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6.14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인천 16.9℃
  • 맑음수원 17.4℃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전주 19.1℃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여수 16.8℃
  • 맑음제주 21.3℃
  • 구름조금천안 17.8℃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문화/예술

생활속에서 흔히 쓰이는 잘못된 우리말


생활 속 음식점 간판이나 메뉴에 맞춤법이 틀린 표현이 많이 쓰이고 있다. 이에 잘못된 한글 표기를 되짚어 보고자 한다.


1. 쭈꾸미 (X) 주꾸미 (O)

쫄깃쫄깃한 볶음 요리의 맛으로 사람들의 입맛을 사로잡고 있는 요리는 ‘쭈꾸미 볶음’이 아니라 ‘주꾸미 볶음’이라고 써야 맞다.


2. 데킬라 (X) 테킬라 (O)

고급 주류로 사랑받고 있는 멕시코 전통 술 ‘테킬라(Tequila)’는 종종 술집에서 ‘데낄라’ 혹은 ‘데킬라’로 표기되고 있다. 하지만 알파벳 'T'로 시작하므로 ‘테킬라’가 맞는 표현이다.


3. 순대국 (X) 순댓국 (O)

순 우리말+순 우리말 합성어 중 뒷말 첫소리가 된소리로 날 경우 사이시옷을 넣어야 한다. 순대와 국 모두 순 우리말이고, 발음하면 [순대꾹] 으로 읽기 때문에 사이시옷을 넣어 ‘순댓국’이라 써야 한다. 북엇국, 선짓국, 감잣국 등도 마찬가지다. 재료의 끝부분에 받침이 없고 거기다 '국'이 붙은 모든 음식엔 사이시옷이 들어가야 한다. '무'를 넣어 끓인 국은 '뭇국'이다.


4. 돼지껍데기 (X) 돼지껍질 (O)

딱딱하지 않은 것은 껍질, 딱딱한 것은 껍데기라고 쓴다. 따라서 귤이나 바나나 등 딱딱하지 않은 것은 껍질, 소라나 조개 등은 껍데기라고 써야 한다. 구워 먹는 돼지껍데기도 돼지껍질이라고 써야 맞는 것이다.


5. 차돌배기 (X) 차돌박이 (O)

소의 양지머리뼈의 한복판에 붙은 기름진 고기는 ‘차돌박이’가 표준어이다. 한글맞춤법 제19항은 “어간에 ‘-이’나 ‘-음/-ㅁ'이 붙어서 명사가 된 것은 그 어간의 원형을 밝히어 적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박다’의 명사형은 당연히 ‘박이’니까 ‘차돌박이’가 맞다.


6. 라면 스프(X) 라면 수프(O)

라면 봉지에는 ‘분말 스프’라고 적혀 있는데, 영어로 soup이므로 ‘수프’라 쓰는 것이 맞다.


7. 후라이드(X) 프라이드(O)

치킨 메뉴로 가장 사랑받는 ‘양념 반 후라이드 반’ 이라는 표현은 사실 틀린 것이다. 이는 영어로 표기하면 fried인데, 알파벳 표기 일람표에 따라 알파벳 f 는 한국어 자음 'ㅍ'와 대응된다.


8. 공기밥 (X) 공깃밥 (O)

사이시옷 규칙에 따라 한자어와 순 우리말의 합성어에서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면 사이시옷을 삽입해야 한다. ‘공기’는 空器로 한자어이고 ‘밥’은 순 우리말인데, [공기빱]으로 소리나기 때문에 사이시옷을 넣어 ‘공깃밥’이라 써야 한다.


9. 아구찜 (X) 아귀찜 (O)

찜 요리로도 사랑받는 바닷물고기는 ‘아귀’가 표준말이다. 따라서 ‘아구찜’이 아니라 ‘아귀찜’이라 써야 한다.


10. 밥이 찰지다 (X) 밥이 차지다 (O)

밥이나 떡 따위가 끈기가 많을 때 ‘찰지다’라고 많이 쓰는데 이는 사실 틀린 표현이다. ‘차지다’가 표준어이기에 ‘밥이 차지다’라고 써야 한다.

황서영 기자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하남시, 창우배드민턴장 새단장 개관…생활체육 거점으로 재탄생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하남시가 노후화로 철거됐던 창우배드민턴장을 새롭게 단장하고, 13일 개관식을 열었다. 이날 개관식에는 이현재 하남시장을 비롯해 시의원, 체육단체 관계자 등 100여 명이 참석해 창우배드민턴장의 새 출발을 함께 축하했다. 창우배드민턴장은 2023년 정밀안전진단에서 구조적 안전 문제가 확인돼 운영을 중단하고 철거됐다. 이후 시는 총 22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2024년 10월부터 재건립 공사에 착수했으며, 약 7개월간의 공사를 거쳐 새롭게 문을 열게 됐다. 새 단장을 마친 창우배드민턴장은 연면적 659㎡ 규모로, 배드민턴 코트 4면과 함께 화장실, 샤워실, 휴게실, 관리실 등 다양한 편의시설을 갖추고 있다. 이현재 시장은 “새롭게 태어난 창우배드민턴장에서 시민들이 보다 안전하고 쾌적하게 생활체육을 즐길 수 있어 기쁘다”며 “이곳이 건강을 지키고 여가를 즐기며, 시민 간 소통과 화합이 이루어지는 공간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시는 이번 창우배드민턴장 개관을 계기로 국민 생활스포츠인 배드민턴의 저변 확대를 기대하고 있다. 앞으로도 각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