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10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국제

金군, IS 가담하면 SNS포섭전 맡을 가능성 高


 

이슬람 극단주의 무장세력, IS(Islamic State)가 아시아 지역까지 손을 뻗치고 있다.

터키에서 실종된 김모(18)군 역시 SNS를 통해 IS 조직과 연결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김군이 실제 IS 조직원으로 활동하게 된다면 SNS 선전전 역할을 맡게 될 것이라는 관측이다.

현재 김군이 IS에 가담했다는 확정적 증거가 확보되진 않았지만, 그가 터키 국경을 넘어 시리아 난민촌 인근까지 접근한 사실이 확인됐다.

또 '본인 스스로 IS에 가고자 하는 의사가 있던 것 같다'는 정보관계자의 말에 비춰보면 김군의 최종 목적지가 IS 조직 내부일 가능성은 높은 상태다.

전문가들은 김군과 같은 아시아계 10대가 IS 전투원으로서 시리아나 이라크 전투에 참여할 가능성을 낮게 본다.

언어적 소통 문제 등으로 인해 무장세력의 주도적 역할보다 보조적 역할을 담당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중동 전문가들의 견해다.

김영미 국제분쟁 전문 PD는 "전투에 사용되는 무기는 홍보전에서 보던 첨단 무기가 아닌 작대기 같은 소총 수준일 것"이라면서 "아마도 게임이나 영화에서 본 장면을 기대했다면 굉장히 실망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SNS를 통해 가담한 아시아계라면 이미 SNS 활용 기술에 능하다는 점이 감안돼, 또다른 포섭요원으로 투입될 수도 있다.

지난해 9월 IS 측으로 향하다 체포된 말레이시아인 3명도 페이스북을 통해 IS 대원으로 선발된 것으로 조사됐으며, 이와 같은 경로로 이미 IS에 가담해 활동중인 말레이시아인들의 경우도 SNS 선전전에 참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영미 PD는 "SNS 상에서는 국적과 성별 나이를 알기 어렵다"면서도 "시리아 국경 주변에서 말레이시아인 70명이 사이버 선전전을 진행하고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고 말했다.

아시아인이라면 SNS 선전전의 '소재'로 활용될 가능성도 높다.

첫 일본인 IS 가담자로 알려진 도시샤 대학 신학연구과의 전직 교수 나카타 고씨의 경우가 그러한데, 그는 지난해 9월 AK-47 소총을 들고 IS의 깃발 앞에 선 자신의 사진을 트위터에 올렸다.

한국외국어대 국제지역대학원 중동아프리카학과 서정민 교수는 "한국인 등 아시아인이 선전전의 소재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제2, 제3의 김군이 나올 수도 있다는 우려로, 서 교수는 "IS의 홍보물을 통해 이들의 모습을 영웅적 행동으로 착각할 수 있고 아시아인이 IS에 가담하는 경우 대개 이러한 이유 때문일 것"이라고 밝혔다.

아시아인이 다른 외국인 전사처럼 자살폭탄테러단 등으로 활동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윤병주 기자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폭염 속 취약계층 지원 정책, 실효성 논란과 개선 방안 모색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올 여름 유례없는 폭염이 지속되면서 취약계층의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정부는 폭염 대책으로 폭염쉼터 운영 확대, 무더위 쉼터 지원 등의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나, 실효성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폭염쉼터의 접근성 문제가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많은 폭염쉼터가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 위치하거나, 운영 시간이 제한적이어서 실질적인 도움을 받지 못하는 취약계층이 많다. 특히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나 장애인의 경우 폭염쉼터를 이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또한 폭염쉼터의 시설 및 운영 관리에도 문제점이 존재한다. 일부 쉼터는 냉방 시설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거나, 관리가 부실하여 이용자들이 불편을 겪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폭염쉼터의 실효성을 떨어뜨리고, 취약계층의 건강을 위협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과 함께 시민들의 참여가 필요하다. 먼저 폭염쉼터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대중교통 접근성이 좋은 곳에 쉼터를 설치하고, 이동 지원 서비스를 확대해야 한다. 또한 쉼터의 시설 개선과 운영 관리를 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