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10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문화/예술

예고없이 사라지는 앱, 구글의 횡포 비난


최근 국내 중소 앱 개발사들이 구글 플레이에 등록한 앱이 어느 날 갑자기 삭제되거나, 재등록하기까지 상당한 시일이 걸리는 등 구글의 지배적 사업자 지위 남용 사례를 비판하는 일들이 많아지고 있다.

구글의 이 같은 앱 마켓 운영방식은 이미 수차례 지적돼왔고, 업계의 강한 질타를 받아왔다.

구글의 앱 차단 이유는 다양하다. 지난해 초 삭제됐던 국내 인기게임 '윈드러너'는 '결제'가 원인이었다. 윈드러너가 구글의 결제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고, 자체 결제 시스템을 사용했기 때문이다. 최근 K 게임사는 구글이 '저작권'을 임의로 판단해 앱을 삭제하기도 했다. K사는 다른 게임 개발사로부터 판권을 사와 국내서 카카오 버전으로 게임을 새롭게 출시한 것인데, 구글측은 아무런 자초지종을 묻지도 않고 해당 게임 앱을 삭제했다고 K사는 주장했다. 대규모 업데이트를 앞둔 상황에서 갑작기 앱이 삭제되면서 이 게임사는 큰 곤욕을 치렀다.

대중 인지도가 있는 기업보다는 작은 규모 업체나 개인 앱 개발자들은 문제를 해결하기가 쉽지 않다. 구글은 앱 사업자나 개발자와의 소통 창구를 매우 제한적으로 운영하고 있는데 구글코리아측은 "본사측과 1대1 채팅 또는 메일 등으로만 문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와 대조적으로 SK플래닛(T스토어), 네이버(앱스토어) 등 국내 앱스토어의 경우엔, 개발자 센터를 운영하며 검증 담당자들과 부서를 별도로 두고 앱 사업자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구글은 이 같은 불성실한 앱 마켓 사업자 서비스에 더해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가 설치된 스마트폰에 자사 앱 마켓 구글플레이를 선(先)탑재해 다른 앱 마켓 사업자의 진입을 원천적으로 막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또 구글플레이에서 발생하는 앱 사업자의 매출 가운데 수수료만 30%를 가져가는 불평등한 수익배분 계약도 업계로부터 심각한 문제점으로 지적받고 있다.

국내 한 앱 개발사 대표는 "아무리 구글에 얘기해도 한낱 중소 기업 얘기엔 귀 기울여주지 않는다"며 "정부가 나서 중소기업이나 개발자 의견을 듣고, 제대로 된 앱 생태계를 만들 수 있도록 감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윤병주 기자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폭염 속 취약계층 지원 정책, 실효성 논란과 개선 방안 모색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올 여름 유례없는 폭염이 지속되면서 취약계층의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정부는 폭염 대책으로 폭염쉼터 운영 확대, 무더위 쉼터 지원 등의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나, 실효성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폭염쉼터의 접근성 문제가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많은 폭염쉼터가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 위치하거나, 운영 시간이 제한적이어서 실질적인 도움을 받지 못하는 취약계층이 많다. 특히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나 장애인의 경우 폭염쉼터를 이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또한 폭염쉼터의 시설 및 운영 관리에도 문제점이 존재한다. 일부 쉼터는 냉방 시설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거나, 관리가 부실하여 이용자들이 불편을 겪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폭염쉼터의 실효성을 떨어뜨리고, 취약계층의 건강을 위협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과 함께 시민들의 참여가 필요하다. 먼저 폭염쉼터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대중교통 접근성이 좋은 곳에 쉼터를 설치하고, 이동 지원 서비스를 확대해야 한다. 또한 쉼터의 시설 개선과 운영 관리를 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