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시행이 임박함에 따라 국내 기업들의 탄소 감축 노력이 강화되고 있다. CBAM은 2026년부터 시행될 예정이며, 탄소 배출량이 많은 수입품에 대해 탄소세를 부과하는 제도이다. 이는 국내 기업들에게 탄소 중립을 위한 더욱 적극적인 전략 수립을 촉구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특히, 탄소 배출량이 많은 제조업체들은 CBAM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게 되어, 생산 공정 전반의 탄소 배출량 감축을 위한 기술 투자와 운영 방식 개선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이는 단순한 비용 절감 차원을 넘어, 기업의 장기적인 경쟁력 확보와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필수적인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탄소 감축 노력에는 상당한 비용이 수반되며, 중소기업들의 경우 재정적 부담이 더욱 클 수 있다. 정부는 이러한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하고 있는데, 탄소 감축 기술 개발 지원, 친환경 설비 투자 지원 등이 대표적이다. 더불어, 탄소 감축 노력에 대한 기업들의 인식 제고 및 정보 공유를 위한 정책 또한 필요하다.
이러한 움직임은 단순히 환경 규제 준수 차원을 넘어, ESG 경영의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고 있다. 투자자들은 기업의 ESG 경영 성과를 투자 결정의 중요한 요소로 고려하고 있으며, 탄소 감축 노력은 기업의 ESG 평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기업들은 탄소 감축을 통해 재무적 성과뿐 아니라, ESG 경영을 통한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기업 가치를 제고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EU의 CBAM 시행은 국내 기업들에게 탄소 감축을 위한 압력을 가하는 동시에 ESG 경영 전략을 재편할 것을 요구한다. 기업들은 단순한 규제 준수를 넘어, 지속 가능한 경영을 위한 혁신적인 솔루션을 모색하고 적극적으로 투자해야 할 것이다.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기업들의 자발적인 노력이 함께할 때, 국내 기업들은 탄소 중립을 달성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