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28 (금)

  • 맑음동두천 -1.2℃
  • 맑음강릉 4.3℃
  • 맑음서울 0.7℃
  • 맑음인천 1.1℃
  • 맑음수원 1.0℃
  • 맑음청주 3.4℃
  • 구름많음대전 4.1℃
  • 구름조금대구 5.9℃
  • 흐림전주 4.9℃
  • 맑음울산 4.9℃
  • 구름많음광주 5.9℃
  • 맑음부산 6.1℃
  • 구름조금여수 5.9℃
  • 구름많음제주 10.3℃
  • 맑음천안 2.9℃
  • 맑음경주시 5.7℃
  • 맑음거제 5.7℃
기상청 제공

보도자료

조희숙 셰프, 2020년 아시아 최고의 여성 셰프로 선정돼

-- 아시아 50대 베스트 레스토랑에서 선정

서울, 한국, 2020년 2월 19일 -- 서울 한식공간의 셰프이자 소유주인 조희숙 씨가 2020년 아시아 최고의 여성 셰프(Asia's Best Female Chef)로 선정됐다. 조 셰프는 3월 24일(화요일) S.Pellegrino & Acqua Panna의 후원으로 일본 사가현에서 열리는 아시아 50대 베스트 레스토랑(Asia's 50 Best Restaurants) 2020 시상식에서 상을 받을 예정이다.

 


Cho Hee-sook, chef-owner of Hansikgonggan in Seoul, has been named Asia’s Best Female Chef for 2020. The Best Female Chef Award – which features as part of Asia’s 50 Best Restaurants, The World’s 50 Best Restaurants and Latin America’s 50 Best Restaurants – celebrates and rewards successful women who have risen to the top of the gastronomic world.

 

이 상은 아시아의 레스토랑 업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역할 모델을 기리고자 하는 50 Best의 사명에서 나온 프로젝트다. 아시아 50대 베스트 레스토랑 콘텐츠 이사 William Drew는 "최고의 여성 셰프상은 열정, 기술 및 창의성으로 새로운 미식 우수성 기준을 세운 여성 셰프를 기리는 상"이라며 "훈련, 교육 및 멘토어십을 통해 평생을 한국 요리 발전에 헌신한 조희숙 셰프는 이 상의 정신을 구현한 완벽한 본보기"라고 언급했다.

조희숙셰프(이하 '조 셰프')는 경력 기간 중 대부분을 젊은 셰프들과 한식에 관한 심층적인 지식을 공유하고, 한국의 전통 요리와 조리법을 다음 세대에 전수하는 데 열중했다.

조 셰프는 20년 이상 서울의 인터콘티넨탈, 신라, 노보텔 엠베서더 등  최고급 호텔 주방에서 한식 책임자로 일했고, 노보텔 엠베서더에서 한식당을 오픈하는 등 인터네셔널 체인 호텔에서 한식 파인다이닝의 초석을 닦았다.  이후 미국 워싱턴 주재 한국대사관저 총주방장으로 근무 후 2006년에 한국으로 돌아온 그녀는 한국 로컬 재료를 탐색하고, 젊은 인재를 양성하며 요리 연구에 집중했다. 또한, 그녀는 우송대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수많은 미식 분야 학생들에게 영감을 불어넣었다. 

2019년에 조 셰프는 한식공간의 셰프 겸 오너가 됐고, 그에 따라 그녀의 경력은 새로운 방향을 맞았다. 한식공간은 궁중과 반가의 요리를 전문으로 하며, 미슐랭 별을 받은 아름다운 한식당이다. 조 셰프는 전통적인 한국 조리법을 추구하는 한편, 현대적인 재료, 고급 외식 요소 및 세련된 플레이팅을 통해 역사적인 조리법을 재해석했다. 한식공간은 한식을 발전시키고자 하는 그녀의 창의적인 비전을 보여준다.

이 명예로운 상을 받게 된 조 셰프는 "그동안 경력을 쌓으면서 수많은 젊은 셰프의 멘토가 됐다"라며 "다른 아시아 여성 셰프들이 자신의 열정을 쫓고, 야심을 가지며, 다른 사람들과 지식을 공유하도록 하는 영감을 이 상을 통해 얻길 바란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지금까지 아시아 최고의 여성 셰프상을 받은 수상자에는 태국의 Duangporn 'Bo' Songvisava(2013), 대만의 Lanshu Chen(2014), 홍콩의 Vicky Lau(2015), 필리핀의 Margarita Fores(2016), 홍콩의 May Chow(2017), 태국의 Bongkoch 'Bee' Satongun (2018)과 Garima Arora (2019) 등이 있다.

아시아 50대 베스트 레스토랑의 투표 과정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웹사이트 https://www.theworlds50best.com/asia/en/voting/the-voting-system에서 확인할 수 있다.

사진 -  
로고 - 

 

 

문의:
CatchOn, A Finn Partners Company

+852-2566-8988



데일리연합 & 무단재배포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윤석열 전) 대통령 책임론, 내란재판 논의 통해 본 리더십의 그림자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김민제 기자 | 윤석열 전직 대통령의 내란 관련 책임론이 지속적으로 문제 제기되고 있다. 특히, 일부에서는 그 책임의 경중을 두고 내란죄와 같은 중대한 법적 심판 가능성까지 언급하며 날선 공방이 오가는 상황이다. 이러한 논의 중심에는 한 나라의 최고 지도자였던 인물의 행적이 남기는 사회적 파장과 그에 대한 책임 있는 대응의 부재가 더욱 사회적 공분을 사고있다. 첫째, 책임론에 관한 근본적 문제는 전직 대통령이 퇴임 후에도 국가와 국민에 대한 무형의 책임감을 어떻게 이행해야 하는지에 대한 우리 사회의 합의 부족에 있다. 대통령의 자리는 단순한 행정 수반을 넘어 국가의 통합과 미래를 책임지는 상징적 존재다. 따라서 그의 언행 하나하나는 내란재판중에도 국민 통합과 국론 분열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표면적인 법적 공방 이면에는 전직 지도자로서 마땅히 보여야 할 책임 있는 리더십의 부재가 거론된다. 과거 사례들을 살펴보면, 위기 상황이나 사회적 갈등 속에서 지도자의 책임 있는 자세는 국민적 신뢰를 회복하고 사회 통합을 이끄는 중요한 동력이었다. 그러나 내란재판에서 보여주는 전직 대통령의 책임 떠넘기기식 행보가 오히려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