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7.15 (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천둥번개인천 27.3℃
  • 구름많음수원 27.8℃
  • 흐림청주 26.2℃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전주 28.2℃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여수 28.0℃
  • 구름많음제주 29.8℃
  • 구름많음천안 26.2℃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포토]수원중고등학교, 윤지윤 이사장, "학교 운동장도 매각하라는 말인가?"

수원중고등학교 반경 400m, 약 12000세대 입주로 학생들 등교 문제해결은?
캠코, “국유재산에 대한 감정평가가 완료되어 매각결정가격“ 평당 690만 원을 제시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정길종 기자 | 2009년 6월 개교 100주년 기념 수원중·고등학교 전경 사진을 통해 팔달8구역 재개발 사업으로 변화된 학교를 본다. 

▲2009년 6월 개교 100주년 기념 수원중·고등학교 전경, 멸실 및 매각으로 인해 정문에 울창 숲 도로는 없다.

▲수원 팔달8구역주택재개발로 테니스장 매각에 따른 변화, 수원중고등학교 정문은 매각되어 맹지(도로가 없음)다.

▲SK뷰 토목공사 중 파손 및 균열로 멸실됐음.

아울러 재개발 사업으로 인해 학교 주변으로 400m 이내에 2022년 입주 예정 아파트가 약 6100여 세대, 2023년 5600세대이며, 그 주변을 합하면 약 20000세대가 입주할 예정이다. 

▲수원중고등학교 반경 400m 이내에 팔달8구역 외 3개의 건설현장이 있다. 약 12000세대가 2022~2023년에 입주 예정이다.

▲수원중·고등학교 중심으로 1.5km 이내에 고등학교는 수원여자고등학교와 수원공업고등학교 2개이며, 이 학교에 입학하지 못하면 학생들은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밖에 없다.

학급수를 늘려도 감당이 될지 의문이 되는데도 불구하고 예체능관과 운동 휴게동을 없애는 작태는 ‘누구를 위한 개발인가?’ 의문이 간다. 

 

1916년에 설립된 학교법인 화성학원(수원중·고등학교)은 112년의 역사와 사립학교로서 수원에서는 명문고라고 칭할 수 있는 학교가 2008년부터 캠코에서 갑자기 연간 억대에 달하는 국유지 대부료납부 고지로 인해 빚이 계속 쌓여 학교운영에 어려움과 수원 팔달8구역주택재개발사업으로 테니스장을 매각, 시공사 SK뷰 토목공사로 예체능관과 운동휴게동은 파손 및 균열로 인해 멸실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학교 정문 없는 “맹지(도로가 없음)”가 된 수원중·고등학교다.

▲울분을 터트리고 있는 학교법인 화성학원(수원중·고등학교) 윤지윤 이사장
 

신임 화성학원 윤지윤 이사장은 2022년 1월 26일 캠코에서 “국유재산 매매계약 체결안내”“국유재산에 대한 감정평가가 완료되어 매각결정가격“ 평당 690만 원을 제시한 결정문을 보냈다. 고 했다. 이는 전 이사장 K씨의 잘못된 결정이지만, 학교 테니스장을 평당 약 600만 원에 매각됐다. 

▲2022년 1월 26일 캠코에서 “국유재산에 대한 감정평가가 완료되어 매각결정가격“을 평당 690만 원(약 14억 원)을 제시한 팔달구 매교동 283-29번지, 학교 중심을 가르고 있다.

화성학원은 학교를 지키기 위해 ”화성에 있는 토지 기본 재산처분“까지 했다. 이제는 ”학교 운동장도 매각하라는 말인가“? 아니면 학교를 운영하지 말라는 이야기인가? 라고 하며 답답함을 토로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ESG 환경과 사회] 디그로스 운동,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새로운 경제 패러다임으로 부상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김민제 기자 | 최근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디그로스(Degrowth, 감성장) 운동이 기후 위기의 대안적 해결책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디그로스는 전통적인 경제성장 중심의 발전 모델에서 벗어나 자원 소비를 줄이고 지속 가능한 경제와 사회 정의를 실현하자는 사회적·정치적 운동이다. BBC 등 주요 언론사들은 최근 일주일간 디그로스 운동을 집중 조명하며, "지속적인 경제 성장은 기후 위기를 심화시키며 불평등을 가중시킨다"는 전문가들의 견해를 전하고 있다. BBC는 "감성장 운동이 자원 소비 감소를 통해 자연과 사회의 균형을 되찾을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으로 떠오르고 있다"고 분석했다. 디그로스 운동은 특히 유럽과 북미 지역에서 큰 관심을 얻고 있으며, 최근에는 단순 철학적 논의에서 실제 정책적 변화를 요구하는 정치 운동으로 발전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프랑스, 독일 등지에서는 에너지 소비 감축, 친환경적 교통수단 전환, 지속 가능한 농업 및 식량 시스템 구축 등 디그로스를 정책에 반영하자는 요구가 강력히 제기되고 있다. 한편, 디그로스 운동에 대한 비판적 시각도 존재한다. 일부 경제학자들은 디그로스가 현실성이 떨어지고 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