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7.15 (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천둥번개인천 27.3℃
  • 구름많음수원 27.8℃
  • 흐림청주 26.2℃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전주 28.2℃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여수 28.0℃
  • 구름많음제주 29.8℃
  • 구름많음천안 26.2℃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이마트, 여름 먹거리·용품 최대 50% 할인 행사 개최

무더위 대비, 호주산 와규·참외·선풍기 등 다양한 상품 할인
여름 냉방 가전·의류 대폭 할인, 선풍기 2만원 할인
성주 참외·수박 등 제철 과일 최대 40% 저렴하게 제공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주언 기자 | 이마트는 5월 31일부터 6월 5일까지 여름 먹거리와 용품을 최대 50% 할인하는 '미리 준비하는 여름 먹거리·용품 기획전'을 개최한다.

 

기상청이 올해 여름 기온이 평년보다 높을 확률이 높다고 예측한 가운데, 이마트는 바캉스 먹거리, 제철 과일, 여름 냉방 가전 및 의류 등 다양한 여름 인기 상품을 할인된 가격에 선보인다.

 

이마트는 여름 바캉스 인기 먹거리인 호주산 달링다운 와규를 최대 50% 할인된 가격에 준비했다. 신세계포인트를 적립하면 호주산 달링다운 와규 윗등심살(100g)은 3,390원, 불고기와 양지는 각각 1,890원과 2,390원에 구매할 수 있다. 이 외 갈비살, 부채살, 치마살, 살치살 등은 40% 할인된 가격에 판매한다.

 

또한, 여름철 보양 먹거리로 인기 있는 '온가족 손질바다장어(700g/박스, 국산)'는 49,800원에 판매하며, 2개 이상 구매 시 50% 할인된 가격에 제공한다. 여름 제철 과일인 성주 참외(4~8입/봉)는 신세계포인트 적립 시 6천원 할인된 8,800원에, 다양한 종류의 수박은 3천원 할인된 가격에 만나볼 수 있다.

 

여름 냉방 가전과 의류도 대폭 할인한다. '신일 표준형 선풍기'는 신세계포인트 적립 시 39,000원에, '일렉트로맨 산들바람 리모컨 표준형 선풍기'는 행사카드 결제 시 49,800원에 구매할 수 있다. 에어컨은 캐리어, 삼성, LG 등 브랜드 제품을 할인된 가격에 판매하며, 행사카드로 구매 시 추가 상품권 증정과 할인 프로모션도 진행한다.

 

이 밖에도 'TMAK 남/여 아동 비치 수영복 세트'는 25,000원에, 여름 이너웨어와 의류는 30% 할인된 가격에 제공한다.

 

이마트 최진일 마케팅 담당은 “올해 여름도 평년을 웃도는 무더위가 예상되는 만큼, 고객들이 합리적인 가격에 미리 여름 준비를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여름 먹거리와 용품 할인 기획전을 준비했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ESG 환경과 사회] 디그로스 운동,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새로운 경제 패러다임으로 부상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김민제 기자 | 최근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디그로스(Degrowth, 감성장) 운동이 기후 위기의 대안적 해결책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디그로스는 전통적인 경제성장 중심의 발전 모델에서 벗어나 자원 소비를 줄이고 지속 가능한 경제와 사회 정의를 실현하자는 사회적·정치적 운동이다. BBC 등 주요 언론사들은 최근 일주일간 디그로스 운동을 집중 조명하며, "지속적인 경제 성장은 기후 위기를 심화시키며 불평등을 가중시킨다"는 전문가들의 견해를 전하고 있다. BBC는 "감성장 운동이 자원 소비 감소를 통해 자연과 사회의 균형을 되찾을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으로 떠오르고 있다"고 분석했다. 디그로스 운동은 특히 유럽과 북미 지역에서 큰 관심을 얻고 있으며, 최근에는 단순 철학적 논의에서 실제 정책적 변화를 요구하는 정치 운동으로 발전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프랑스, 독일 등지에서는 에너지 소비 감축, 친환경적 교통수단 전환, 지속 가능한 농업 및 식량 시스템 구축 등 디그로스를 정책에 반영하자는 요구가 강력히 제기되고 있다. 한편, 디그로스 운동에 대한 비판적 시각도 존재한다. 일부 경제학자들은 디그로스가 현실성이 떨어지고 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