요소인 아미노산으로 분해된다. 이 아미노산은 다른 단백질 합성에도 쓰이기 때문에 섭취한 콜라겐이 고스란히 피부안의 콜라겐 합성에 쓰이는 것은 아니라는 설명이다.

테마포커스 뷰티사업부 담당자는 단백질이 풍부한 음식 역시, 먹는 콜라겐과 함께 피부 콜라겐 합성에 미치는 영향은 같기 때문에 콜라겐을 포함한 비타민 C 등 여러 요소들을 함께 섭취해주는 것이 피부탄력을 유지하기 위한 좋은 방안이다라고 말한다.

피부에 바르는 콜라겐 역시, 보습효과 외에는 피부 콜라겐 형성과 직접적인 연관을 짓기 어렵다는 설명이다. 그 이유는 콜라겐은 굉장히 큰 고분자 형태여서 피부 아래 콜라겐이 있는 진피층까지 들어갈 확률은 낮기 때문이라 설명한다. 바르는 콜라겐이 어떻게 피부탄력이 도움이 되는지 정확한 작용기전은 알지 못하지만, 피부 바깥층은 세균도 침투하기 힘들 정도로 튼튼한 1층 장벽이기에 바르는 콜라겐의 효과는 입증하기 어렵다는 설명이다.


데일리연합 정남주기자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글로벌 기업, AI 활용 ESG 리스크 관리 및 공시 강화 가속화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전 세계적으로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경영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규제 환경이 복잡해지면서, 글로벌 기업들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ESG 리스크 관리 및 공시 강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과거 단순 보고서 작성에 그쳤던 ESG 활동이 이제는 기업의 핵심 전략으로 자리 잡으면서, 방대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분석하고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AI 기술 도입이 필수가 되고 있다. AI는 기업이 직면한 다양한 ESG 관련 리스크를 식별하고 예측하는 데 강력한 도구로 활용된다. 기후 변화 관련 물리적 리스크부터 공급망 내 인권 문제, 데이터 보안 취약성 등 복잡한 ESG 데이터를 AI가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분석하여 잠재적 위협을 조기에 감지하는 것이다. 이는 기업이 선제적으로 대응 전략을 수립하고, 비즈니스 연속성을 확보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특히 강화되는 글로벌 ESG 공시 의무를 준수하는 데 AI의 기여가 크다. IFRS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ISSB)과 유럽연합의 기업 지속가능성 보고 지침(CSRD) 등 새로운 규제들은 기업들에게 훨씬 더 상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