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5.10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인천 16.9℃
  • 맑음수원 17.4℃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전주 19.1℃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여수 16.8℃
  • 맑음제주 21.3℃
  • 구름조금천안 17.8℃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국제

일본의 이중적 행동 어떻게 대처해야하는가?

일본 대지진 피해에 대한 한국의 전폭적인 지원이 이어지고 있지만 일본은 교과서 왜곡 등 우리 국민 정서를 자극하는 행동을 지속하고 있다.

일본 지진·해일 피해가 발생한 뒤 우리 정부의 지원 대책은 군사작전을 방불케 할 정도로 신속하게 이뤄졌다.

정부는 지진이 발생한 지난달 11일 40명 규모의 긴급구조대를 즉시 비상 대기시켰고 이날 저녁 이명박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구조대 규모를 120명까지 증원했다. 지진 발생 다음날인 12일에는 구조견 2마리와 구조대 5명, 14일에는 구조대 102명을 피해지역인 센다이에 급파했다.

일본에 파견된 구조대는 각국 구조대가 후쿠시마 원전 방사성 물질 유출 위험으로 모두 대피한 뒤에도 구조 작업을 강행했다.

물자 지원도 계속됐다. 지금까지 정부가 일본에 전달한 구호물자는 ▲생수 13t(미야기현) ▲담요 6000장·생수 100여t(후쿠시마현) ▲비상식량·라면·과자류·음료·고무장갑·고무장화 등 70여t (미야기현) ▲생수 480여t·즉석밥 10만개·김 4만5000봉(미야기현) ▲방독면 2만개·비누 2만개·장갑 3500착·약식 2800개(이와테현) 등이다.

사회 각계에서 보내는 온정의 손길도 이어지고 있다. 대한적십자사에 따르면 5일 현재 310억여원의 일본 지진 피해 성금이 민간, 기업, 지자체, 종교계 등으로부터 모금됐다.

일본 정부는 이 같은 한국의 도움에 대해 거듭 고마움을 표시했다. 무토 마사토시(武藤正敏) 주한 일본대사는 지진 발생 이후 국내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한국 국민 한분 한분에게 감사의 말씀을 전하고 싶다"고 말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런 감사 표시와는 별개로 일본은 우리 국민들을 공분케 하는 도발적 행동들을 지속하고 있다.

일본 문부성은 지난달 30일 일본의 독도 관련 내용을 기술한 중학교 교과서 12종을 검정 통과시켰다. 한 교과서에는 안중근 의사하얼빈 의거가 한일 강제병합의 원인이었다는 주장도 실렸다.

지진 피해에 대한 한국 정부의 도움을 계기로 훈훈해진 한·일 관계는 일본의 교과서 왜곡 이후 급격히 냉각됐다. 정부는 외교통상부 대변인 명의의 항의 성명을 내고 무토 대사를 불러 항의했다.

반면 일본 정부는 우리의 항의에 무대응으로 일관했고 이틀 뒤인 1일에는 외교청서에서도 독도 영유권을 주장했다.

오히려 일본은 권철현 주일 한국대사를 외무성으로 불러 독도 종합해양과학기지 설치, 독도 방파제 건설 등 우리 정부의 영토 주권 행사에 대해 거세게 항의하기도 했다.

일본 정부가 사전 통보 없이 방사성 오염수를 해상 방출한 것에 대해서도 우리 국민들의 비난이 뒤따르고 있다.

일본은 지난달 열린 한·중·일 외교장관 회의에서 원자력 안전 분야 정보를 한국, 중국과 긴밀히 공유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이 약속은 사전 통보 없는 오염수의 방출 조치로 무색해졌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