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5.15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인천 16.9℃
  • 맑음수원 17.4℃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전주 19.1℃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여수 16.8℃
  • 맑음제주 21.3℃
  • 구름조금천안 17.8℃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생활/건강

상반기 해외직구, 전년 동기 대비 34% 증가


(데일리연합 박보영기자)

2017년도 상반기 해외직구 규모는 1,096만건, 9억7천4백만 달러 2016년도 상반기 815만건, 7억4천6백만달러 대비 건수기준 34%, 금액기준 30% 대폭 증가하였다.

2016년 상반기

2017년 상반기

동기대비 증감(%)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8,153천건

746,452천달러

10,963천건

974,066천달러

34%

30%


해외직구가 가파르게 증가한 원인으로는
  ①직구물품 가격 비교를 통해 저렴한 상품을 구입할 수 있다는 이점 
  ②유럽, 중국, 일본 등 직구시장이 다변화되어 국내에서 구하기 힘든 물품을 구입할 수 있다는 장점, 특히 최근에는
  ③개인 건강과 만족을 중시하는 소비패턴의 변화 등이 어우러진 것으로 분석된다.

품목별 수입실적을 보면 시계류를 제외한 모든 품목이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적으로 해외직구 인기 품목인 식품류(건강기능식품 포함)가 372만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37% 증가하였고, 화장품류 143만건으로 26%, 의류 120만건으로 23%, 신발류 88만건으로 32%, 완구 및 인형류 55만건으로 53%, 가방류 38만건으로 40% 증가하였다.

특히 TV나 스마트폰 관련 품목 등 전자제품류는 88만건으로 가장 높은 115% 증가율을 기록하였는데,그중에서도 중국에서 공기청정기 수입이 전년 동기대비 11배(7,141건→78,750건)이상 급증했다.

이는 봄철 미세먼지나 황사로부터 개인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어 공기청정기 수요가 높아진 것이 하나의 원인으로 분석된다
 

                              <해외직구 품목별 증가율>
                                                                                                    【단위 : 천건】

식품류

화장품

의류

신발

건수

증가율

건수

증가율

건수

증가율

건수

증가율

3,723

37%

1,428

26%

1,196

23%

881

32%


완구/인형

가방류

전자제품

기타 품목

건수

증가율

건수

증가율

건수

증가율

건수

증가율

549

53%

377

40%

883

115%

1,769

19%



국가별 해외직구 수입실적 모두 증가
미국의 경우 631만건, 5억6천4백만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건수기준 15%, 금액기준 13% 증가하였다.
유럽은 177만건, 2억달러로 건수기준 60%, 금액기준 68% 증가하였으며, 중국은 162만건, 1억1천5백만달러로 건수기준 87%, 금액기준 70% 증가, 일본은 97만건, 6천4백만달러로 건수기준 136%, 금액기준 101% 증가하여 미국 중심의 직구 시장이 유럽과 아시아로 빠르게 다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해외직구 점유율
국가별로 해외 직구시장 점유율은 미국(57%)>유럽(16%)>중국(15%)>일본(9%) 순으로 미국이 여전히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나, 전체 비중은 지속적으로 축소되는 추세〔('14∼'15)73%→('16)65%→('17.6)57%〕인 반면,

유럽의 비중은 확대〔('14)8%→('15)11%→('16)15%→('17.6)16%〕되고, 중국(홍콩포함)의 비중도 비슷한 수준으로 증가〔('14)15%→('15)8%→('16)11%→('17.6)15%〕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의 점유율 비중도〔('14)2%→('15)5%→('16)6%→('17.6)9%〕증가하였으며, 특히 금년에는 전년 동기 대비 수입실적이 건수기준으로 136% 증가하였는데, 이는 엔화약세와 더불어 배송이 빠른 점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국가별 해외직구 주요 인기품목
미국은 비타민 등 건강기능식품(30%), 유럽은 화장품 및 향수(31%), 중국은 공기청정기, 휴대전화기 등을 비롯한 전자제품류(22%), 일본은 젤리, 초콜릿 등 식품류(20%)가 가장 많이 수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 직구 관련 하반기 달라지는 통관제도(스마트 통관심사제도 도입으로 통관소요시간 단축)

관세청에서는 해외직구 물품 증가에 따라 개인이 수입하는 2,000불 이하 전자상거래 특송물품 등 우범성이 없는 수입신고건에 대하여 전자적으로 심사 및 수리하는 ‘스마트 통관심사제도’를 금년 하반기에 도입할 예정이다.

아울러, 직구 관련 피해사례를 최소화 하기 위해 한국소비자원과 공동으로 직구 물품 주문부터 수령까지 거래 단계별로 유의사항을 정리한 ‘해외직구 피해예방 체크포인트’를 자료를 홈페이지에 게시하여 소비자 권리구제에도 노력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동대문구, ‘민원서비스 종합평가’ 국무총리 기관 표창 수상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서울시 동대문구는 행정안전부와 국민권익위원회가 공동 주관한 ‘2024년 민원서비스 종합평가’에서 전국 자치구 중 최고 점수를 받아 국무총리 표창을 수상했다고 13일 밝혔다. 민원서비스 종합평가는 전국 307개 기관(중앙행정기관 47개, 시도교육청 17개, 광역지자체 17개, 기초지자체 226개)을 대상으로 매년 실시되며, 동대문구는 2017년부터 6년 연속 최우수 기관으로 선정되어왔다. 올해는 전국 자치구 가운데 1위를 기록하며 최고의 영예를 안았다. 이번 평가에서 동대문구는 임산부·노약자·장애인 등 사회적 배려 대상자를 위한 맞춤형 민원서비스 제공, 민원 담당 공무원 보호를 위한 조직적 보호조치 강화, 특이민원에 대한 법적 대응 등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특히, 장기간 도시 주거지 내 존치되며 주민 불편을 초래했던 삼천리연탄공장을 이전함으로써 고질 민원을 해소하고 주거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했다. 또한 시민옴부즈만제도를 통해 복잡하고 민감한 고충민원을 공정하고 심층적으로 처리한 점, 국민권익위원회와 협업한 ‘달리는 국민신문고’ 운영으로 전통시장 등 현장을