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28 (금)

  • 맑음동두천 -1.8℃
  • 맑음강릉 3.9℃
  • 맑음서울 0.1℃
  • 맑음인천 0.6℃
  • 맑음수원 -0.2℃
  • 구름조금청주 2.9℃
  • 흐림대전 3.7℃
  • 맑음대구 5.5℃
  • 구름많음전주 5.0℃
  • 맑음울산 5.1℃
  • 흐림광주 5.9℃
  • 맑음부산 5.5℃
  • 맑음여수 5.7℃
  • 구름많음제주 10.0℃
  • 맑음천안 2.3℃
  • 맑음경주시 5.2℃
  • 맑음거제 5.8℃
기상청 제공

국제

밀레니얼 세대들, 집 사기 어려워져

밀레니얼 세대들, 집 사기 어려워져

영국 밀레니얼 세대 3명중 1명은 그들의 집을 소유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영국 일간 가디언지는 싱크탱크 Resolution Foundation의 자료를 인용해 20세에서 35세 사이  밀레니얼 세대 절반은 그들이 40대가 되었을때 집을 임대하게되고 3분의 1에 해당하는 숫자는 연금을 요구하는 상황이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사진: 가디언

Resolution Foundation은 이 같은 예상을 언급하며  민간 주택 임대 시장의 급진적인 점검을 요청했는데,  지난해 노동당 컨퍼런스에서 제레미 코빈 역시 이 같은 임대 시장 통제에 대해 언급한 바 있다.  

또한 Resolution Foundation은 잉글랭드와 웨일즈에서 집주인의 요구로 6개월 혹은 12개월 임대 계약 역시 세입자의 한 형태로 봐야 한다고 요구했다. 한편, 스코틀랜드는 2017년 12월부터 계약기간에 제약을 두지 않은 open-ended 계약을 시작했고, 이는 독일, 네덜란드, 스웨덴과 스위스에서도 일반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주택임대 통제에 대해 집주인들은 반대 의사를 표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Resolution Foundation의 Lindsay Judge는 "영국의 집 문제들은 지난 몇십년동안 위기에 처해있고, 이에 젊은층들은 그로 인한 타격을 받고 있다."고 언급했다. 또한 "만약 정부가 현재 주택 시장 위기에 대해 해결하길 원한다면 민간 주택을 임대하고 있는 수백명의 상황을 개선시켜야한다.”며, “이것은 임대 주택의 표준을 향상시키고 임대와 관련한 리스크를 줄여야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자녀들과 함께 민간 주택 임대를 하는 가정의 숫자는 지난 2003년 600,000명에서 2016년 1.8m으로 3배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 보도


데일리연합 & 무단재배포금지
유로저널(http://www.eknews.net)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윤석열 전) 대통령 책임론, 내란재판 논의 통해 본 리더십의 그림자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김민제 기자 | 윤석열 전직 대통령의 내란 관련 책임론이 지속적으로 문제 제기되고 있다. 특히, 일부에서는 그 책임의 경중을 두고 내란죄와 같은 중대한 법적 심판 가능성까지 언급하며 날선 공방이 오가는 상황이다. 이러한 논의 중심에는 한 나라의 최고 지도자였던 인물의 행적이 남기는 사회적 파장과 그에 대한 책임 있는 대응의 부재가 더욱 사회적 공분을 사고있다. 첫째, 책임론에 관한 근본적 문제는 전직 대통령이 퇴임 후에도 국가와 국민에 대한 무형의 책임감을 어떻게 이행해야 하는지에 대한 우리 사회의 합의 부족에 있다. 대통령의 자리는 단순한 행정 수반을 넘어 국가의 통합과 미래를 책임지는 상징적 존재다. 따라서 그의 언행 하나하나는 내란재판중에도 국민 통합과 국론 분열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표면적인 법적 공방 이면에는 전직 지도자로서 마땅히 보여야 할 책임 있는 리더십의 부재가 거론된다. 과거 사례들을 살펴보면, 위기 상황이나 사회적 갈등 속에서 지도자의 책임 있는 자세는 국민적 신뢰를 회복하고 사회 통합을 이끄는 중요한 동력이었다. 그러나 내란재판에서 보여주는 전직 대통령의 책임 떠넘기기식 행보가 오히려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