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4.05.03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인천 2.1℃
  • 흐림수원 3.7℃
  • 청주 3.0℃
  • 대전 3.3℃
  • 대구 6.8℃
  • 전주 6.9℃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여수 8.3℃
  • 흐림제주 10.7℃
  • 흐림천안 2.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국제

국제포커스] 「한반도 국제평화포럼 2019(Korea Global Forum for Peace 2019)」를 개최

 
[데일리연합 이권희기자의 국제포커스]            
통일부와 세종연구소는 6월 19일(수)  ‘함께 만들어가는 한반도 평화’를 주제로 「한반도 국제평화포럼 2019(Korea Global Forum for Peace 2019)」를 개최한고 밝혔다.

  통일부는 한반도 평화와 통일에 대한 국내와 국제사회의 공감대 형성을 위해 2010년에 「한반도국제포럼」을 창설하였다. 이후 매년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유럽 등에서 한반도 전문가들을 초청하여 한반도의 정세를 진단하고 정책 방향을 논의해 왔다.

  통일부는 3.1 독립운동과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이하여 한반도의 항구적인 평화 정착에 대한 염원을 담아 「한반도국제평화포럼」으로 명칭을 바꾸었다.

  ‘함께 만들어가는 한반도 평화’를 주제로 열리는 이번 세미나에서는 한반도를 넘어 동북아시아의 평화와 번영을 이루기 위한 국제사회의 협력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한반도 국제평화포럼 2019」는 김연철 통일부 장관의 기조연설과 총 2개의 세션으로 구성됩니다. 제1세션은 ‘한반도 평화, 동북아의 평화’를, 제2세션은 ‘한반도 비핵화 전망과 도전’을 주제로 진행된다.

  제1세션에서는 고유환 동국대학교 교수가 사회를 보고, 조성렬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자문 연구 위원, 프랑크 자누지 미국 맨스필드재단 회장, 존 닐슨 라이트 영국 채텀하우스 선임 연구원, 스인홍 중국 인민대학교 국제관계학원 교수가 토론자로 참여할 예정이다.

  제2세션에서는 이종석 전(前) 통일부 장관의 사회로 진행되며, 글레브 이바쉔초프 전(前) 주한 러시아대사, 요이치 카토 일본 아시아퍼시픽이니셔티브 선임 연구 위원, 김준형 한동대학교 교수, 레온 시걸 미국 사회과학연구위원회 국장, 양시위 중국 국제문제연구원 수석 연구원이 토론자로 참여한다.

 통일부는 세종연구소와 함께 「한반도 국제평화포럼 2019」 서울 행사를 시작으로 7월에는 일본, 9월에는 중국과 러시아, 11월에는 미국에서 세미나를 개최하여 한반도 평화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을 촉구하고 다양한 의견을 수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무단전재및 재배포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세종시 종합체육시설, 기재부 타당성재조사 통과

[세종=데일리연합]세종특별자치시(시장 최민호)2일 브리핑을 갖고 2006년 11월,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사업 개발계획 수립 이후, 지속적으로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과 함께 관내 종합체육시설 건립을 위해 노력해 왔다“고 밝혔다. 최시장은 ”시정 2기인, 2018년 1월부터 기재부에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사업 신청을 시작으로 4번의 실패 끝에, 이번에는 ‘타당성 재조사’ 과정을 거쳐 기재부의 재정사업평가위원회를 마침내 오늘 통과했다“고 했다. 최시장은 이어 ”이번 타당성 재조사는 2027년 충청권 하계 세계대학경기대회(이하, 세계U대회) 개최시, 종합체육시설 활용을 전제로 하여 통과된 것“이라고 했다. 최시장은 또 ”그동안 당초 계획대로 행정중심복합도시가 본래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종합체육시설이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되어 왔으며, 지난 예비타당성 조사에서는 경제성 확보에 난항을 겪으면서 비용 대비 편익(이하 ‘B/C’)의 값이 통과기준치보다 현저히 낮게 산출되었다“고 했다. 최시장은 ”2022년 11월 12일, 세계U대회 유치가 확정된 후, 충청권 최초의 메가톤급 국제대회의 성공과, 전문체육 육성 및 생활체육 활성화를 위한 시설 건립의 필요성이 본격적으로 제기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