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10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생활/건강

척추·관절 퇴행성 질환 예방법



'2011년 전국노인실태조사'에 따르면 국내 65세 이상 노인 34%가 일하고 있으며 이 중 69.9%가 하루 10~12시간을 근무한다.

25일 구로예스병원은 고령층의 과도한 경제 활동은 척추와 관절의 퇴행성 질환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퇴행성 관절염은 연골이 닳거나 손상 되면서 발병하는 질환으로 75세 이상 노인의 80% 이상이 겪고 있으며 노화가 진행되거나 관절 사용이 많을 때 발병한다.

초기에는 무릎이 시리고 욱신거리지만 심해지면 관절이 붓고 걷지 못할 정도로 극심한 통증을 동반하기도 한다.

구로예스병원 황은천 원장은 "겨울철에는 기온이 낮아 인대와 근육이 굳어 퇴행성 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 통증이 더 심해지게 된다"며 "연골은 자연 재생되지 않아 질환 악화 시 치료가 어렵기에 통증이 생기면 병원을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아 봐야 한다"고 말했다.

관절 외에도 척추와 인대 등이 노화되면 디스크 수분이 줄어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고 허리 통증이 생길 수 있다.

이때 주변 신경을 눌러 통증이 발생하는 것이 척추관협착증이다. 의자에 앉거나 서 있을 때 통증이 심해지고 증상이 심해지면 조금만 걸어도 다리까지 저리고 아픈 증상이 나타난다.

퇴행성 질환은 근력이 약할수록 발병 시기가 빨라지며 작은 움직임에도 손상이 크기 때문에 평소 허벅지나 허리 근육 단력을 위해 근력 운동을 꾸준히 해주는 것이 좋다.

황 원장은 "과체중은 관절과 뼈에 부담을 주고 퇴행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평소 적정 체중을 유지하고 지나치게 추운 날에는 가급적 외출을 삼가는 것이 좋으나 어쩔 수 없다면 따뜻하게 입어 보온에 신경 쓰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윤병주 기자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폭염 속 취약계층 지원 정책, 실효성 논란과 개선 방안 모색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올 여름 유례없는 폭염이 지속되면서 취약계층의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정부는 폭염 대책으로 폭염쉼터 운영 확대, 무더위 쉼터 지원 등의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나, 실효성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폭염쉼터의 접근성 문제가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많은 폭염쉼터가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 위치하거나, 운영 시간이 제한적이어서 실질적인 도움을 받지 못하는 취약계층이 많다. 특히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나 장애인의 경우 폭염쉼터를 이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또한 폭염쉼터의 시설 및 운영 관리에도 문제점이 존재한다. 일부 쉼터는 냉방 시설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거나, 관리가 부실하여 이용자들이 불편을 겪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폭염쉼터의 실효성을 떨어뜨리고, 취약계층의 건강을 위협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과 함께 시민들의 참여가 필요하다. 먼저 폭염쉼터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대중교통 접근성이 좋은 곳에 쉼터를 설치하고, 이동 지원 서비스를 확대해야 한다. 또한 쉼터의 시설 개선과 운영 관리를 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