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17 (월)

  • 구름많음동두천 3.9℃
  • 맑음강릉 10.2℃
  • 흐림서울 3.8℃
  • 흐림인천 3.0℃
  • 구름많음수원 4.3℃
  • 구름많음청주 7.2℃
  • 구름조금대전 7.8℃
  • 구름많음대구 9.9℃
  • 구름많음전주 7.9℃
  • 구름조금울산 12.0℃
  • 구름많음광주 8.5℃
  • 맑음부산 14.4℃
  • 구름많음여수 11.0℃
  • 흐림제주 13.4℃
  • 구름많음천안 6.0℃
  • 구름조금경주시 11.8℃
  • 맑음거제 14.2℃
기상청 제공

보도자료

UN의 보편적 의료 보장에 관한 정치 선언, 드디어 구강건강 포함

-- 세계 건강 의제에 구강건강 포함

제네바, 2019년 9월 18일 -- FDI 세계치과의사연맹(FDI World Dental Federation, FDI)이 UN의 보편적 의료 보장에 관한 정치 선언[ ](Universal Health Coverage, UHC)에서 구강건강 강화를 약속한 변화를 환영했다. 이는 오래전부터 현안이었던 사항이다. 이달 23일 뉴욕에서 열리는 UN 고위급 UHC 회의에서 세계 지도자들이 이 선언을 공식 채택할 예정이다.

FDI 회장 Dr Gerhard Seeberger는 "구강건강은 전체 건강 영역에서 가장 간과되는 부분 중 하나"라며 "따라서 UN 정치 선언을 탄탄하게 하는 이 획기적인 약속을 한 세계 지도자들에게 찬사를 보낸다. 이제 이 선언을 구체적이고 지속가능한 국가 차원의 행동으로 실천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구강건강은 인생의 모든 단계에서 전반적인 건강과 웰빙에 필수적 요소지만, 세계 인구 중 절반 이상에 해당하는 약 35.8억 명이 여전히 나쁜 구강건강으로 고통받고 있다. 충치, 잇몸 질환 및 구강암 같은 구강 질환은 예방이 가능한 가장 흔한 비전염성 질환이다. 구강 질환은 일생에 걸쳐 발생할 수 있으며, 통증, 불편함, 미관 손상, 심지어는 사망까지 유발한다. 구강 질환의 핵심적인 위험 요인은 담배, 해로운 알코올 섭취, 설탕 섭취다.

대부분의 구강 질환은 예방이 가능하다. 그러나 1990년 이후, 구강 질환이 발생해도 치료를 받지 않는 사람의 수가 38%나 증가했다. 구강 질환은 환자 본인이 부담하는 치료비가 네 번째로 많이 드는 질환이다.

세계보건기구 NCD 치과 부장 Dr Benoit Varenne은 "UHC는 핵심적인 구강건강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개선하고, 수많은 국가에서 구강건강 관리와 관련된 환자 본인부담금의 상당 금액을 해결할 독특한 기회를 제공한다"라며 "핵심적인 구강건강 서비스가 UHC에 통합됨에 따라 건강 결과가 개선되고, 근본적인 치료 접근성 불평등이 감소할 것"이라고 말했다.

FDI 세계치과의사연맹(World Dental Federation)[ ] 소개

1900년에 설립된 FDI 세계치과의사연맹은 전 세계 약 130개국에서 100만 명이 넘는 치과의사, 약 200개의 국가별 치과협회 및 전문가 단체를 대변하는 회원제 기반의 국제단체다. FDI 본부는 스위스 제네바에 있으며, FDI의 사명은 전 세계적으로 최적의 구강건강을 도모하는 것이다.

추가 정보

Dr Charanjit (Chaz) Jagait
Communications & Advocacy Director, FDI World Dental Federation
이메일:
전화: +41-22-560-81-48
Michael Kessler
Michael Kessler Media
이메일:  
전화: +34-655-792-699

 




데일리연합 & 무단재배포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미래 투자와 민생 안정, 전주시 2조 6606억 원 규모 내년도 예산 편성

데일리연합 (SNSJTV) 임재현 기자 | 전주시가 미래세대를 위한 투자와 민생 안정 등 전주의 대변혁을 앞당기는 데 초점을 맞춰 내년도 예산안을 편성했다. 시는 2조 6606억 원 규모의 2026년도 본예산안을 편성해 전주시의회의 심의를 요청했다고 17일 밝혔다. 내년도 예산안은 크게 △지속가능한 도시를 위한 미래세대 투자 △시민 모두가 행복한 도시, 민생 안정 △새로운 전주를 만드는 미래성장동력 확보 등을 구현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분야별로 살펴보면, 먼저 시는 미래의 주역을 키우고 살기 좋은 정주 여건을 강화하기 위해 총 8874억 원의 예산을 편성했다. 구체적으로 시는 △청년매입 임대주택(청춘별채) 공급 20억 원 △전주기업반 취업지원·출향청년 채용 전주기업 취업지원 사업 4억 원 △청년월세 지원사업 67억 원 △전북청년 함께 두배 적금 12억 원 △청년부부 결혼비용 지원사업 1억 원 △전북형 청년활력수당 24억 원 △청년문화예술패스 지원사업 2억 원 △전북 청년지역정착 지원사업 45억 원 등의 예산을 반영했다. 동시에 저출생에 따른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해 △출생축하금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