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08 (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보도자료

Sasol, 또 다른 탄광 공식 개장하며 일자리 지원

요하네스버그, 2019년 4월 14일 -- Sasol 음푸말랑가(Mpumalanga)주에서 다른 탄광을 공식적으로 개발했다. 이곳에서는 세계적인 규모로 석탄을 채굴해 고가치 연료와 화학 제품으로 만든다.

줄루어로 '성공' 뜻하는 Impumelelo R140 규모의 광산 교체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Sasol 지난 10년간 개발한 3곳의 세계적 수준 탄광 하나다. 나머지 곳은 Thubelisha Shondoni. 탄광 개장식에는 광물자원부 장관 Gwede Mantashe 참석했다.

R56억의 투자금이 투입된 Impumelelo 연간 1,050 톤의 석탄을 생산할 것으로 예상된다. 탄광에는 현재 1,760명이 일하고 있으며, 이들 대부분이 근처 음푸말랑가 지역사회 출신이다.

Sasol 공동 사장 CEO Bongani Nqwababa " 탄광은 4,000개의 일자리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최소 2050년까지 자사의 Secunda Synfuels Operations 공급할 석탄을 확보할 "이라고 말했다.

이들 탄광에는 독특한 특징이 있는데, Sasol 환경뿐만 아니라 직원 안전까지도 보장하기 위해 탄광의 첨단 기술적 조처에 투자했다.

Nqwababa 대표는 "여기에는 생산 전기 무트랙 기계에 장착된 근거리 탐지 시스템도 포함된다"라며 " 시스템은 사람이 너무 가까이 있을 경우 경고를 보내고, 최종적으로 기계를 중단시킨다" 말했다.

이들 탄광에 설치된 다른 기술은 지하 안전 예방을 높이는 전기 트리거 LED 류광 시스템이다. 시스템은 지붕이 움직일 광부들의 시선을 끄는 역할을 한다. 소음을 줄이는 다양한 기술에도 투자가 이뤄졌다.

Sasol 업스트림 포트폴리오에 속하는 광산 사업은 연간 석탄 생산량이 4천만 톤으로서,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번째로 규모를 자랑한다. 광산 사업은 Sasol 수익 13% 차지하며, 세계 통합 화학물질과 에너지 기업의 장기적 지속가능성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Sasol 소개:

Sasol 세계적인 통합 화학에너지 기업이다. Sasol 재능있는 사람을 통해 고객, 주주 기타 이해관계자를 위한 우수한 가치를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창출한다. 회사는 일반 전문 화학물질, 가스와 액상 연료 저탄소 전기를 생산하고 상업화하고자 세계적 수준의 운영 시설로 정교한 기술을 통합한다.

Alex Anderson, Head of Group Media Relations
직통전화: +27 (0) 10 344 6509; 모바일: +27 (0) 71 600 9605;   

Matebello Motloung, Senior Specialist: Media Relations
직통전화: +27 (0) 10 344 9256; 모바일: +27 (0) 83 773 9457   



데일리연합 & 무단재배포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낮에는 자원순환, 밤에는 조선체험으로 보낸 김제의 특별한 주말

데일리연합 (SNSJTV) 박해리 기자 | 9월의 첫 주말 김제시가 시민과 관광객으로 북적였다. 지난 5일부터 6일까지 2일간 김제시민문화체육공원에서 ‘제3회 김제 자원순환 새로보미 축제’가 개최됐다. ‘새로보미 축제’는 5개 분야에 걸쳐 총 80개의 다채로운 자원순환 프로그램으로 구성돼 어린이부터 어른까지 누구나 즐기고 참여할 수 있는 축제다. 특히, 고장 나거나 쓸모 없어진 물건들, 재활용품 등 폐자원을 활용해 만든 예술작품인 ‘정크아트’전시는 어린이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어른들에게 색다른 감동을 선사했다. 또, 단순히 자원순환을 주제로 한 콘텐츠를 소개하는데 그치지 않고 행사 운영 전반에 친환경 원칙을 적극 반영해 자원순환의 가치를 직접 체험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진행돼 관람객들이 자연스럽게 자원순환을 실천하도록 유도했다. 더불어, 환경부 주최 정부 공식행사인 ‘제17회 자원순환의 날’ 기념식을 지난 5일 “탈플라스틱, 지구를 위한 약속”을 주제로 진행되며 그 의미를 더했다. 이번 ‘제17회 자원순환의 날’행사는 수도권 중심 방식에서 벗어나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