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10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생활/건강

비만인 운동, 쉬운 것부터 꾸준히 하는 것이 중요


병원에서 과체중이나 비만 판정을 받게 되면 운동을 결심하게 된다. 그러나 처음 시작과 달리 운동은 '힘든 것'이라는 단정을 짓게 되면서 포기하게 된다.

비만인 사람들 중에도 근육 밀도가 높아 체력이 좋은 사람도 있다. 하지만 대부분은 평소 운동량이 부족해 체력이 약한 경우가 많다. 즉 자신의 체력에 맞는 운동을 해야 하는 것이다.

자신의 여건에 맞는 운동을 해야 포기할 가능성이 적고 운동에 대한 흥미도 붙게 된다.


1. 걷기, 적정 강도로 지속하기

걷기는 연령과 체력에 대한 제한이 적다. 누구나 쉽게 시작할 수 있는 운동법이다. 특히 비만인 사람들은 몸이 무겁기 때문에 과격한 운동을 하면 근육이나 관절이 상하기 쉽기 때문에 걷기는 체중이 많이 나가는 사람들에게 적합하다.

일단 매일 15분 정도 꾸준히 걷는다는 목표로 꾸준히 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시작하는 것이 좋다.

미국 대학스포츠의학회에 따르면 걷기 운동의 적정 강도는 분당 100걸음, 30분에 3000걸음이다. 시간을 15분에서 30분 정도 늘릴 수 있는 단계로 넘어가게 되면 그때부터 걷는 속도와 보폭에도 신경을 쓰면 된다.


2. 물 안에서 아쿠아 조깅하기

 물 안에서 하는 운동은 관절에 통증이 있거나 몸을 움직이기 불편한 사람에게 적합하다.

아쿠아 조깅은 물 안에서 걷는 운동이다. 물속에서 몸의 균형을 잡는데 도움이 되는 부력벨트를 차고, 발이 바닥에 완전히 닿지 않은 상태에서 물의 저항력을 이겨내면서 앞으로 나가면 된다. 상상하는 것보다 힘이 들므로 천천히 운동 지속 시간을 늘려 나가는 것이 좋다.


3. 근력운동으로 부상 막기

운동을 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유산소운동과 근력운동을 함께 해야 하지만 비만인 사람들이라면 더욱 그렇다. 과도한 체중은 관절에 부담을 주고 신진대사를 떨어뜨리는데 근력운동이 이러한 부분들을 개선해준다.

집에서 자신의 체중이나 간단한 운동기구를 이용해 시작하면 된다. 하지만 좀 더 적극적인 의지가 있다면 피트니스센터에서 헬스트레이너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다. 지속성이 중요하므로 서두르지 말고 적은 횟수라도 정확한 동작으로 천천히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윤병주 기자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의왕시, 2025년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우수기관 선정

데일리연합 (SNSJTV) 송은하 기자 | 의왕시는 행정안전부가 주관하는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평가에서 3년 연속 우수 기관으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2005년도부터 실시되고 있는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은 범국가적인 총력 재난대응 체계 확립을 위한 대형 재난 대비 국가종합훈련으로, 중앙정부, 지자체, 공공기관과 국민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대규모 전국 단위 훈련이다. 시는 지난 5월 13일, 시청 중회의실과 오전-청계 터널 공사 현장에서 집중호우에 따른 옹벽 붕괴상황을 가정한 ‘2025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을 실시한 바 있다. 해당 훈련을 통해 시는 재난 상황에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상황 판단 회의를 거쳐 비상대응기구(재난안전대책본부, 통합지원본부)를 가동하고, 다양한 분야가 연계된 재난 상황에 대비한 종합 대응을 펼쳤다. 특히, 시는 이번 훈련에서 2차례에 걸쳐 진행된 사전 컨설팅 내용을 적극 반영하고, 지휘부와 13개 협업부서, 유관기관, 민간단체 등의 역할을 충실히 발휘하게 한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그 결과, 훈련의 ▲기획 ▲실시 ▲환류 등과 관련한 17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