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5.10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인천 16.9℃
  • 맑음수원 17.4℃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전주 19.1℃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여수 16.8℃
  • 맑음제주 21.3℃
  • 구름조금천안 17.8℃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문화/예술

'갤럭시S2' 예약판매 시작

삼성전자가 스마트폰 '갤럭시S2' 출고가를 전작인 '갤럭시S'보다 10만원 저렴하게 책정한 가운데 이통통신3사가 판매 경쟁에 돌입했다.

24일 업계관계자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신형 스마트폰 '갤럭시S2' 출고가를 84만7000원 확정해 LG유플러스와 KT에 이어 SK텔레콤도 24일 '갤럭시S2'의 예약판매를 시행했다

한편 이동통신사는 '갤럭시S2'를 두고 속도 경쟁에 우월성을 따지고 있다. 이번 제품이 WCDMA 최상위 버전인 고속패킷접속플러스(HSPA+)망을 지원하기 때문이다. "앞선 네트워크의 진가를 체감할 수 있는 스마트폰"이라고 강조하고 나선 것.

SK텔레콤 측은 "HSPA+ 망이 지난해 7월부터 구축해온 WCDMA 최상위 버전 망으로 현재 서울 및 광역시 등 전국 42개 주요 도시에 구축됐다."며 "HSPA+는 하양 최고속도 21Mbps를 지원해 '갤럭시S' HSUPA보다 최고 3배, CDMA 기술 보다 2배 빠른 속도를 자랑한다."고 전했다.

KT도 마찬가지다. 'HSPA+' 기술로 700MB 용량의 파일을 5분 만에 내려 받을 수 있다. 하지만 LG유플러스는 '리비전B' 기술 방식을 채택해 기본 보다 3배 이상인 최대 9.3Mbps 다운로드를 지원한다. HSPA+보다는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리다.

LG유플러스 측은 "수치상 속도에 차이 있지만 타사 보다는 비교적 적은 스마트폰 가입자로 데이터 간섭이 없어 실제로는 빠르다."고 설명했다.

이밖에 이통사별 두께와 무게에서도 약간의 차이가 생긴다. SK텔레콤과 KT는 8.9mm, 121g이며 LG유플러스는 9.39mm, 126g이다.

KT, SK텔레콤과 다르게 LG유플러스 판매용 '갤럭시S2'는 리비전B 칩셋이라는 통신 방식의 차이로 두께와 무게가 다소 늘어났다.

이통사별 '갤럭시S2' 실제 구매가를 비교해 보면 월 5만5000원짜리 요금제로 24개월 할부를 기준해 LG유플러스는 실구매가가 21만1200원이며 비슷한 조건에서 KT는 24만4200원, SK텔레콤의 경우 24만5000원이다.

하지만 '갤럭시S' 때와는 다르게 소비자가 부담하는 비용은 커졌다. SK텔레콤의 경우 월 5만5천원 요금제(2년 할부) 선택 시 '갤럭시S'는 21만6천원이었다. 오히려 '갤럭시S2'가 제조 출고가는 저렴한데 비해 2만9천원 정도의 비용이 올라갔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세대의 벽을 허물고, 삶의 품격을 더하다… 삼성노블카운티, 개원 24주년 맞아 공동체 축제 열어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류승우 기자 | 2001년 문을 연 삼성노블카운티가 24주년을 맞았다. 단순한 고급 주거 공간을 넘어 지역사회와 세대가 함께 어우러진 ‘공동체적 시니어 타운’으로 성장해온 이곳은, 이번 기념행사를 통해 ‘함께 나이 든다는 것’의 의미를 다시 묻고 있었다. “노년의 삶도 존엄하게”… 클래식 무대에 담긴 위로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에 위치한 삼성노블카운티는 지난 9일, 개원 24주년을 기념해 입주자와 지역주민이 함께하는 행사를 개최했다. 이날 무대에는 성악가 백재은, 곽민섭, 김수한, 김준교, 신엽 등 국내 클래식 음악가들이 출연해 품격 있는 공연을 펼쳤다. 피아니스트 김남중과 색소폰 콰르텟 ‘에스윗’이 더한 연주는, 무대와 객석을 넘나들며 참석자들의 마음을 어루만졌다. 문화 향유의 기회가 상대적으로 적은 고령층에게 ‘공연의 감동’은 단순한 오락을 넘어 삶의 활력을 회복하는 계기로 작용했다. 아이들과 어르신이 함께 쓴 ‘공감의 시’ 이날 행사에는 단지 구성원만이 아니라 지역사회와 아이들도 함께 참여했다. ‘온세대 글쓰기·그림그리기 대회’는 입주자·지역주민·어린이들이 같은 주제로 작품을 만들어내며 세대 간의 간극을 자연스럽게 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