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28 (금)

  • 맑음동두천 -1.2℃
  • 맑음강릉 4.3℃
  • 맑음서울 0.7℃
  • 맑음인천 1.1℃
  • 맑음수원 1.0℃
  • 맑음청주 3.4℃
  • 구름많음대전 4.1℃
  • 구름조금대구 5.9℃
  • 흐림전주 4.9℃
  • 맑음울산 4.9℃
  • 구름많음광주 5.9℃
  • 맑음부산 6.1℃
  • 구름조금여수 5.9℃
  • 구름많음제주 10.3℃
  • 맑음천안 2.9℃
  • 맑음경주시 5.7℃
  • 맑음거제 5.7℃
기상청 제공

보도자료

세계심장연합, 올해 세계 심장의 날에 심장 건강의 평등 촉구

-- 올해 세계심장연합은 전 세계 수백만 명에게 심장의 영웅이 되도록 영감을 불어넣는다. 그 방법은 자신의 심장, 친척의 심장, 친구의 심장을 돌보기로 약속하고, 그 약속을 지키는 것이다.

-- 심혈관 질환은 세계에서 사망자 수가 가장 많은 질환으로, 매년 1,790만 명이 심혈관 질환으로 사망한다. 그에 반해 HIV/AIDS, 말라리아 및 결핵으로 인한 사망자 수는 300만 명에 불과하다[(WHO)].

제네바, 2019년 9월 27일 -- 연합뉴스 - 모든 심장이 평등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모든 심장이 평등해야 한다

세계 심장의 날(World Heart Day)은 심혈관 질환 인식을 높이기 위한 최대 규모의 플랫폼이다. 올해 세계 심장의 날은 심장 건강의 불평등에 주목한다. 가장 시급한 사안 중 하나는 여전히 심혈관 약에 대한 접근성이다. 세계 인구 중 약 3분의 1에 해당하는 20억 명이 필요한 약에 대한 접근성 부족을 겪고 있다. 이는 대체로 서비스가 충분하지 못한 국가와 지역 또는 도시 내 고립된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1]

모든 수입 환경에서, 심혈관 질환의 발생률 증가와 건강관리 접근성의 제한은 교육과 건강 인식 같은 건강의 사회경제적 결정요인과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증거가 증가하고 있다.[2]

세계심장연합 회장 Karen Sliwa 교수는 "나의 조국인 남아프리카공화국은 세계 여러 지역과 마찬가지로 대다수 국민이 절대 빈곤이나 상대 빈곤 상태에서 살아가며, 교육 수준이 여전히 낮은 반면, 특정 인구 집단은 부유하며, 우수한 교육과 건강관리에 대한 좋은 접근성을 누린다"라며 "세계 어느 지역에서 발생하든, 건강과 빈곤의 사회경제적 결정요인은 심혈관 질환의 패턴과 예방에 깊은 영향을 미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심혈관 질환의 패턴과 예방은 늦은 진단과 다양한 형태의 질병 관리에 대한 접근성 제한으로 더욱 심각해진다"면서 "세계 심장의 날은 세계심장연합을 지지하는 한편, 이들 문제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모든 인구에 건강한 심장 라이프스타일이라는 메시지를 전파하는 세계심장연합의 전략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라고 설명했다.

나의 심장, 당신의 심장

세계 심장의 날은 증가하는 심혈관 질환의 환자 수를 낮추고, 심장 건강의 평등을 주장하는 데 목표를 둔다. 9월 29일에는 전 세계 사람들이 직접 만든 캠페인 포스터를 공유하고, 인식을 높이는 활동을 진행하며, 소셜 미디어에서 메시지를 전파할 예정이다. 또한, 캠페인 영상을 공유하며, 지역 심장 재단을 위해 모금 활동을 하고, 대표적인 랜드마크, 건물 또는 기념비에 조명 작업을 함으로써 심혈관 질환 퇴치를 위해 하나가 된다.

올해 세계 심장의 날에 심장 건강을 지지하고자 하는 약속을 하고 싶다면 자신만의 포스터를 만들어 웹사이트 worldheartday.org에 공유하거나, 해시태그 #WorldHeartDay 및 을 태그해서 약속한다.

참고

1. Veronika Wirtz et al, "Essential Medicine for Universal Health Coverage," The Lancet Commissions, The Lancet, (2017):422

2. Mayagah Kanj and Wayne Mitic, "Health Literacy," paper presented as a working document for discussion at the 7th Global Conference on Health Promotion, "Promoting Health and Development: Closing the Implementation Gap," Nairobi, Kenya, October 2019, 20.

로고 -

  




데일리연합 & 무단재배포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윤석열 전) 대통령 책임론, 내란재판 논의 통해 본 리더십의 그림자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김민제 기자 | 윤석열 전직 대통령의 내란 관련 책임론이 지속적으로 문제 제기되고 있다. 특히, 일부에서는 그 책임의 경중을 두고 내란죄와 같은 중대한 법적 심판 가능성까지 언급하며 날선 공방이 오가는 상황이다. 이러한 논의 중심에는 한 나라의 최고 지도자였던 인물의 행적이 남기는 사회적 파장과 그에 대한 책임 있는 대응의 부재가 더욱 사회적 공분을 사고있다. 첫째, 책임론에 관한 근본적 문제는 전직 대통령이 퇴임 후에도 국가와 국민에 대한 무형의 책임감을 어떻게 이행해야 하는지에 대한 우리 사회의 합의 부족에 있다. 대통령의 자리는 단순한 행정 수반을 넘어 국가의 통합과 미래를 책임지는 상징적 존재다. 따라서 그의 언행 하나하나는 내란재판중에도 국민 통합과 국론 분열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표면적인 법적 공방 이면에는 전직 지도자로서 마땅히 보여야 할 책임 있는 리더십의 부재가 거론된다. 과거 사례들을 살펴보면, 위기 상황이나 사회적 갈등 속에서 지도자의 책임 있는 자세는 국민적 신뢰를 회복하고 사회 통합을 이끄는 중요한 동력이었다. 그러나 내란재판에서 보여주는 전직 대통령의 책임 떠넘기기식 행보가 오히려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