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04 (화)

  • 맑음동두천 7.1℃
  • 맑음강릉 14.8℃
  • 맑음서울 10.3℃
  • 맑음인천 9.9℃
  • 맑음수원 8.6℃
  • 맑음청주 12.6℃
  • 맑음대전 11.0℃
  • 맑음대구 11.3℃
  • 맑음전주 12.0℃
  • 맑음울산 11.5℃
  • 구름많음광주 13.7℃
  • 구름많음부산 14.7℃
  • 구름많음여수 15.1℃
  • 구름많음제주 16.1℃
  • 맑음천안 8.2℃
  • 구름조금경주시 9.7℃
  • 구름많음거제 11.8℃
기상청 제공

국제

중국남자가 일본에서 다육식물 훔치다가 체포되어


일본 시즈오카 현 후지에다 시 (静冈县藤枝) 경찰서는 7월 7일 자칭 중국국적이며 직업이 불명하지 않는 텐전췬(田振群, 29세)을 절도 혐의 죄로 검찰에 인계했다.

텐전췬은 화분에 심은 관상용 다육 식물-십이지원(zebra haworthia) 200개를 훔친 죄에 연루됐다. 이 식물 가치는 1200만 엔(79만 위안 인민폐)에 달한다.

7월 7일 교토사 보도에 따르면 이에 앞서 그는 원예장에 불법으로 침입한 혐의로 체포된 경력이 있다. 이 경찰서는 텐전췬은 장물을 중국에 팔려고 시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 원예장의 비닐하우스에서는 지난해부터 다육 식물이 도적맞는 안건이 연이어 발생했다.

경찰은 현재 바로 텐전췬이 이러한 안건들과 관련이 있는지를 조사하는 중이다.

경찰에 따르면 텐전췬은 7월 5일 저녁 9시 50분 좌우 후지에다 시내 비닐하우스에 살그머니 잠입하다가 당장에서 붙잡혔다.

현장에서 압수당한 가방에는 비닐하우스에서 재배하던 십이지권 200개 화분이 발견됐다.

비닐하우스에 잠입하기 위해 사용한 사다리도 현장에 놓여 져 있었다.

십이지원 원산지는 남아공으로서 5∼10㎝되는 소형 다육 식물이다.

십이지원은 다육식물애호자들 중 인기가 높은데 가격은 십이지원 화분 하나에 10만 엔(6600위안 인민폐)에 달하여 최고급 품종은 한 그루에 200만 엔이상에 달한다.

중국에서의 판매가는 일본보다 더 높다.

교토사 보도에 따르면 원산지가 남아공인 다육식물-십이지원은 관상류 식물로서 인기가 매우 높으며 특히 중국의 부호층들 가운데서 큰 환영을 받는다. 개별 품종 시장가격은 5년 전에 비해 100배나 폭등했다.

보도에 따르면 지금까지 일본에서 전국적으로 이미 확인된 절도안건이 19건에 달하며 손실액은 14억 엔에 달한다.

일본 십이지원 협회의 하야시 마사히코(林雅彦) 사무국장은 이에 대해 분노를 표시하면서 “재배자들은 십이지원을 위해 대량의 심혈을 쏟아 붓는다. 피해자들의 정서가 매우 저락됐다. 이는 양해할 수 없는 행위이다.”고 말했다. 


 


 







위기사에 대한 법적 문제는 길림신문 취재팀에게 있습니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고령화 사회 그림자 깊어지는 돌봄 공백, 정부 긴급 대책 추진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2025년 11월 4일, 한국 사회는 급격한 고령화의 그림자 아래에서 심각한 돌봄 공백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정부는 초고령사회 진입을 목전에 두고 돌봄 수요 폭증과 인력 부족 심화에 대한 위기감을 느끼며 긴급 대책 마련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는 단순히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 전체의 지속 가능성을 위협하는 중대한 사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한 인구구조의 변화는 돌봄 서비스에 대한 의존도를 급증시키고 있으나, 현장의 돌봄 인력은 그 수요를 감당하기에 역부족인 상황이다. 열악한 근무 환경, 낮은 임금 수준, 그리고 사회적 인식 부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젊은 인력의 유입을 가로막고 기존 인력의 이탈을 부추기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농어촌 지역과 취약계층에게는 돌봄 서비스 접근 자체가 더욱 어려운 현실이다. 정부는 현재 돌봄 인력의 처우 개선과 양성 시스템 확충에 중점을 둔 정책을 검토 중이다. 구체적으로는 돌봄 노동자의 임금 인상, 경력 개발 지원 프로그램 도입, 그리고 휴게 시설 확충 등을 통해 근무 만족도를 높이고자 한다. 또한, 요양보호사 등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