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5.11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인천 16.9℃
  • 맑음수원 17.4℃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전주 19.1℃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여수 16.8℃
  • 맑음제주 21.3℃
  • 구름조금천안 17.8℃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국제

광주시, 향림원 향림재활원 장애인 학대예방 토론회 개최


향림재활원(원장 김성현)은 10월 13일 경안동행복지센터에서 ‘장애인 거주시설 학대예방과 지역사회 역할’이라는 주제로 200명의 지역사회 주민과 사회복지 관계자들이 함께 토론회를 개최하기로 하였다.
시에 따르면 사회복지법인 향림원 향림재활원 발달장애인(지적·자폐성장애인 및 중증장애인)이 55명이 거주하고 있는 기관으로 곤지암에 위치하고 있으며 2016년 체험홈 및 시설 인권 총 4명의 장애인을 자립을 지원하였으며 장애인의 지역사회 정착된 삶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번 토론회를 개최하게 된 계기는 현재 장애인거주시설에 거주하는 장애인은 총 31,222명(2015년 12월 기준)으로, 시설에 거주하는 발달 및 중증 장애인의 지속적인 증가로 인해 사회복지사의 서비스 부담은 늘어나고 있다. 발달 장애인의 강박행동, 폭력, 과도한 과잉행동등 직접적인 휴먼서비스를 담당하는 사회복지사 업무의 어려움과 장애인의 인권 존중이 향상을 위해 고민하게 되면서 서로의 인권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대책이 절실히 필요한 시기이기 때문이다.

이번 토론회는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및 한국장애인복지시설협회 지원으로 수행하며 광주시와 공동으로 주관한 향림재활원은 2017년 올한해 윤리경영 교육, 비전·미션 수립을 위한 워크샵, 이용자·종사자 자치위원회 설치, 지역사회 학대예방 캠페인, 인권 향상 윤리위원회 설치, 인권 사진전 및 인권 UCC사업 등을 실시하면서 사회복지사와 장애인 인권을 모두 향상 시킬 수 있는 방안을 추진해 왔다.

이날 토론회 좌장 및 발제자로는 동원대 김재열 사회복지과 교수(광주시 사회보장위원회 실무위원장) 발제 내용 및 발표자는 장애인거주시설의 인권향상방안(김재열교수), 윤리경영 실천방안(신후경교수), 학대예방을 위한 인권이킴이단 역할(윤재응교수)이라는 주제로 발표를 할 예정이다.

향림재활원 김성현 원장은 “장애인거주시설의 인권 향상위해서는 장애인 학대 발생시 사후 대처가 아니라 장애인거주시설의 윤리경영을 통한 조직문화 정착과 장애인 인권 향상방안을 지역사회와 함께 고민하고 해결하기 위해 이번 토론회를 기획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김성현



위기사에 대한 법적 문제는 길림신문 취재팀에게 있습니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세대의 벽을 허물고, 삶의 품격을 더하다… 삼성노블카운티, 개원 24주년 맞아 공동체 축제 열어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류승우 기자 | 2001년 문을 연 삼성노블카운티가 24주년을 맞았다. 단순한 고급 주거 공간을 넘어 지역사회와 세대가 함께 어우러진 ‘공동체적 시니어 타운’으로 성장해온 이곳은, 이번 기념행사를 통해 ‘함께 나이 든다는 것’의 의미를 다시 묻고 있었다. “노년의 삶도 존엄하게”… 클래식 무대에 담긴 위로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에 위치한 삼성노블카운티는 지난 9일, 개원 24주년을 기념해 입주자와 지역주민이 함께하는 행사를 개최했다. 이날 무대에는 성악가 백재은, 곽민섭, 김수한, 김준교, 신엽 등 국내 클래식 음악가들이 출연해 품격 있는 공연을 펼쳤다. 피아니스트 김남중과 색소폰 콰르텟 ‘에스윗’이 더한 연주는, 무대와 객석을 넘나들며 참석자들의 마음을 어루만졌다. 문화 향유의 기회가 상대적으로 적은 고령층에게 ‘공연의 감동’은 단순한 오락을 넘어 삶의 활력을 회복하는 계기로 작용했다. 아이들과 어르신이 함께 쓴 ‘공감의 시’ 이날 행사에는 단지 구성원만이 아니라 지역사회와 아이들도 함께 참여했다. ‘온세대 글쓰기·그림그리기 대회’는 입주자·지역주민·어린이들이 같은 주제로 작품을 만들어내며 세대 간의 간극을 자연스럽게 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