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박무인천 26.9℃
  • 구름조금수원 28.8℃
  • 맑음청주 29.3℃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맑음전주 32.5℃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많음여수 27.5℃
  • 맑음제주 29.6℃
  • 구름조금천안 27.7℃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국제

폴란드에서 대규모 극우 시위 벌어져

폴란드에서 대규모 극우 시위 벌어져

지난 주말, 폴란드에서 독립 기념일에 맞춰 대규모 극우 시위가 벌어졌다.

영국 일간 가디언지는 지난 토요일 폴란드 독립 기념일에 맞춰 폴란드 수도 바르샤바에서 경찰 추산 60,000명의 극우주의자들의 시위가 있었다고 보도했다. “화이트(백인) 유럽”이라는 슬로건 아래 진행된 이 집회는 최근 몇 년 사이 유럽에서 진행된 극우 집회 중 규모가 가장 큰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았다.

집회자들은 백인 우월주의를 뜻하는 의미로 얼굴에 'Pure Poland, White Poland' 등을 적고 이 같은 구호를 외쳤다. 한편, 다리에는 이슬람의 대참사를 기원한다는 뜻으로 “Pray for Islamic Holocaust"라는 현수막이 걸리기도 했다.

사진: 가디언


반 극단주의 그룹 ‘Hope Not Hate'의 Nick Lowles는 이 행사가 세계 극우 집단의 중요한 핵심이 되었다며, “이 행동은 전 세계 극우 집단들을 마그넷처럼 행동하게 만들 것이다.”고 언급했다.

집회에 모인 많은 사람들이 폴란드 국기를 들었던 반면, 또 다른 사람들은 1930년 극우의 상징이던 팔란가를 들었다. 보수적인 정부를 반영하는 TVP는 이번 행진에 대해 "애국자들의 멋진 행진"이라 칭하며, 이번 이벤트가 극우주의자들이 아닌 폴란드를 사랑하는 마음을 표현하는 가장 일반적인 폴란드 사람들을 이끌어 냈다고 보도했다.

폴란드 내무 장관 역시 “아름다운 광경”이라고 언급하며, “많은 폴란드 사람들이 독립 기념일을 축하하기 위해 참여키로 결정한 것이 자랑스럽다”고 덧붙였다.

반면, 극우단체의 집회에 반대하는 작은 반 파시스트 집회도 있었다. 비록 주최측들이 두 그룹들을 분리하려고 노력했지만, 극우주의자들은 'Stop Fascism'이라는 배너를 들고 반 파시스트 운동을 하는 여성들을 발로 차기도 했다.

한편, 폴란드는 18세기 이후 러시아, 프로이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아래서 분할되고 지배되어 오다가 1차 세계 대전 후에 자치권을 다시 얻었고, 오늘 이벤트는 1918년 폴란드의 독립을 축하하는 많은 이벤트 중에 하나다.  



데일리연합 & 무단재배포금지
유로저널(http://www.eknews.net)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가평군, 사회적기업 육성 우수자치단체에 선정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가평군이 1일 고용노동부 주관 ‘2025년 사회적기업 육성 우수 자치단체’ 평가에서 우수상을 수상하며, 사회적경제 정책 추진 성과를 대외적으로 인정받았다. 시상식은 이날 서울 과학기술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사회적기업의 날’ 기념행사와 함께 진행됐다. 이번 평가는 전국 17개 시도와 228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실시한 가운데, 가평군을 포함한 총 8개 자치단체가 우수기관으로 선정됐다. 가평군은 △일자리 창출 및 판로지원 △예비사회적기업 관리 △지원체계 구축 및 재정사업 우수사례 발굴 △사회적가치지표(SVI) 운영 및 부정수급 방지 노력 △지방시대 구현과 사회서비스 제공 성과 등 다섯 개 평가 항목에서 고른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특히 사회적기업 인큐베이팅 시스템을 체계적으로 구축하고, 온라인 통합 플랫폼 운영과 재정지원 확대 등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을 마련한 점이 높이 평가됐다. 서태원 군수는 “이번 수상은 행정과 민간이 함께 만든 값진 성과”라며 “가평군의 사회적기업이 돌봄 공백 해소와 복지사각지대 해소 등 지역사회 현안 해결에 더욱 기여할 수 있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