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박무인천 26.9℃
  • 구름조금수원 28.8℃
  • 맑음청주 29.3℃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맑음전주 32.5℃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많음여수 27.5℃
  • 맑음제주 29.6℃
  • 구름조금천안 27.7℃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국제

프랑스, OECD국가 중 2번째로 세금 높아

프랑스, OECD국가 중 2번째로 세금 높아

OECD가입국을 대상으로 한 2016년 세금현황 조사에서 프랑스의 세금부담이 덴마크를 이어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주 목요일 발표된 OECD연례조사를 인용한 프랑스 일간지 르 피가로Le Figaro에 따르면. 가계와 기업에서 지불하는 세금과 사회분담금은 지난 해 국내총생산의 45,3%에 해당하며 세금징수액은 2015년 9950억 유로, 2016년은 1조 87억 유로로 0,1% 상승했다. 하지만 최고치를 달성했던 2013년 1조 1480억 유로 보다는 적다. OECD평균은 35%다. 

이번 보고서는 소득세와 재산세 그리고 기타 세금 및 사회분담금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한 것이다. 세금자동징수는 일반세금보다는 대부분 사회보장의 근간을 형성하는 사회분담금으로 환원된다. 프랑스의 사회보장지출비용은 2014년 34,3%로 덴마크, 네델란드, 벨기에보다 높다.  
덴마크의 경우 세금부담율이 45,9%로 최고지만 공공적자는 국내총생산의 0,6%로 낮다. 하지만 프랑스의 경우 공공적자는 3,4%로 가볍지 않은 세금부담과 높은 공공적자간의 불균형이 크며 이러한 상황은 적어도 내년 봄까지는 이어질 전망이다. 
반면 프랑스의 소득세는 상대적으로 낮으며 세금부담율이 높은 것은 무엇보다 사회보장기금 징수액에서 기인한다. 
프랑스는 오랫동안 세금부담율이 높은 나라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1965년의 경우 세금부담율은 GDP의 33,6%였으며 OECD 평균은 24,8%였다. 이후 모든 나라에서 세금과 사회부담금은 증가했지만 프랑스가 더욱 빠르게 오른 것은 사실이다. 
OECD는 프랑스의 2014년GDP의 45,5%에 달하는 세금자동징수는 기록적 수치에 근접했다고 밝혔다. 프랑소와 올랑드 전대통령의 세금인상에 반대했던 진영의 논리와 세금인상에 무조건적 반감을 가지는 이들을 조금은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다. 
하지만 현재 프랑스에서 파격적인 세금인하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주거세 폐지, 부유세ISF 및 법인세 감면 등으로 부분적 세금부담이 줄어들지만 환경세 증가가 예고되어 있다. 경제부에 따르면 2022년 세금자동징수는 43,6%가 될 전망이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 인용된 33개 회원국 중 20개국의 과세액이 증가했다. 세금부담이 줄은 나라는 벨기에, 이탈리아, 스페인, 캐나다, 미국, 포르투칼이다. 세금증가율이 가장 높은 나라는 그리스, 네델란드다. OECD 가입국 중 과세율이 GDP의 40%를 초과한 나라는 프랑스를 비롯해 벨기에, 오스트리아, 스웨덴, 덴마크, 이탈리아 6개국이다. 
 
사진 출처 : 르 피가로


프랑스 보도


데일리연합 & 무단재배포금지
유로저널(http://www.eknews.net)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익산시, 우호도시 돈다바야시시와 교류 본격 재개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김준 기자 | 익산시가 일본 우호 도시인 돈다바야시시와의 역사 문화 교류를 재개하며 백제왕도 익산의 국제적 위상 강화에 나섰다. 정헌율 익산시장과 김경진 익산시의회 의장은 2일 일본 오사카의 돈다바야시 시청을 방문해 요시무라 요시미 시장과 환담을 갖고, 양 도시 간 교류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양 도시는 백제문화와 아스카문화라는 역사적 연관성을 바탕으로 2007년부터 상호 대표단 파견, 학술행사 및 지역축제 교류를 지속해왔다. 이번 방문은 미륵사지와 왕궁리유적의 세계유산 등재 10주년을 맞아, 코로나19 이후 중단됐던 교류를 본격적으로 재개하는 계기가 됐다. 이 자리에서 정헌율 시장은 "돈다바야시시는 백제촌, 하백제 등 지명이 남아 있을 만큼 백제와의 교류가 활발했던 아스카문화의 중심지"라며 "익산 또한 백제 무왕의 도읍지로서 두 도시 간 역사적 연대감을 바탕으로 문화교류를 복원하고 확장하자"고 제안했다. 요시무라 시장은 "아스카시대 돈다바야시와 백제시대 익산이 교류했던 인연처럼, 오늘날 양 도시도 문화와 인적 교류를 이어가길 바란다"고 화답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