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연합 이권희기지의 국제포커스] 국토교통부는 국내 10개 드론기업체와 민·관 합동 대표단을 구성하여 참여한 “아프리카 드론 포럼”(ADF, 2.5∼7, 르완다 키갈리)에서 3,400만 불의 수출상담 실적을 거두었다고 밝혔다. 이번 ADF 참가는 행사를 주관하는 세계은행(World Bank)에서 드론산업 육성에 적극적인 우리나라를 지속적으로 초청해왔으며, 정부에서도 그간의 드론정책 성과를 대외적으로 알리고 국내 드론산업의 세계시장 진출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성사되었다. 아프리카는 광활한 국토에 비해 도로 및 교통시설이 열악하여 혈액·약품 등 긴급 구호물품 배송을 위해 현재도 드론을 활용하고 있으며, 그 밖에 드론을 활용한 토지측량, 지도제작, 안전점검 등에도 적극적인 관심을 두고 있어, 가까운 미래에 거대한 드론시장이 열릴 것으로 기대되는 곳이다. 특히, 이번 행사에서는 폴 카가메(Paul Kagame) 르완다 대통령의 환영사와 더불어, 르완다의 건설부 장관, 정보통신부 장관 측에서 대한민국 대표단과의 특별면담을 요청하는 등 르완다 정부에서도 각별한 관심을 보였다. 이번 ADF에서 우리나라는 &ldqu
봉준호 감독 '기생충'이 101년 한국 영화 역사뿐만 아니라 92년 오스카 역사도 새로 썼다. '기생충'은 세계 영화 산업의 본산인 헐리웃에서,자막의 장벽과 오스카의 오랜 전통을 딛고 작품상을 포함해 총 4개 트로피를 들어 올렸다. '기생충'은 오늘(9일) 헐리웃 돌비극장에서 열린 올해 제92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최고 권위인 작품상을 필두로감독상과 각본상, 국제영화상까지 4관왕을 차지했다. 한국 영화는 1962년 신상옥 감독의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 출품을 시작으로 꾸준히 아카데미상에 도전했지만, 후보에 지명된 것도, 수상에 성공한 것도 이번이 처음이다. 특히 '기생충'은 외국어 영화로는 처음으로 작품상을 받아 오스카 영화의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 아울러 칸영화제 황금종려상 수상작이 아카데미 작품상을 동시에 거머쥐는 것도 1995년 델버트 맨 감독의 로맨틱 코미디 '마티' (1955년 황금종려상, 1956년 아카데미 작품상) 이후 64년 만이며, 두 번째다. '기생충'은 가장 강력한 경쟁자였던 샘 맨데스 감독의 '1917'를 필두로 '아이리시맨'(마틴 스코세이지) , '조조 래빗'(타이카 와이티티), '조커'(토드 필립스), '작은 아씨들'(그레타 거위
[데일리연합 이권희기자의 국제포커스] 로봇 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레고 블록처럼 로봇을 구성하는 부분을 표준화하는 로봇 모듈화(Modularity) 분야의 국제표준 개발을 우리나라가 주도한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원장 이승우)은 2월 3일부터 7일까지 제주에서 열린「서비스로봇 국제표준화회의」에서 우리나라(강원대 박홍성교수)가 제안한 ‘서비스로봇 모듈화 일반요구사항’에 대한 국제표준안이 표준승인(FDIS)을 위한 절차를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밝혔다. 동 표준안은 회원국에 최종 회람후 국제표준으로 등록될 전망이다. 이 국제표준안은 로봇시스템 구성 요소 가운데 기능적으로 독립성을 가지면서 부분개발·교체·재활용이 가능한 ‘로봇 모듈’을 정의하는 표준으로, 제조사 간 호환성, 로봇개발의 경제성과 직결되는 핵심 기술이다. 서비스로봇 모듈화 표준이 우리주도로 국제표준화되면, 모듈 형태로 호환성이 확보된 로봇 부분품을 생산․유통할 수 있게 되어, 우리 중소․중견기업들이 보다 쉽게 로봇시장에 진입할 수 있고 다양한 서비스로봇의 신제품 개발이 촉진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강원대학교 전기전자공학과
[데일리연합 이권희기자의 국제포커스] 일본은 1.31(금) 오전(제네바 현지시각), 우리 조선산업 구조조정 관련 조치 등에 대해 세계무역기구(WTO) 분쟁해결절차상의 양자협의를 요청(제소)해왔다. 금번 제소는 일본이 지난 ‘18.11.6 제소한 한-일 조선 분쟁에서 제기했던 사항을 포함하고, 동 제소 이후 취해진 우리 조선산업 관련 조치를 추가하여 새롭게 양자협의를 요청한 것이다. 일본은 금번 양자협의 요청 사유로, 우리의 조선산업 구조조정 관련 조치 등이 WTO 보조금협정을 위반하였고 이로 인해 일본 조선산업이 피해를 입었다는 기존 분쟁에서의 주장을 반복하였다. 우리 정부는 일본의 주장이 근거 없으며, 우리 조치는 국제규범에 합치한다는 점을 충실히 소명하는 등 WTO 분쟁해결절차에 따라 일본이 제기한 문제에 대하여 적극 대응해 나갈 계획이다. [무단전재및 재배포금지]
[데일리연합 이권희기자의 국제포커스] 산업통상자원부는 현지 시각 2020년 1월 30일 유럽연합(EU) 각료이사회가 「EU 탈퇴협정(일명 ‘브렉시트 합의안’)」을 최종 승인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영국과 EU의 브렉시트 절차가 모두 완료되어 영국은 2020년 1월 31일 23시(EU 브뤼셀 기준 2020년 2월 1일 0시, 한국 기준 2020년 2월 1일 8시)에 공식적으로 EU를 탈퇴하게 되었다. 브렉시트는 2016년 6월 23일 영국의 국민투표를 통해 처음 결정(찬성 51.9%)되었으며, 이후 2018년 11월 25일 영국과 EU간의 정상회의 계기 「EU 탈퇴협정(Withdrawal Agreement)」가 마련되었다. 하지만, 「EU 탈퇴협정」에 대한 영국 의회의 승인 반대로 당초 2019년 3월 29일로 합의된 브렉시트 기한이 3차례 연장되는 등 브렉시트 불확실성은 지속되어 왔다. 이러한 정체 국면은 지난해 12월 12일 조기총선에서 브렉시트를 찬성하는 보수당이 승리함에 따라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으며, 영국은 올해 1월 「EU 탈퇴협정 이행법률안」의 상·하원 의결, 여왕 재가 등 브렉시트를 위한 내부절차를 마무리하였
설연휴를 앞두고 한국 각 업계의 인사들을 인터뷰했다. 한,중양국관계에 발전과, 평화적 환경조성과 합리적으로 모든일들이 잘 이루어지기를 바라는 응원메세지들을 전했다. 无论是在哪一个国家,警方是社会秩序的守护者,也是每一个国家和地区和平安宁的最后一道屏障。众所众知, 连续近6个月来的中国香港在这场邪与正的较量中,香港警方兢兢业业、无惧无畏,始终坚守在止暴制乱的第一线。 而丧心病狂的暴徒用弓弩和钢珠射击警员,狂掷数千枚汽油弹,纵火焚烧警方装甲车辆……香港警队没有因此而却步, 而是更坚定地严正执法、守卫家园。期间,全世界有良知的人们已经看清楚,假使没有警方的辛劳付出,任凭暴徒将香港拖入无序混乱之中,成为 “颜色革命”的垃圾场,那么香港的发展前途将被摧毁,市民生活将陷入暗夜。没有秩序,一切无从谈起。为此越来越多的世界各国的市民和社会团体站出来纷纷表示支持香港警察执法、 与暴力割席:发起“撑警大集会”,高呼“警察加油”;向正在执勤的警察点赞,送来慰问品;自发清理路障, 为警车开道……这些支持行动凝聚起止暴制乱的正能量。这就是人心的力量,这就是正义的力量。日前,韩国主流媒体《韩流新闻》社国际报道部中国报道局采访组在采访中发现,在传统的新春佳节来临之
설연휴를 앞두고 한국 각 업계의 인사들을 인터뷰했다. 한,중양국관계에 발전과, 평화적 환경조성과 합리적으로 모든일들이 잘 이루어지기를 바라는 응원메세지들을 전했다. (韩流新闻社国际报道部中国报道局李恩知记者综合报道) 日前,值此香港广西各社团力挺港警之际,韩国主流媒体《韩流新闻》社国际报道部中国报道局采访组,在新春来临之际采访了韩国各行各业主流社会的上层人物访谈中,意想不到的是,韩国的上层主流社会在新春快乐之际,都纷纷为韩中两国包括中国香港的警察们,在新年里特别是在新春来临之际,为社会治安和营造良好的和平环境,而放弃自己的节假日始终坚守在一线为百姓保驾护航的港警们发声声援,并为公正无私无畏的港警点赞加油。 김두관구회의원 또한 한국,중국 홍콩 평화안전을 위한 응원메세지를 전했다. 现任韩国国会财政预算委员、韩执政党共同民主党中央地方政府自治委员会常任委员长、国会议员金斗官,在接受韩流新闻社独家采访时表示,市民如果离开警察们的保驾护航,人身安全将无从谈起,特别是就目前香港局势来看,力挺港警就是确保香港市民自身的安全。为此,金斗官议员在力挺韩中两国特别是对港警发出声音道声:港警们辛苦了!我为你们点赞!!서울 동작경찰서 상도지구대도 함께 응원메세지를 전했다. 而同样身为警察的韩国首尔铜雀警察署的警官们,日前也以新年祝福的形式发声,力挺中韩两国及中国香港的警
[데일리연합 이권희기자의 국제포커스]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한중 대기질 공동연구단은 지난 3년간 중국 현지의 초미세먼지 특성 연구 및 고농도 대응체계 구축 등 한중 미세먼지 협력에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 중이라고 밝혔다. 공동연구단은 2015년 6월 개소 이후 2017년부터 중국 베이징 등 북동부 지역 4개 도시에 대한 1단계 공동연구를 통해 양국의 초미세먼지 특성을 비교 분석한 연구 결과를 도출했다. 베이징과 서울의 초미세먼지 성분은 질산암모늄, 황산암모늄, 유기물질로 구성되어 비슷한 반면, 베이징의 황산암모늄 조성비는 11%로 서울보다 약 2배 낮고 유기물질은 44%로 약 1.5배 높게 나타났다. 질산암모늄은 두 도시 모두 비슷한 조성비(베이징: 22%, 서울: 25%)이나, 2017년 기준 초미세먼지 고농도 발생 시에는 10% 이상 증가했으며, 특히 서울은 22%로 증가 폭이 크게 나타났다. 베이징의 질소․황산암모늄 비중이 작아지고 있는 것은 중국 정부의 화석 연료 사용을 줄이는 에너지 구조 조정 정책의 효과로 볼 수 있다. 다만, 석탄 등 화석 연료 사용량이 많아지는 겨울철에 유기물질 조성비가 높게 나타나고 있어 지속적인 저감 정책 추진이 필요할
데일리연합 주기범기자= 22년동안 도주하며, 신분을 세탁하고 가정을 꾸리며 살아온 살인범이 긴급 체포되었다. 1997년 음력 정월 대보름날 중국의 전통적인 명절이다. 정월 대보름 하루 전날,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는 유씨 가족에게 20세인 아들이 있다. 유홍전씨가 흑룡강성 연수현 연안마을에서 심장에 칼이 찔린 사망사건이 일어났다. 22년 동안 피해가족들은 명절을 지옥처럼보냈다고 한다. 매년 정월대보름이 되면 유씨의 가족은 젊은 나이에 안타까운 죽음을 맞이한 아들을 생각하면, "그리움과 슬픔으로 명절이 고통의 시간이되었다."고한다. 20세 유홍전에게 일어난 당시의 사건의 사유를 지금도 가족은 알지 못하고 있다. 도망친 범인이 하루 빨리 체포되기를 간절히 기도했다. 우리 아들이 당신에게 어떠한 큰 잘못을 했기에, 20살의 젊은 청년을 무참히 살인을 했는지 그이유를 알고 싶다. (왼쪽에서 세 번째 피해자 유홍전, 뒤쪽에서 왼쪽에서 여섯 번째 살인범 유현용) 2018년 전국적으로 수사가 이루어지면서, 유씨 가족은 유홍전사건이 이 기회에 범인을 체포할수 있지 않을까? 하는 간절함이 컷다. 그러던중 2019년 11월 11일 유홍전씨를 살해한 살인범 유
[데일리연합 이권희기자의 국제포커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전파연구원은 ISO/IEC JTC 1/WG 12(3D프린팅 및 스캐닝)분야에 우리나라가 제안한 의료 영상 기반 3D프린팅 모델링에 관한 표준안 2건이 신규 프로젝트(제안)로 최종 채택되었다고 밝혔다. 향후 동(同) 프로젝트(제안)는 우리나라 전문가 주도로 해외 전문가와의 협의를 거쳐 2022년경에는 국제표준으로 제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에 신규 프로젝트로 채택된 표준안 2건은 환자의 의료 영상에 기반을 둔 맞춤형 3D프린팅 보형물 제작 절차를 명시하고 있다. 해당 표준안이 국제표준으로 제정되면, 실제 의료용으로 사용될 정밀한 환자 맞춤형 3D 모델과 3D프린터를 이용한 제품‧기기 제작에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공통된 기준에 따른 제작 프로세스가 정립됨으로써 의료진은 기존 보형물(예: 두개골, 치아보철물, 무릎연골 등) 제작을 위한 복잡한 수작업 과정 없이 쉽고 편리하게 환자 맞춤형 3D프린팅 의료 제품을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고, 궁극적으로, 고품질 의료 제품 및 서비스 제공에 따른 의료서비스 질적 향상과 국민건강 증진은 물론, 관련 서비스 산업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데일리연합 이권흭기자의 국제포커스]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2019년 12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177.3포인트 11월 육류(190.5→191.0) 및 곡물(162.4→162.1)가격이 보정되어 11월 식량가격지수 조정(177.2→177.3)) 대비 2.5% 상승한 181.7포인트로 2014년 12월 이래 가장 높았다.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최근 3개월 동안 연속 상승 추세를 보였으며, 전년과 비교해 12.5% 상승하였다. 유지류‧설탕‧유제품‧곡물 가격은 상승했으며, 육류 가격은 안정세를 보였다. 2019년 평균 식량가격지수는 171.5포인트로, 2018년(168.4포인트) 보다 1.8%상승하였으나, 2000년대 들어 가장 높은 기록을 보였던 2011년(230포인트)보다는 25% 낮은 수준이다. < 상승 품목군 > (유지류) ’19.11월(150.6포인트)보다 9.4% 상승한 164.7포인트 기록 ❍ 유지류 가격 상승은 가장 큰 폭으로 상승한 팜유 가격에 기인하였으며, 대두유, 해바라기유, 유채씨유 가격 상승도 영향을 미쳤다. 국제 팜유 가격은 바이오 디젤 부문의 강한 수요와 팜유 공급량 감
[데일리연합 이권희기자의 국제포커스] 제11차 한·미 방위비분담특별협정(SMA) 체결을 위한 한미간 회의가 2020.1.14.(화)~15.(수)간 워싱턴DC에서 개최된다고 외교부가 밝혔다. 한·미 방위비분담 협상은 총 5차례(2019.9.24.-25., 서울 / 10.23.-24., 호놀룰루 / 11.18.-19., 서울 / 12.3.-4., 워싱턴DC / 12.17.-18., 서울)가 개최되었다. 우리측은 정은보 한·미 방위비분담협상대사가, 미국측은 제임스 드하트(James DeHart) 미 국무부 방위비분담협상대표(정치군사국 선임보좌관)가 수석대표로 각 대표단을 이끌고 회의에 참석할 예정이다. 정부는 기존의 협정 틀 내에서 합리적인 수준의 공평한 방위비 분담을 한다는 기본 입장을 견지하는 가운데, 상호 수용 가능한 합의가 가능한 조속히 도출될 수 있도록 미측과 긴밀히 협의해 나가고자 한다고 밝히며, 한미동맹과 연합방위태세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협의가 진행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무단전재및 재배포금지]
[데일리연합 이권희기자의 국제포커스] 산업통상자원부는 주영준 에너지자원실장이 1.11(토)~13(월) UAE를 방문해 아부다비에서 열리는 제10차 국제재생에너지기구 총회 및 아부다비지속가능주간(ADSW) 개막식에 참석해 우리나라의 수소경제 추진현황 및 성과를 공유하는 한편, UAE 정부 인사와 석유 비축 등에 대한 양국간 협력 강화방안에 대해 논의한다고 밝혔다. 이번 총회에 참석한 주영준 실장은 ‘탈탄소화-그린수소’를 주제로 한 장관급 회담(라운드테이블)에 참석하여 국가 에너지 전환과 기후변화 대응에서 재생에너지 기반 그린수소의 중요성과 역할에 대해 설명하고 회원국들의 수소경제 참여 동참과 협력을 촉구할 예정이다. 특히, 지난 1년간 수소차·충전소 보급 확대, 수소법 제정 등 우리나라의 수소경제 추진성과와 MW급 재생에너지 연계 수전해 R&D 착수 등 한국의 그린수소 관련 기술개발 추진 계획을 공유하고, 향후 해외 생산 그린수소를 도입하기 위한 대규모 재생에너지 잠재력을 가진 국가와의 적극 협력 의사도 표명할 예정이다 산업부는 이번 국제재생에너지 총회 참석을 계기로 수소경제 및 저탄소경제를 위한 그린수소의 역할 확대
[데일리연합 이권희기자의 국제포커스] 2020.1월 세계은행(World Bank)에서 발표한 세계경제전망 (세계 경제성장률)은 예상보다 부진한 무역ㆍ투자 성과를 반영하여 2019.6월 전망 대비 0.2%p 하향 조정한 2.5%로 전망했다고 기획재정부가 밝혔다. 참고로 IMF·OECD 등은 PPP환율 기준으로 성장률 전망, WB 전망(시장환율 기준)을 PPP기준으로 환산시 3.2%(IMF(’19.10) 3.4%, OECD(‘19.11) 2.9%)로 예상했었다. 선진국은 지속된 제조업 부진과 무역분쟁에 따라 0.1%p 하향 조정된 1.4% 예상 하였다. 신흥시장ㆍ개도국은 무역과 투자 둔화 등으로 0.5%p 낮은 4.1%로 전망하였다. 동아시아‧태평양 지역은 무역 긴장에 따른 국제 무역 축소 등으로 ‘19년 5.8%에서 ’20년 5.7%로 성장세 둔화 될것으로 전망했다. 유럽‧중앙아시아 지역은 터키와 러시아의 회복세에 따라 ‘19년 2%에서 ’20년 2.6%로 성장률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중남미 지역은 브라질의 투자조건 개선, 아르헨티나의 시장위기 완화 등으로 ‘20년
[데일리연합 이권희기자의 국제포커스] 외교부는 김건 차관보가 취임 후 처음으로 미국을 방문하여 「데이비드 스틸웰(David Stilwell)」 미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와 1.3(금) 차관보 협의를 가졌다고 밝혔다. 한미 양 차관보는 한미관계 및 동맹 현안, 한미 양국과 관련된 지역 정세 등 상호 관심사 전반에 대해 심도있게 의견을 교환하였다. 또한, 한국의 신남방정책과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간 연계 협력을 포함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한미간 협력의 저변을 확대・강화해 가기로 하였다고 밝혔다. 양측은 앞으로도 다양한 계기에 빈번히 만나 한미관계의 호혜적 발전과 동맹 강화를 위해 노력해 나가기로 하였다고 밝혔다. [무단전재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