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2025년 하반기, 글로벌 경제는 고금리 장기화라는 그림자 속에서 불안정한 흐름을 지속하고 있다. 당초 연내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높았으나, 주요국의 예상치를 웃도는 인플레이션 압력과 견조한 고용 지표가 이어지면서 통화 정책의 긴축 기조가 예상보다 길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확산하는 상황이다. 이는 한국 경제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 미쳐 가계 및 기업의 부담을 가중시키고 전반적인 경기 회복을 둔화시킬 수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를 비롯한 주요국 중앙은행들은 인플레이션 목표치 달성을 위해 고강도 통화 긴축 정책을 유지해 왔다. 최근 발표된 경제 지표들은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끈적하게 유지되고 있음을 시사하며, 이는 시장의 금리 인하 예상 시점을 더욱 뒤로 미루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에너지 가격 불안정과 지정학적 리스크 또한 물가 하방 압력을 제한하고 있어, 고금리 환경이 상당 기간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가 실린다.
이러한 글로벌 고금리 장기화는 한국 경제에 여러 측면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된다. 우선, 높은 가계부채 수준을 고려할 때 이자 부담이 더욱 커지면서 소비 여력이 위축되고 내수 진작에 걸림돌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변동금리 대출 비중이 높은 국내 특성상 금리 상승은 가계의 재정 건전성을 빠르게 악화시킬 수 있다.
기업 부문에서도 투자 위축과 자금 조달 비용 증가가 현실화될 수 있다. 고금리 환경은 기업의 신규 투자나 설비 확장을 주저하게 만들고, 이는 장기적으로 잠재 성장률을 훼손하는 요인이 된다. 특히, 한계 기업들은 이자 비용 부담을 견디지 못하고 도산 위험에 직면할 수도 있어 면밀한 관찰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대외 부문에서는 원화 가치 하락 압력이 가중되고 외국인 투자 자금 이탈 가능성이 제기된다. 주요국과의 금리 격차가 확대되거나 유지될 경우, 투자 매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한국 시장에서 자금이 유출될 수 있으며, 이는 외환 시장의 불안정성을 키우고 물가 상승을 더욱 부추기는 악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정부와 한국은행은 이러한 복합적인 경제 하방 압력에 대응하기 위한 선제적인 정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가계 및 기업 부문의 부실을 막고 경제 연착륙을 유도하기 위한 정교한 정책 조율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