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16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맑음인천 26.2℃
  • 맑음수원 26.7℃
  • 흐림청주 24.3℃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구름조금전주 26.4℃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흐림여수 23.1℃
  • 제주 24.5℃
  • 구름조금천안 26.0℃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코스피 100대 기업 중 '시총 10조원' 이상 기업 25곳

코스피 시가총액 10조원 이상 기업이 지난 2008년에 비해 약 2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장우진 KB투자증권 선임연구원은 20일 '금융위기 이후 100대 기업 변화와 투자 아이디어'라는 보고서를 통해 코스피 100대 기업 중 시가총액 10조원 이상 기업이 금융위기 이후 2배 가량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시총 10조원 이상 기업은 2008년 9월말 13개에서 2014년 9월말 25개로 약 2배 증가했다. 반면 20개가 넘었던 2조원 이하 기업은 꾸준히 감소해 올해는 하나도 없었다.

2008년 기준 시총 상위 100대 기업 중에서는 22개 기업이 탈락해 이 자리를 14개의 신규 상장 기업과 8개의 신규 진입 기업이 대체했다.

코스피 100대 기업의 시가총액 합은 2008년 589조원에서 2014년 970조원으로 381조원 증가했다. 기존 100대 기업들의 시총 성장 규모가 301조원으로 기여도가 가장 컸다.

탈락 및 신규 진입 기업의 시총 총합에 대한 기여는 탈락한 22개 기업이 -43조원, 신규 상장 기업 14개가 93조원, 8개의 신규 진입 기업이 30조원이었다.

코스피 100대 기업들의 업종별 시총 상위 3개 업종은 IT(140조원), 자동차·부품(78조원), 금융(62조원) 등이다. 산업재는 기존기업들의 100대 기업 탈락 및 역성장이 복합적으로 나타나 시총 하락폭이 가장 컸다.

신규 진입을 통한 상승분 30조원 중에서는 소비재(경기, 필수소비재)가 19조원을 차지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신규 진입 기업 = 제일기획, 한샘, 호텔신라, 금호석유, 영풍, 아모레G, 엔씨소프트, LG이노텍

◇탈락 기업 = 현대상선, 팬오션, 대한항공, 한진해운홀딩스, 대한해운, 한진중공업, LS산전, STX, 대한전선 미래에셋증권, 현대증권, LIG손해보험, 메리츠화재, 코리안리, 동국제강, 삼성정밀화학, 남해화학, 태광산업, 유한양행, 동아쏘시오홀딩스, 한국타이어월드와이드, 농심

◇신규 상장 기업 = 삼성생명, KB금융, SK C&C, 한국타이어, 이마트, 한화생명, 현대위아, BS금융지주, 한국항공우주, GKL, 만도, DGB금융지주, 영원무역, 한전기술 


조진성 기자


[무단전재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최교진 부총리, 일선 학교를 방문해 고교학점제 의견 청취

데일리연합 (SNSJTV) 김준 기자 | 최교진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9월 15일, 금산여자고등학교(충남)를 방문하여 수업을 참관하고 교사‧학생과 간담회를 개최한다. 이번 방문은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취임 후 첫 번째 현장 방문 일정으로 고교학점제와 관련한 현장의 의견을 청취하기 위해 마련됐다. 금산여고는 학생의 수요를 반영한 다양한 과목을 개설하고 고교-대학 연계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등 학생의 진로 탐색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이번 방문에서 최교진 부총리는 수업을 참관한 뒤 교사‧학생, 충남교육청 관계자와 함께 고교학점제의 안착을 돕고 현장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최교진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올해 1학기 고교학점제가 전면 도입된 후 학생들의 과목 선택 기회가 확대되고, 학업 성취가 낮은 학생에 대한 교육적 관심이 커지는 등 긍정적인 변화도 있으나 학교에서는 여러 어려움을 호소해 온 것으로 알고 있다.”라고 말하며, “앞으로 현장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고교학점제 안착을 목표로 실효성 있는 개선 방안을 빠른 시간 내 마련하겠다.”라고 밝힐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