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김민제 기자 | 최근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AI 윤리 문제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AI가 생성하는 콘텐츠의 편향성, 저작권 침해 가능성, 개인정보 보호 문제 등이 사회적 논란으로 부상하며, 이에 대한 명확한 윤리적 가이드라인 마련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특히, 이미지 생성 AI의 경우, 저작권 문제가 심각하게 제기되고 있다. AI가 학습한 방대한 데이터 중 상당수가 기존 저작물을 포함하고 있으며, AI가 생성한 이미지가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국제적으로도 저작권법 개정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AI 개발사들의 책임에 대한 논의도 활발하다.
또한, AI가 생성하는 콘텐츠의 편향성 문제도 심각하다. AI는 학습 데이터의 편향성을 그대로 반영하여 성차별, 인종차별적인 결과물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편향성은 사회적 불평등을 심화시킬 수 있기에, AI 개발 과정에서 편향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배경과 관점을 가진 데이터를 활용하고, AI 모델의 학습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 나아가, AI의 책임과 투명성 문제도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AI가 잘못된 결과를 생성하거나, 예상치 못한 문제를 일으켰을 경우, 그 책임을 누가 져야 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필요하다. AI 개발사, 사용자, 또는 정부 등 각 주체의 책임과 권한을 명확히 규정하는 법적·제도적 장치 마련이 시급하다.
결론적으로, 생성형 AI 기술의 발전은 엄청난 잠재력을 가지고 있지만, 동시에 윤리적 문제에 대한 심각한 고민을 요구한다. AI 개발 및 활용에 대한 윤리 규범을 강화하고, 관련 법·제도를 정비하여 AI 기술이 사회에 안전하고 윤리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AI 기술이 인류 사회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향후 AI 기술 발전에 따라 윤리적 문제는 더욱 복잡해질 수 있다. 따라서 지속적인 논의와 연구를 통해 AI 윤리 규범을 정비하고 사회적 합의를 도출해야 한다. 정부와 기업, 그리고 시민사회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AI 기술이 인류의 공동선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