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연합 (SNSJTV. 아이타임즈M) 곽중희 기자 | 177개 유엔 회원국 대표단과 3,800여 명의 이해관계자가 참여한 '플라스틱 국제협약 제5차 정부간협상위원회(INC-5)' 첫날, 국내외 청년들이 플라스틱 오염 종식과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대책을 논의했다.
25일, (재)기후변화센터는 김소희 국회의원실, ACE 청년포럼, UNEP 청년기구 CYMG와 함께 한국관 공식 부대행사로 '청년과 소통하는 플라스틱 국제협약, 그 너머의 사회'를 주제로 세션을 개최했다. 이는 협약 성안을 앞둔 마지막 협상 과정에서 청년 관점에서의 비전을 공유한 유일한 공식 행사다.
첫 세션에서 UNEP 청년기구 CYMG의 Janna Radi는 플라스틱 생애주기 전반의 유해물질 관리와 규제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협약에 건강 측면이 반영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청년 공론장 결과를 발표한 유세이버스 김보경 대학생은 다회용기 사용 확대, 플라스틱 재생원료 의무화 및 정보 투명성 확보, 일회용 포장재 사용 저감을 위한 과대포장 제한 등 구체적인 정책을 제안했다.
ACE 청년포럼 김정원 대학생은 생산 감축 중심의 협약 필요성을 역설하며, 플라스틱 회수 보상제, 플라스틱 교육 촉진법, 생산 상한제와 추가 과세 등을 제안했다.
종합토론에서는 기후변화센터 신혜지 정책연구팀장이 좌장을 맡아 청년 관점에서의 협약 방향을 논의했다. 한국법제연구원 한민지 부연구위원은 환경, 생태계, 경제적 평등, 교육(4E)의 균형을 강조하며 프랑스의 '지구 한계 존중' 사례를 언급했다.
부산연구원 김혜영 연구위원은 복잡한 재질의 일회용품 문제를 지적하며, 재활용 시스템과 테이크아웃 문화를 아우르는 현실적 대책 필요성을 제시했다.
기후변화센터 서희원 연구원은 국민 조사 결과를 인용, 76%가 플라스틱 재생원료 사용에 긍정적이지만 안전성 우려가 크다고 밝혔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정부, 기업, 시민사회 간의 신뢰 구축과 협력이 필수적임을 강조했다.
기후변화센터는 이번 논의 내용을 정책 제안서로 정리해 발표할 예정이며, 청년들의 아이디어가 실질적 변화를 이끄는 기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세션은 플라스틱 오염 종식을 위한 청년 주도적 접근과 다자간 협력의 중요성을 재확인하며 의미 있는 발걸음을 내디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