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09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맑음인천 26.2℃
  • 맑음수원 26.7℃
  • 흐림청주 24.3℃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구름조금전주 26.4℃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흐림여수 23.1℃
  • 제주 24.5℃
  • 구름조금천안 26.0℃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문화/예술

생활속에서 흔히 쓰이는 잘못된 우리말


생활 속 음식점 간판이나 메뉴에 맞춤법이 틀린 표현이 많이 쓰이고 있다. 이에 잘못된 한글 표기를 되짚어 보고자 한다.


1. 쭈꾸미 (X) 주꾸미 (O)

쫄깃쫄깃한 볶음 요리의 맛으로 사람들의 입맛을 사로잡고 있는 요리는 ‘쭈꾸미 볶음’이 아니라 ‘주꾸미 볶음’이라고 써야 맞다.


2. 데킬라 (X) 테킬라 (O)

고급 주류로 사랑받고 있는 멕시코 전통 술 ‘테킬라(Tequila)’는 종종 술집에서 ‘데낄라’ 혹은 ‘데킬라’로 표기되고 있다. 하지만 알파벳 'T'로 시작하므로 ‘테킬라’가 맞는 표현이다.


3. 순대국 (X) 순댓국 (O)

순 우리말+순 우리말 합성어 중 뒷말 첫소리가 된소리로 날 경우 사이시옷을 넣어야 한다. 순대와 국 모두 순 우리말이고, 발음하면 [순대꾹] 으로 읽기 때문에 사이시옷을 넣어 ‘순댓국’이라 써야 한다. 북엇국, 선짓국, 감잣국 등도 마찬가지다. 재료의 끝부분에 받침이 없고 거기다 '국'이 붙은 모든 음식엔 사이시옷이 들어가야 한다. '무'를 넣어 끓인 국은 '뭇국'이다.


4. 돼지껍데기 (X) 돼지껍질 (O)

딱딱하지 않은 것은 껍질, 딱딱한 것은 껍데기라고 쓴다. 따라서 귤이나 바나나 등 딱딱하지 않은 것은 껍질, 소라나 조개 등은 껍데기라고 써야 한다. 구워 먹는 돼지껍데기도 돼지껍질이라고 써야 맞는 것이다.


5. 차돌배기 (X) 차돌박이 (O)

소의 양지머리뼈의 한복판에 붙은 기름진 고기는 ‘차돌박이’가 표준어이다. 한글맞춤법 제19항은 “어간에 ‘-이’나 ‘-음/-ㅁ'이 붙어서 명사가 된 것은 그 어간의 원형을 밝히어 적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박다’의 명사형은 당연히 ‘박이’니까 ‘차돌박이’가 맞다.


6. 라면 스프(X) 라면 수프(O)

라면 봉지에는 ‘분말 스프’라고 적혀 있는데, 영어로 soup이므로 ‘수프’라 쓰는 것이 맞다.


7. 후라이드(X) 프라이드(O)

치킨 메뉴로 가장 사랑받는 ‘양념 반 후라이드 반’ 이라는 표현은 사실 틀린 것이다. 이는 영어로 표기하면 fried인데, 알파벳 표기 일람표에 따라 알파벳 f 는 한국어 자음 'ㅍ'와 대응된다.


8. 공기밥 (X) 공깃밥 (O)

사이시옷 규칙에 따라 한자어와 순 우리말의 합성어에서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면 사이시옷을 삽입해야 한다. ‘공기’는 空器로 한자어이고 ‘밥’은 순 우리말인데, [공기빱]으로 소리나기 때문에 사이시옷을 넣어 ‘공깃밥’이라 써야 한다.


9. 아구찜 (X) 아귀찜 (O)

찜 요리로도 사랑받는 바닷물고기는 ‘아귀’가 표준말이다. 따라서 ‘아구찜’이 아니라 ‘아귀찜’이라 써야 한다.


10. 밥이 찰지다 (X) 밥이 차지다 (O)

밥이나 떡 따위가 끈기가 많을 때 ‘찰지다’라고 많이 쓰는데 이는 사실 틀린 표현이다. ‘차지다’가 표준어이기에 ‘밥이 차지다’라고 써야 한다.

황서영 기자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김영록 전라남도지사, 광양 으뜸마을 현장 민심 청취

데일리연합 (SNSJTV) 김민제 기자 | 김영록 전라남도지사는 9일 ‘청정전남 으뜸마을’인 광양 교촌마을을 찾아 주민들과 소통하며 현장 민심을 살폈다. 광양 교촌마을은 2024년 청정전남 으뜸마을 만들기 우수마을로 선정됐다. 세대별로 명패, 우편함, LED 센서 등을 주민들이 직접 재료를 구입하고 설치해 마을 경관개선과 주민 야간 보행 안정성을 높인 활동으로 호평을 받았다. 또한 교촌마을 일원에 조성된 마을 역사와 전통·문화를 담은 ‘광양향교 저태길 벽화’와 함께 광양향교, 광양교육지원청을 찾는 외지인들이 많은 만큼 올해는 마을 분리수거장을 손수 설치해 교촌마을을 더 아름답고 깨끗하게 관리하고 있다. 광양읍 도시재생사업으로 설치한 마을 공동 빨래방과 우물 정원은 고령화된 마을주민들의 공동체 화합과 소통·편의 공간으로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이날 김영록 지사는 교촌 마을회관을 방문해 정인화 광양시장과 함께 마을주민 30여 명과 현장 좌담회를 열고, 마을 애로사항을 청취한 뒤 교촌마을이 2024년 우수 으뜸마을로 선정된 것에 대한 축하와 감사의 인사를 전했다. 김영록 지사는 “재생에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