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28 (금)

  • 맑음동두천 -1.8℃
  • 맑음강릉 3.9℃
  • 맑음서울 0.1℃
  • 맑음인천 0.6℃
  • 맑음수원 -0.2℃
  • 구름조금청주 2.9℃
  • 흐림대전 3.7℃
  • 맑음대구 5.5℃
  • 구름많음전주 5.0℃
  • 맑음울산 5.1℃
  • 흐림광주 5.9℃
  • 맑음부산 5.5℃
  • 맑음여수 5.7℃
  • 구름많음제주 10.0℃
  • 맑음천안 2.3℃
  • 맑음경주시 5.2℃
  • 맑음거제 5.8℃
기상청 제공

국제

독일인들의 현금 사랑, 스마트폰 지불방법 거의 사용안해

독일인들의 현금 사랑, 스마트폰 지불방법 거의 사용안해 


오늘날 기술의 발달은 물건값을 지불하는데에도 점점더 편리함을 주고 있지만, 독일인들의 관심은 비교적 크지 않다. 독일인들의 현금 사랑 때문이다.  



(사진출처: stern.de)


지난 14일자 슈테른 온라인은 독일인들이 물건값을 지불하는데 있어 카드를 사용하는 경우가 점점 증가하고는 있지만, 아직도 물건값이 적은 경우에는 현금사용이 압독적이라고 보도했다. 연방은행의 최근 설문결과에 따르면, 독일인들의 88% 앞으로도 현금 지불이 가능하기를 원하고 있으며, 실제 2017 슈퍼마켓에서 장을본 소비자들의 네명중 세명은 현금으로 지불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금없는 지불가능 시스템이 넒게 퍼져있음에도 불구하고, 스마트폰으로 지불 가능성은 거의 이용되고 있지 않다라는 것이 작센의 소비자센터의 케스틴 슐쯔 대표의 말이다. 작센주에서 은행통장을 소지한 1000명의 설문대상자중 스마트폰으로 지불한 경험이 있는 사람은 3%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연방은행은 이렇게 독일인들이 스마트폰 지불방법을 회피하고 있는데에는 많은 소비자들이 방법에 대한 신뢰감이 크지 않아 걱정이 많기 때문인 것으로 보고 있으며, 다른 이유로는 사용하는 방법이 복잡하다라고 느끼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 독일인들은 현금을 사랑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여진다. 유로를 사용하는 국가에서 어떤 국가의 소비자들보다 독일인들처럼 많은 현금을 지갑에 지니고 다니는 사람들은 없는 모습으로, 유럽중앙은행의 지난 2016 조사결과에 의하면, 평균적으로 독일인들은 100유로의 현금을 지니고 다니는 것으로 드러난바 있다.  


독일 보도



데일리연합 & 무단재배포금지
유로저널(http://www.eknews.net)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윤석열 전) 대통령 책임론, 내란재판 논의 통해 본 리더십의 그림자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김민제 기자 | 윤석열 전직 대통령의 내란 관련 책임론이 지속적으로 문제 제기되고 있다. 특히, 일부에서는 그 책임의 경중을 두고 내란죄와 같은 중대한 법적 심판 가능성까지 언급하며 날선 공방이 오가는 상황이다. 이러한 논의 중심에는 한 나라의 최고 지도자였던 인물의 행적이 남기는 사회적 파장과 그에 대한 책임 있는 대응의 부재가 더욱 사회적 공분을 사고있다. 첫째, 책임론에 관한 근본적 문제는 전직 대통령이 퇴임 후에도 국가와 국민에 대한 무형의 책임감을 어떻게 이행해야 하는지에 대한 우리 사회의 합의 부족에 있다. 대통령의 자리는 단순한 행정 수반을 넘어 국가의 통합과 미래를 책임지는 상징적 존재다. 따라서 그의 언행 하나하나는 내란재판중에도 국민 통합과 국론 분열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표면적인 법적 공방 이면에는 전직 지도자로서 마땅히 보여야 할 책임 있는 리더십의 부재가 거론된다. 과거 사례들을 살펴보면, 위기 상황이나 사회적 갈등 속에서 지도자의 책임 있는 자세는 국민적 신뢰를 회복하고 사회 통합을 이끄는 중요한 동력이었다. 그러나 내란재판에서 보여주는 전직 대통령의 책임 떠넘기기식 행보가 오히려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